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7개
-
GI bleeding (상하부 위장관계 출혈) ppt2025.01.181.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소화성 궤양, 미란성 위염 및 식도염, 식도 및 위정맥류, Mallory-Weiss 증후군 등이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이다. 소화성 궤양이 약 50%로 가장 흔하며, 십이지장 궤양 29%, 위궤양 16%를 차지한다. 미란성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도 약 15~30%를 차지한다. 간문맥압 상승으로 인한 식도 및 위정맥류도 주요 원인이며, Mallory-Weiss 증후군은 식도와 위문부의 열상으로 인한 출혈이다. 2.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하부 위장관 출혈의 주된 원인은 상부 위장관 출혈이다....2025.01.18
-
산부인과 분만 및 수술 후 주요 약물 관리2025.11.161. 자궁수축제 및 분만유도제 옥시토신(Oxytocin)은 자궁수축 유발 및 촉진, 분만유도, 분만후 출혈 치료에 사용되며 5-10단위를 포도당주사액에 혼합하여 점적정맥주사한다.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은 자간증 발작 방지 및 자궁경직 방지에 4-5g을 10분간 정맥주사한다. 유니덜진(Unidergine)은 자궁수축제로 태반만출 후 분만후 출혈 방지 및 자궁퇴축부전 치료에 0.125-0.25mg을 1일 2-4회 투여한다. 2. 항생제 및 감염예방 아목시실린(Amoxicilline)은 페니실린계 항생제로 NVD후...2025.11.16
-
기관지식도이형성증(기관무형성증)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2025.01.111. 기관무형성증 기관무형성증은 식도와 기관이 연결되지 않는 선천성 기형으로, 이로 인해 음식물이 기관으로 역류하여 호흡곤란, 저산소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환아의 경우 분문괄약근을 통해 음식물 역류가 있으며, 분문결찰술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간호사는 기관내관의 분비물 정체로 인한 호흡곤란, 감염 위험, 피부 손상 등의 간호진단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를 계획해야 합니다. 2. 기관내관 관리 이 환아는 기관내관과 PEG tube를 유지하고 있어 간호사는 기관내관의 개방성 유지, 분비물 흡인, 감염 예방 등의 간...2025.01.11
-
상부위장관 출혈(UGI Bleeding) 질병보고서2025.11.121.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은 소화성 궤양(약 50%)이며, 식도 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 위염, 위암 등이 있다. 최근 추세에 따르면 소화성 궤양은 감소하고 식도 정맥류 출혈은 증가하고 있다. 음주 후 음식물을 토하다가 피를 토하는 경우는 위점막 열상에 의한 출혈이며, 식도 정맥류 출혈은 다른 출혈보다 위험할 수 있다. 2. 상부위장관 출혈의 증상 및 진단 상부위장관 출혈 시 토혈, 흑색변, 혈변, 잠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혈액 상실로 인해 체위성 저혈압, 실신, 오심, 갈증, 발한 등이 ...2025.11.12
-
IUGR, FGR 정리(정의, 그래프, 원인, 진단 및 평가, 처치)+OBY 주요약물2025.01.091. IUGR, FGR 정의 IUGR(자궁내 성장지연)은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하며, FGR(태아 성장 지연)은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합니다. 또한 LGA(부당 중량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90% 이상, AGA(적정 체중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90% 이상, SGA(부당경량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합니다. 2. IUGR, FGR 그래프 IUGR, FGR은 대칭적 및 비대칭적 성장제한으로 나뉩니다. 대칭적 성장제한은 머리둘레와 복...2025.01.09
-
유방암 수술 전후 간호 케이스 스터디2025.11.161. 유방암 진단 및 병기 42세 여성 환자가 15년 전 섬유선종 진단 후 최근 6.2cm 종양 발견으로 유방암 3기 후반 진단받음. 왼쪽 상외측 유방에 위치한 종양이 액와림프절로 전이되었으며, 유방암 3기의 5년 생존율은 75.8%. 림프절 전이 1개 이상 및 내유림프절 전이가 확인되어 변형 근치유방절제술과 액와림프절 청소술 예정.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과 호르몬요법 병행 계획. 2. 섬유선종의 특성 및 악성화 섬유선종은 유방의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주로 젊은 여성에게 호발.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섬유질 이상증식이 원인이며 에...2025.11.16
-
십이지장 궤양 간호진단6개 간호과정3개2025.05.041.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은 전 세계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주요 응급질환 중 하나이다. 출혈은 구토 혹은 변을 통해 확인되며, 출혈의 양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내시경 치료와 proton pump inhibitor와 같은 약물 치료의 개선으로 위장관 출혈과 관련된 사망률은 이전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사망률이 5-10%에 달하며, 이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경제적인 부담, 나아가 전반적인 의료 시스템의 부담으로 이어진다. 2. 십이지장 궤양 십이지장 궤양은 위궤양에 비해 호발 연령이 35-45세로 젊은 편이며,...2025.05.04
-
성인간호학 상부 위장관계 질환 정리2025.11.141. 위식도역류질환(GERD) 위산이 식도 내로 역류되어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식도에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증상은 가슴 쓰림과 산 역류이며, 생활 습관 변화와 약물 치료로 관리 가능합니다. 체중 감량, 금연, 잠자리에 들기 최소 3시간 전 식사, 수분 유지 등이 치료 방법입니다. 2. 하부식도괄약근이완불능증(Achalasia) 식도의 연동 운동이 소실되고 하부식도괄약근이 충분히 이완되지 못하여 음식이 식도 내에 정체되는 질환입니다. 주증상은 유동식이나 고형식의 연하곤란이며, 약물치료, 보튤리눔 독소 주입법, 풍선확...2025.11.14
-
prep 약물2025.01.191. 모사잘정(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이수화물) 모사잘정은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속쓰림, 구역 구토 같은 소화기증상을 치료하는 소화제입니다. 식전/식후 투약하며, 선택적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과 위장관운동 촉진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갈락토오스 불내성,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등의 유전문제가 있는 환자는 금기이며, 부작용으로 설사, 묽은변 등이 있습니다. 2. 맥페란정(메토클로프라미드) 맥페란정은 구역, 구토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진토제입니다. 식전 경구투여하며, 도파민(카테콜아민) 수용체 차단과 세로토닌(모노아민계) 수용체 차단 기전으로...2025.01.19
-
경구약물 종류 및 용도2025.11.18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아스피린, 클란자, 케이빅, 크리마인, 록스파인, 폰탈 등이 포함되며, 주로 두통, 치통, 요통,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통증과 염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공통 부작용으로는 위장관 장애, 소화불량,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이 있으며, 장기 투여 시 위장 출혈과 소화성 궤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베타차단제 알말, 아테놀올, 카베딜, 테프라 등이 포함되며, 고혈압, 협심증, 빈맥성 부정맥, 본태성 진전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서맥, 흉통, 어지러움, 저혈압, 무력...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