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皇極經世書』 수용 양상 연구 1 -明谷 崔錫鼎의 『經世訓民正音』에 나타난 易學的 正音觀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attern of Huangjijingshishu(『皇極經世書』) in the Late Joseon dynasty -Centered on Choi Seok-jeong’s I xue (易學)-based applicationto Gyeongsehunminjeongeum(『經世訓民正音』)-)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5.03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皇極經世書』 수용 양상 연구 1 -明谷 崔錫鼎의 『經世訓民正音』에 나타난 易學的 正音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9권 / 171 ~ 200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본 논문은 崔錫鼎의 『經世訓民正音』에 나타난 正音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최석정의 「禮部韻略後序」, 『경세훈민정음』 그리고 숙종의 「訓民正音後序」의 관련성에 대해서 기존 연구에서는 긍정적으로 언급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1678년 완성된 『경세훈민정음』과 「예부운략후서」는 1691년 발간된 숙종의 「훈민정음후서」와 관련성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최석정은 『경세훈민정음』 乾冊을 통해서 『皇極經世書』 <聲音唱和圖>를 변용하여 수용하였다. 그리고 수리적으로 소옹의 『황극경세서』를 모방하고자 하여 『황극경세서』에 나타난 易數論을 변용하여 『경세훈민정음』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주로 『경세훈민정음』 坤冊을 통해 증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경세훈민정음』 곤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게 된다.
    최석정의 『경세훈민정음』은 국어학, 중어학, 한국사학, 한국철학 분야에서 연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그러나 『경세훈민정음』 건책과 곤책의 관계, 곤책의 미완성된 부분, 발간연도 등은 아직 완전하게 논술되지 않은 것 같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oi Seok-jeong (崔錫鼎)'s view of jeongeum (正音) in his work Gyeongsehunminjeongeum(『經世訓民正音』). Earlier studies pointed out positively about the relation between Choi’s two works, “Yebuunyakhuseo (「禮部韻略後序」)” and Gyeongsehunminjeongeum(『經世訓民正音』) completed in 1678 and King Sukjong (肅宗)’s “Hunminjeongeumhuseo(「訓民正音後序」)” in 1961; but this research reveale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Choi’s and King Sukjong’s works.
    Choi Seok-jeong modified and accepted “Shenyinchanghetu(「聲音唱和圖」)” of Huanggijingshishu(『皇極經世書』) through “Geonchaek(「乾冊」)” of Gyeongse- hunminjeongeum. And to imitate Shao Yong(邵雍)'s Huanggijingshishu mathematically, Choi modified the theory of inverse numbers (易數論) shown in Hwanggijingshishu, and applied this theory, to Gyeongsehunminjeongeum (『經世訓民正音』). Choi wanted to prove his work mainly through “Gonchaek(坤冊)” but he failed to complete it during his life.
    Choi Seok-jeong's Gyeongsehunminjeongeum(『經世訓民正音』) has been consistently studied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Chinese linguistics, Korean history, and Korean philosoph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Geonchaek(「乾冊」)” and “Gonchaek (「坤冊」)” and the year of publication and various unfinished parts of “Geonchaek” does not seem to have been completely proven. Therefore,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