•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의 고통과 좋은 삶 (Animal Pains and A Good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0.11
27P 미리보기
동물의 고통과 좋은 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28권 / 85 ~ 111페이지
    · 저자명 : 맹주만

    초록

    이 글은 한편으로는 필자가 최근에 발표한 바 있는 두 편의 논문 각각에 대해서 비판적 의견을 개진한 최훈 교수에 대한 답변이면서, 또 한편으로는 기존의 필자의 견해를 좀 더 분명히 하기 위한 보충적인 논의들로 전개된다. 필자는 이전의 논문들에서 고통과 쾌락/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어떤 존재의 감응력의 유무가 그 존재를 도덕적으로 대우해야 할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없으며, 따라서 이에 근거해서 채식주의의 실천불가능성을 포함하여 채식과 육식의 윤리적 정당성을 평가하려는 입장 역시 옹호될 수 없음을 보이려 했다. 이에 대해서 최훈은 필자의 싱어 비판이 어떤 오해에 기반하고 있으며, 또한 그의 주장을 무력화하거나 반박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비판한다. 더 나아가 무척추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좀 더 개선된 자신의 감응력 이론을 통해 싱어에게 가해질 수 있는 비판 또한 피해갈 수 있다는 한층 더 적극적인 입장을 개진하고 나섰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와 같은 최훈의 반박에 비판적으로 대응한다. 필자는 여전히 쾌고 감수 능력 즉 감응력의 유무로 어떤 존재의 도덕적 고려 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려는 일체의 시도를 거부한다. 즉, 감응력은 한 존재의 도덕적 지위를 결정하는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 없으며, 특히 비록 윤리적 고려에 있어서 중요한 지위를 갖는다고 하더라도 쾌락을 포함한 고통 지각은 한 존재의 총체적인 생명 활동을 구성하는 일부일 뿐이다. 오히려 다양하게 작용하는 감응력의 지각 능력을 한 생명체의 생명활동과 그 본성적 구조 전체와의 연관 아래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고통 지각을 그 존재로부터 분리 및 독립시켜 이에 의거해서 한 존재의 도덕적 지위를 결정하려는 시도를 ‘감응력에 의거한 고립적 독립 논변’이라 규정한 다음, 이를 물리치는 주장을 한 존재의 생명활동과 그 본성적 구조에 대한 총체적 고려에 근거를 둔 ‘좋은 삶에 의거한 통합적 종속 논변’ 아래 전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takes aim at a reply to Professor Choi Hoon’s critics of my two papers, “Peter Singer and the Ethical Vegetarianism”(2007), and “Animal Pain and Sensation of Plants”(2009). I argued three points by these two paper. First, Singer’s sentience-based theory of moral status does not consider the meanings of pain in organism, especially human beings in its fullness. Second, the whole considerations for human pain including animals must deal with ontology and semantics of pains, including value theory of plant life, and third, I have argued that Singer’s argument cannot be justified because his reasoning which is excluded his other sensations except pain-sensation is a kind of arbitrarily preferential considerations, although a plant cannot feel something like animal’s pain, it seems to me that such a state of plant do not mean she is not conscious, moreover if the plant has some sensations, it can be said that she is also a conscious being.
    Professor Choi went into detailed criticism that my arguments in my two paper cannot succeed through his two paper, “Was Professor Maeng Successful in Refuting the Ethical Vegetarianism of Peter Singer”(2009), and “Sentience Theory Reconsidered”(2010). This time I will still argue that sentience cannot be the only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which decide on moral status of a being, and especially the pain is only one of elements which forms total activity of a life for his own good life. So I will develop this view under the title ‘argument from the Integral Dependence based on A Good Life’ in contrast with ‘argument from the Isolated Independence based on the Sentience’ which is name after views of Singer and Professor Choi that I want to ref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