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61개
-
[부산대 이학전자실험] 9. AD633 IC를 이용한 mulitiplier 회로2025.01.021. AD633 IC를 이용한 multiplier 회로 AD633은 기능적으로 완벽한 4 사분면 – 아날로그 배수기이다. High 임피던스, 차동 X 및 Y 입력, High 임피던스 합산 입력(Z)을 포함한다. Low 임피던스 출력 전압은 내장된 Zener에 의해 제공되는 10 full scale 이다. AD633은 full scale 의 2%로 보장 된 전체 정확도로 보정된다. Z 입력은 출력 버퍼 증폭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곱셈기의 츨력을 합산하고, 승수 이득, 출력전압을 전류로 변환, 다양한 응용 프...2025.01.02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2 결과보고서2025.05.091. 전류-전압 변환 회로 실험 2에서는 부궤환 회로에서의 전류-전압 변환 회로를 구성하고, 741C에 DC 전압을 가한 후 가변 저항 값을 변화시키면서 입력 전류에 대한 출력 전압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제 측정값과 이론, 시뮬레이션 값의 오차가 약 11% 정도 발생했지만, V_out = -I_in * R 관계식을 만족하는 값이 나왔다. 이를 통해 전압-전류, 전류-전압, 전압증폭, 전류증폭 등 다양한 반전 증폭기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오차 분석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의 원인으로는 소자 자체의 오차 및 비이상성...2025.05.09
-
경북대학교 기초전기전자실험 RLC회로 실험보고서 [기계공학부]2025.05.091. RLC 직렬 회로 RLC 직렬 회로에서 임피던스 Z는 Z = √(R^2 + (XL - XC)^2)이고,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의 위상차는 θ = tan^-1((XL - XC)/R)이고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I = V/Z이다. 공진주파수일 때 RLC 직렬 회로에서 XL = XC이고 Z = R로 임피던스는 최소가 되고, 전류와 전압은 동상이 되며 또한 전류와 전압이 최대가 된다. RLC 직렬회로에서 ω_r = 1/√(LC)가 되고 공진주파수 f_r = 1/(2π√(LC))이다. 2. RLC 병렬 회로 RLC 병렬 회로에서 어드미턴스...2025.05.09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20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2025.01.291. 정전류원 회로 정전류원 회로는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는 회로로, 주로 전류 제어 및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요구되는 응용에서 사용된다. 첨부된 그림의 정전류원 회로는 MOSFET 소자 M_4와 M_3를 사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로는 MOSFET의 전류 제어 특성과 전류 거울 원리를 사용하여 기준 전류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정한 부하 전류를 제공하는 정전류원이다. 2. 차동 증폭기 회로 차동 증폭기는 두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는 회로로, 높은 입력 저항과 낮은 출력 저항을 가지며 잡음 제거와 신호 증폭에서 중요...2025.01.29
-
전자공학실험 5장 BJT 바이어스 회로 A+ 결과보고서2025.01.151. BJT 바이어스 회로 BJT를 증폭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DC바이어스가 인가되어야 하며, 이때의 DC 바이어스를 동작점 또는 Q점이라고 부른다. DC바이어스는 증폭기의 전압 이득과 스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실험에서는 BJT를 이용한 증폭기의 DC동작점을 잡아주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을 통하여 동작을 확인하고자 한다. 2. 실험 절차 및 결과 실험회로 1에서 VBB 값이 1.5V, RBB 저항값이 4kΩ, RC는 vo의 DC 값이 6V가 되도록 하는 저항값으로 둔다. 컬렉터 전압이 ...2025.01.15
-
서강대학교 22년도 전자회로실험 5주차 결과레포트 (A+자료)2025.01.12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BJT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두개의 pn 접합이 연결된 구조로, 세개의 단자 베이스, 이미터, 콜렉터가 있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압-전류 특성은 IC와 IB의 비를 β라고 하며, 보통 100~200의 큰 값을 가진다. 하지만 IE와 IC의 비인 α는 1에 매우 가까운 수치가 된다. BJT는 VCE, VBE에 따라 동작 영역이 바뀌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BJT를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은 능동영역으로, VCE가 VCEsat (=0.4V) 이상이고, VBE는 다이오드의 턴온전압과 비슷한 0.7V 이...2025.01.12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결과 보고서 (실험 14 캐스코드 증폭기)2025.01.291. 캐스코드 증폭기 캐스코드 증폭기는 입력단, 증폭단, 출력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단의 MOSFET M_1은 소스 팔로워 역할을 하며, 증폭단의 MOSFET M_2는 캐스코드 역할을 한다. 캐스코드 구조는 출력 저항을 크게 만들어 전압 이득을 향상시키며, 채널 길이 변조 효과를 최소화하여 넓은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캐스코드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대략적으로 A_v = g_m * R_D로 나타낼 수 있다. 2. 실험 절차 및 결과 실험에서는 V_GG 값을 변화시키며 출력 전압을 측정하였고, 트랜스컨덕턴스 g_m과 출력 ...2025.01.29
-
[A+보고서]전자회로실험-연산증폭기(op amp)2025.01.171. 연산 증폭기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는 처음에는 이름대로 증폭과 가산, 감산, 미분, 적분 등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져 아날로그 컴퓨터에 이용되던 소자이다. 연산 증폭기가 하는 일은 두 입력 V_in1, V_in2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V_out=A_o(V_in1-V_in2)이다. 여기서 A_0는 전압이득, 즉 전압 증폭도이며 이 연산 증폭기가 몇 배로 증폭을 하는지 나타낸 값이다. 기본적인 연산증폭기에 출력 신호의 일부를 다시 입력으로 넣어주...2025.01.17
-
[A+보고서] 전자회로 실험-다이오드 (다이오드의 특성 분석)2025.01.171.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성질을 가진 반도체 소자이다. 다이오드의 전류를 한 방향만으로 흐르게 하는 작용을 정류라 하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쓰인다. 다이오드에는 이 정류용 다이오드가 흔히 쓰이지만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용도가 있다. 다이오드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며 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어, 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나 전압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바뀌는 가변 용량 다이오드 등이 있다. 2. 정류기 정류기는 순방향 저항은 작고 역방향 저항은 충분히 커서 한쪽 ...2025.01.17
-
서강대학교 22년도 전자회로실험 2주차 결과레포트 (A+자료)2025.01.121. OP AMP 기본 원리 이번 실험은 OP AMP의 원리를 이용한 증폭기, 미분기, 적분기 등을 설계하고 동작을 확인하는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결과 이론적인 계산값과 5% 이내의 오차를 보이며 회로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OP AMP를 이용해 원하는 전압이득을 가진 증폭기, 미분기, 적분기 등을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오차 요인으로는 passive 소자의 허용오차, OP AMP의 offset voltage 및 비이상적인 특성, 측정 장비의 오차, 전자파 및 물리적 접촉에...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