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6개
-
산부인과 주요 약물 보고서2025.11.151. 유즙 분비 억제제 (Bromocriptine) 팔로델정은 브로모크립틴메실산염 2.87mg을 함유한 유즙 분비 억제제입니다. 맥각 알칼로이드 1세대 도파민 제제로 D2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뇌하수체의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합니다. 유즙 분비 예방 및 억제, 고프로락틴혈증, 불임증, 월경불순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식사 직후 점증 요법으로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환각, 실신 등이 있습니다. 2. 자궁수축제 (Oxytocin) 옥시토신주는 합성옥시토신 10IU를 함유한 자궁수축제입니다. 자궁근육층의 옥시토신 수용...2025.11.15
-
신경계질환 PPT2025.01.161. 신경계통 구조 신경계통은 크게 뇌, 척수, 말초신경으로 구성되며, 뇌척수막(meninges)과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이 이들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뇌척수막은 경막(dura mater), 거미막(arachnoid mater), 연막(pia mat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척수액은 맥락얼기(choroid plexus)에서 만들어져 뇌실과 거미막하강을 통해 순환합니다. 2.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에는 뇌경색, 뇌출혈 등이 있습니다. 뇌경색은 혈전이나 색전에 의해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며, 뇌출혈은 뇌혈관이 파...2025.01.16
-
[여성간호학] 분만 간호 (분만단계별 변화 및 분만진통 완화 전략, 분만실 주요 사용약물 분만억제제, 자궁이완으로 인한 조기 산후출혈)2025.05.051. 분만단계별 변화 및 분만진통 완화 전략 분만 단계(stage of labor)는 4단계로 나눈다. 분만 1기(the first stage)는 진진통(true labor pain)의 시작에서 경관의 완전개대(10cm)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경관 개대기라 한다. 분만 2기(the second stage)는 경관의 완전개대 이후부터 태아가 만출되는 시기로 태아만출기이다. 분만 3기(the third stage)는 태아만출 이후부터 태반이 만출되는 시기로 태반만출기라 한다. 분만 4기(the fourth stage)는 분만 후 1~4시...2025.05.05
-
PEN2025.05.041. 신경근병증(radiculopathy) 신경근병증(신경뿌리병증)이란 척수에서 갈라져 나온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의 손상을 말하며, 보통 감각신경분절이 지배하는 피부분절을 따라 방사통이 동반되고, 척추 신경근이 디스크 탈출 물질이나 관절염 골극의 신경 압박 등으로 손상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신경근은 얇은 막으로 보호되어 있어 디스크 등에 의해 쉽게 압박되며, 이러한 신경근이 만성적으로 손상을 받으면 말초에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2. 신경근병증의 원인 신경근병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추간판 질환...2025.05.04
-
수술실과 회복실 간호사의 역할 및 마취2025.11.16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로 분류된다. 소독간호사는 외과의의 옆에서 수술에 직접 관여하며 멸균물품 준비, 무균술 엄수, 기구 제공 등을 담당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준비를 돕고 전체 수술 과정을 기록하며 환자를 지지하는 책임을 진다. 두 역할 모두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고 수술팀과 협력하여 각자의 직무를 수행한다. 2. 회복실 간호사의 역할 회복실 간호사는 마취 회복 및 활력징후 안정, 출혈 징후 소멸까지 환자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마취 회복기 간호는 3단계로 나뉘며, 안전한 마취회복,...2025.11.16
-
중추신경계 약물2025.05.051. 항뇌전증제 뇌신경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전기자극이 일어나 이상행동과 때때로 불수의적 근육 운동을 동반하는 질환인 뇌전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주요 작용기전은 GABA의 억제 효과 증강, 신경막의 소디움 채널 불활성화 기간 연장,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 유리 감소 등이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바르비튜레이트, 히단토인,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 프리미돈, 레비티라세탐, 토피라메이트, 조니사마이드 등이 있다. 2. 전신마취제 수술 중 통증 감각을 억제하고 의식을 소실시키는 약물. 주요 작용기전은 GABA 수용체 활성화, NM...2025.05.05
-
늑골골절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2025.11.141. 늑골골절(Rib Fracture)의 정의 및 해부학적 구조 늑골은 좌우 12개씩 있으며 흉부의 모양을 결정하고 심장, 폐 등 중요 내부 장기를 보호하며 호흡기능에 역할을 한다. 골절은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로, 연조직의 부종, 근육과 관절의 탈구, 인대 파괴, 신경과 혈관 손상 등을 동반한다. 늑골골절은 낙상, 교통사고, 흉부구타 등 둔탁한 손상으로 발생하며 5-9번째 늑골이 가장 흔히 골절된다. 2. 늑골골절의 임상증상 및 합병증 단순 늑골골절은 호기와 촉진 시 국소적 통증과 압통을 느낀다. ...2025.11.14
-
Thyroid lobectomy(RR수술실)2025.01.281. 외과적 무균술 수술에 사용되는 모든 기구와 물품은 멸균되어 있어야 하며, 소독된 상태에 있는 사람은 소독된 물품을 다루도록 한다. 멸균성에 대한 의심이 있는 경우 불결된 것으로 간주하고, 부소독된 사람은 소독된 공간을 지나서는 안된다. 멸균된 테이블은 테이블 높이에서만 멸균상태이며, 소독된 수술가운은 앞부분과 소매 부분만이 소독된 것으로 간주한다. 멸균 용품을 다룰 때는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하며, 필요시 건조한 멸균된 겸자를 사용한다. 2. 마취 마취에는 전신마취와 부분마취가 있다. 전신마취에는 흡입마취, 정맥마취, 직장마취가...2025.01.28
-
응급 카트 약물의 종류 및 부작용2025.11.181. 국소마취제 및 부정맥 치료제 2% Lidocaine은 국소마취제이자 심실성 부정맥 치료제로 사용된다. 표면마취는 적당량을 도포하거나 분무하고, 부정맥 치료는 정맥 내 1회 50-100mg을 1-2분간 천천히 투여하거나 점적정맥 내 투여 시 1분간 1-2mg 속도로 투여한다. 빠른 투여속도나 과량 투여 시 진전, 경련, 어지러움, 구역·구토, 혈압저하, shock, 서맥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드물게 심정지를 초래한다. 경막외마취나 고도의 SA 또는 AV block 환자에게는 금기이며, EKG monitoring이 필요하다. 2...2025.11.18
-
수술실 사전학습 24년도 작성2025.01.22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과 수술기구를 준비하고,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며, 수술과정에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하고, 수술 중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2. 외과적 무균술 수술실에서는 멸균 물품을 사용하고, 멸균 영역 내에서만 무균적으로 행동해야 하며, 멸균 물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멸균 방법에는 고온 멸균과 저온 멸균이 있으며, 멸균 확인을 위해 화학적 지표를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