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과 논증 그리고 논증이론 (Argumentation in Law and Argumentation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12
44P 미리보기
법과 논증 그리고 논증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3권 / 4호 / 31 ~ 74페이지
    · 저자명 : 윤재왕

    초록

    판결의 성립과정을 법적 논증이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함으로써 이를 법실무의 비판적 자기성찰의 소재로 제공하고자 함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우선 법률구속 이념과 그 한계에 관한 정치사적⋅이론사적 서술을 전개하였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법해석이론과 법학방법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독일의 경우에 비추어 법률구속 이념을 둘러싼 이론적 통찰을 살펴봄으로써판결이 법률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더욱 구체화하면서,법률구속으로부터의 해방이 곧바로 판결의 결단적 성격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급선회하지 않았고 또한 그럴 수도 없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를 통해 법률구속 이념이 보장하고자 하는 법적 결정의 합리성을 포기하는 대신, 논증의합리성으로 대체해온 이론사를 검토한다. 즉 논증이론이 부상하게 된 배경을법률구속 이념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법관의 논증의무와 관련된 헌법이론적 측면을 간략히 다룸으로써 판결과 논증이론의 연결가능성을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법적 논증이론의 내용을 특정 논증이론에 구속되지 않은 채 설명한다. 이로써 법원의 논증, 즉 판결이유의 작성을 위한 확정된 규칙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논증이 법질서 전체 및 사법작용에서 갖는 의미를확인하고자 한다. 즉 논증이론으로부터 직접 논증의 기준들을 도출하려는 규범적 기획으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를 유지하고자 한다. 끝으로 법실무의 측면에서 법적 논증이론에 관하여 몇 가지 측면을 지적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 wrote this paper to reconstruct the phenomena of legal decision-making and itsjustification based on the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hence to enable practitionersto reflect upon what they do. I began with tracing the notion of the judge beingbound by the applicable law (‘Gesetzesbindung der Justiz’) and its limitation in thecontext of political and theoretical history. German theoretical achievements show usthat the legal decisions cannot be deductively derived from laws and the legalreasoning is not the same as the drawing of a syllogistic conclusion. One can learnfrom them that delimiting such notion did not ― and could not ― necessarily forceus to accept the irrational aspect of judicial decisions alone. Rather, the question ofthe rationality of justifications of legal decisions has become one of the main themesof the evolving legal argumentation theory. Furthermore, I touched on a judicial dutyto justify its decisions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showing that legaldecisions and argumentation theory can substantially correlate. My enterprise is,therefore, not to focus on ideal norms for acceptable arguments and criteria ofacceptability which apply in legal practice; I intend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ofargumentation as such in the legal system as a whole and its adjudicative process inparticular. In other words, I attempted to keep myself away from any normativedimension of the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the last chapter deals with theinterrelation between legal argumentation theory and legal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