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 융희 2년 명시력(明時曆)> 역주의 의(宜)ㆍ불의(不宜) 양상과 민속적 의미 (A study on the Ui(宜)ㆍBului(不宜) folklore of the footnote of the calender Myeongsiryeok (明時曆) published in the 2nd Year of DaeHan Yoonghui)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4.11
40P 미리보기
&lt;대한 융희 2년 명시력(明時曆)&gt; 역주의 의(宜)ㆍ불의(不宜) 양상과 민속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5호 / 331 ~ 370페이지
    · 저자명 : 장장식

    초록

    이 글은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운영하였는가 하는 관점에서 <대한 융희이년 세차무신 명시력(大韓隆熙二年歲次戊申明時曆)>을 대상으로 나날의 의ㆍ불의 행위역주를 살펴보았다.
    ‘명시력’은 1898년부터 1908년까지 11년간 사용된 역서인데, 근대국가로 도약하려는 국가적의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1908년 명시력은 조선조 최종의 역서로서 책무를 한역서이기 때문에 역서사적(曆書史的) 의미가 크다고 판단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1908년 명시력의 구성을 살펴보고, 일력 역주의 의ㆍ불의 관련 요소를 검토하였다. 나날의의ㆍ불의를 결정하는 요소는 여럿이나 다른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기 위해 28수와 12건제를 중심으로 하였다.
    12건제(建除)는 나날의 시간을 특정하는 역주 중의 하나인데, 건(建)ㆍ제(除)ㆍ만(滿)ㆍ평(平)ㆍ정(定)ㆍ집(執)ㆍ파(破)ㆍ위(危)ㆍ성(成)ㆍ수(收)ㆍ개(開)ㆍ폐(閉) 등 12개이다. 명시력에 적용한 12건제는‘건(建)ㆍ제(除) …… 개(開)ㆍ폐(閉)’로 순행하되, 각 달의 절일에는 절일 전날의 직(直)을 거듭 지정하고 이를 기점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둘째, 복단일(伏斷日)의 구성과 의ㆍ불의일(宜不宜日)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복단일은 28수와 12 지의 결합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한 날이다. 복단일의 결합 방식은 네 가지이다. 1908년 명시력에부여된 복단일은 총 48일이다. 12지를 기준할 때 84일의 주기를 갖는다. 서양력이 도입된 후 복단일은 12지와 월화수목금토일 7요일의 결합으로 대체된다. 이는 달력(역서)에 28수가 삭제되고7요일이 삽입됨으로써 12지와 28수의 결합관계가 12지와 7요일로 바뀐 데서 비롯한다.
    셋째, 의(宜)ㆍ불의일(不宜日)의 민속적 의미는 행위역주를 ‘가사ㆍ건축ㆍ경제활동ㆍ사회활동ㆍ 생업ㆍ의례(상장례ㆍ혼례)’의 여섯 범주로 나눠 분석하였다. 각 항목의 출현빈도수는 의례활동(409건, 23.0%)>사회활동(371건, 20.8%)>건축(342, 19.2%)>가사(319건, 17.9%)>생업(204건, 11.5%)> 경제활동(136건, 7.6%)의 순이었다. 의례 중심ㆍ상업 경시의 전통사회상이 반영되어 있고, 속신의범주에 운용되는 가치와 주술과 금기의 영역에서 운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근대성을 표방한 명시력은 자연(시간)과 인간 사이의 유기적 통합관계를 드러내는상징체계라 할 수 있는 의ㆍ불의 역주를 포기할 수 없었고, 여전히 의례력(儀禮曆)으로 기능하며역서의 우월적 권위와 권력 상징의 가속화라는 부차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나날의 의ㆍ불의행위 역주를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급시(及時)와 적시(適時)의 시간성을 담보하는 민가일력(民家日曆) 내지 민가일령서(民家日令書)로서 존재해 왔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조선조 최종의 역서(1908년 명시력)가 지닌 전체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1908년 명시력의 개별적 가치를 변별하기 위해 1909~1910년의 ‘역(曆)’에 대한 세부적인비교는 하지 않았다.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acts by footnotes following Ui(宜, the permitted)ㆍBului(不宜, the prohibited) on each da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hey perceived time and used <Myeongsiryeok of the 2nd Year of DaeHan Yoonghui>.
    ‘Myeongsiryeok’ was the official calendar used for 11 years from 1898 to 1908, it is noteworthy in that it contains the national will to leap forward to be a modern nation. However, since the Myeongsiryeok published in 1908 was the calender that had completed it’s duty as the final one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judged to have the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For this reason, it was chosen as the focus of this study.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Myeongsiryeok of 1908 is examined and the elements related to the Yi(宜)ㆍBlui(不宜) of the Myeongsiryeok(Myeongsi calendar) were analyzed. There are many factors that determine the Yi(宜)ㆍBlui(不宜) of each day, but in order to differentiate from other studies, this study focused on 28 Mansion(二十八宿) and 12Geonje(建除).
    The 12 geonje(建除) is one group of the calender that specify the time of each day. They are Geon(建), Je(除), Man(滿), Pyeong(平), Jeong (定), Jip(執), and Pa(破), Wi(危), Seong(成), Su(收), Gae(開), and Pye(閉).
    The 12 geonje applied on the Myeongsiryeok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Geon(建)ㆍJe(除)……Gae(開), and Pye(閉)’. The Jic(直) of the day before the designated day(절일) is repeatedly appointed on the designated day of every month and rearranged in order using the above 12 geonje as the starting point.


