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이르기까지 [농상집요](農桑輯要) 내용에 없는 길일(吉日)을 택하는 미신적인 요소까지도 기록되어있는데 이는 고려이후 민간에 널리 퍼져있던 풍수(風水) 택일(擇日)의 우리 민간 신앙 ... 의 생애1. 전순의(全楯義)의 생몰 연대 고찰2. 저서(著書)를 통해서 본 전순의(全楯義)Ⅱ. 산가요록 발굴의 의의Ⅲ. 산가요록의 주요 내용1. 농업2. 조리1) 술(釀造)2) 장 ... 를 볼 수 있다고 하니 총명한 전순의(全楯義)에겐 더없는 학문연마의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이어 세종29년 1447년에는 호군(護軍) 김의손(金義孫)과 함께 [침구택일편집](鍼灸擇一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