    Second, I analyzed the composition of Bokdanil(伏斷日) and the contents of UiㆍBului Day(宜日ㆍ不宜日).
    Bokdanil(伏斷日) is a specific day determined by combining 28 Mansion(二十八宿) with 12 Chinese zodiac signs. There are four ways to combine Bokdanil(伏斷日). The total number of days given to the Myeongsiryeok of 1908 is 48. So there is a cycle of 84 days based on the 12 Chinese zodiac sig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alendar, Bokdanil(伏斷日) was replaced by a combination of the 12 Chinese zodiac signs and the 7 days of the week.
    This is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Because the 28 Mansion(二十八宿) was deleted and the 7th day of the week was inserted in the calendar(Myeongsiryeok), the combination of the 12 Chinese zodiac signs and the 28 Mansion changed to 12 Chinese zodiac signs and the 7th day of the week.


    Third, the folk meanings of Ui-day(宜日) and Bului-day(不宜日) are analyzed across six categories: ‘housework, architecture, economic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livelihood, and rites(including funeral rites and wedding ceremoni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cateogry is as follows: Ritual activities(409 cases, 23.0%) > Social activities (371 cases, 20.8%) > Architecture (342, 19.2%) > Housework (319 cases, 17.9%) > Livelihood (204 cases, 11.5%) > Economic activities (136 cases, 7.6%).
    Based on these statistics, it is confirmed that aspects of traditional society, which were centered around ritual and had little regard for commerce, are reflected, and that it was operated in the field of values, magic and taboo applied in the category of secular beliefs.
    For this reason, despite the Myeongsiryeok calendar which advocated modernity could not give up the almanac of Ui(宜) and Bului(不宜) which can be a symbolic system that reveals the organic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nature(time) and human being, and still has functioned as a ceremonial calendar and has been a part of the almanac.
    It appears to have performed a secondary function of accelerating the symbol of superior authority and power, while also presenting a chronology of daily acts of Ui(宜) and Bului(不宜). In the end, it has existed as the daily calendar of a private family that guaranteed the urgent and right timing.
    Through this discussion, we looked a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inal almanac of the Joseon Dynasty(Myeongsiryeok). Howeve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individual value of the Myeongsiryeok, a detailed comparison of the ‘Yeok(曆)’ of 1909-1910 was not made. It is left as a future task.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