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1개
-
기계공학실험: 자유진동모드해석2025.11.151. 고유진동수 분석 물체가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할 때의 주파수를 고유진동수라 한다. 실험에서 두께 5mm, 길이 50cm 강판의 고유진동수는 99Hz, 271Hz로 측정되었다. 고유진동수는 질량과 강성에 영향을 받으며, 공식 fn = (1/2π)√(k/m)으로 구할 수 있다. 판의 두께가 커질수록 고유진동수가 증가하고, 1차, 2차, 3차 등으로 구분된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측정값의 차이는 판의 두께가 클수록 작았다. 2. 모드형상 모드형상은 각 고유진동수에서 구조물의 진동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물체의 자유도에 따라...2025.11.15
-
이중관 열교환기의 열전달 특성 분석2025.11.181. 이중관 열교환기 이중관 열교환기는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가 서로 다른 관을 통해 흐르면서 열을 교환한다. 본 실험에서는 내관 내경 15mm, 외경 15.88mm, 외관 내경 40mm, 길이 1500mm의 이중관 열교환기를 사용하였다. 향류와 병류 두 가지 흐름 방식으로 운영되며, 밸브 조작을 통해 흐름 방향을 제어한다. 온수는 외관과 내관 사이로 흐르고 냉수는 내관을 통해 흐른다. 2. 열전달률 및 총괄 열전달계수 열전달률은 질량유량, 비열, 입출구 온도차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냉수와 온수 각...2025.11.18
-
기둥 좌굴해석 실험 보고서2025.11.151. 기둥의 좌굴하중 기둥의 좌굴하중은 지지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식 Pcr = C·π²EI/L²로 표현된다. 실험에서 고정-고정 지지 조건일 때 좌굴하중이 가장 크고, 핀-핀 지지 조건일 때 가장 작음을 확인했다. 탄성계수 E, 이차모멘트 I, 길이 L이 같을 때 지지조건 계수 C가 좌굴하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실험값과 이론값의 비교에서 오차는 시편 조임 상태와 측정기 노후화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지지조건과 좌굴 거동 기둥의 좌굴은 부재가 가장 견디기 힘든 방향으로 발생하며, 이는 단면의 2차 관성모멘트가 작은...2025.11.15
-
[최신]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1 A+ 실험10 액체와 기체의 압력2025.01.221. 보일의 법칙 실험 1에서는 보일의 법칙 (V PROPTO 1/P)이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실험값으로 구한 그래프와 회귀분석으로 구한 그래프를 통해 V_1과 V_1' 값이 비슷하여 그래프가 직선과 가까운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회귀분석으로 구한 기울기의 값은 2067.266kPa*mL로, 이론적으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지만 실험 결과에서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실험 중 주사기의 눈금으로 정확한 부피를 측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2. 압력과 깊이의 관계 실험 2에서는 깊이에 따른 물속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였다....2025.01.22
-
인하대학교 기계공학실험A(기공실A) / 좌굴 및 크리프 실험2025.05.061. 좌굴 실험 기둥의 양단 지지조건에 따른 임계하중 측정 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 양단 고정, 일단 고정-일단 힌지, 양단 힌지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양단 고정 조건에서 가장 높은 임계하중이 측정되었고, 양단 힌지 조건에서 가장 낮은 임계하중이 측정되었습니다. 이는 이론 공식과 일치하는 결과입니다. 또한 단면 형상에 따른 임계하중 크기 비교와 양단 고정, 일단 고정-일단 힌지 조건에 대한 임계하중 식 유도 과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크리프 실험 시편의 직경과 하중을 달리하여...2025.05.06
-
유동화 결과 보고서2025.05.101. 유동화 본 실험은 물을 유체로 하여 유속을 변화시켜 유리입자의 거동을 관찰하고, 유속에 따른 고정층과 유동층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실험 결과, 유속에 따라 유동층과 고정층이 나뉘는 것을 확인하고 층 높이와 수두차를 실험적으로 구해 압력강하를 계산하였습니다. 레이놀즈 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압력강하 값을 적절한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습니다. 2. 고정층과 유동층 실험 결과, 390mm~170mm 구간을 유동층, 170mm 이하를 고정층으로 확인하였습니다. 고정층에서는 유속과 관계없이 높이가 일정하였으며, 유속을 변화시킬수록...2025.05.10
-
복사 열전달 실험 보고서2025.11.131. 복사 열전달(Radiation Heat Transfer) 복사는 원자나 분자의 전자 배열 변화로 인해 전자기파나 광양자 형태로 방사되는 에너지이다. 전도나 대류와 달리 매개 물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광속으로 전달되고 진공을 통과할 때 에너지가 감소되지 않는다. 이는 태양 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하는 방식이며, 산업 분야에서 재질 선정과 공정 최적화에 활용된다. 2. 방사율, 흡수율, 반사율, 투과율 방사율은 같은 온도에서 흑체가 방사한 에너지에 대한 실제 표면이 방사한 에너지의 비이다. 흡수율은 표면에 입사한 복사에너지 중 흡...2025.11.13
-
스핀 코팅 실험: 회전 속도와 시간에 따른 박막 두께 변화2025.11.151. 스핀 코팅(Spin Coating) 스핀 코팅은 평평한 기판에 균일한 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이다. 기판 중앙에 코팅 물질을 도포한 후 최대 10,0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코팅 물질을 퍼뜨린다. 회전 각속도가 높을수록 필름이 더 얇아지며, 필름 두께는 용액의 점도, 농도, 용매에 따라 달라진다. 박막 두께의 균일성이 장점이며 셀프 레벨링으로 인해 두께가 1% 이상 변하지 않는다. 스핀 코팅은 물질 도포, 회전, 경화의 3가지 과정으로 진행된다. 2. 유체동역학식 적용 코팅막의 두께는 액체의 점도, 회전테이블의 각속...2025.11.15
-
뇌동맥류2025.04.281. 뇌동맥류의 정의 뇌동맥류는 혈관이 구조적으로 약화되어 뇌동맥 벽에 이상이 초래된 것이다. 동맥벽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동맥 파열과 출혈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뇌동맥류는 주머니 모양이기 때문에 소낭상동맥류(berry aneurysm)라고 한다. 크기는 2mm부터 3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평균크기는 8mm에서 10mm이다. 2. 뇌동맥류의 발생빈도 사체부검(autopsy)에서 뇌동맥류는 인구의 약 1%에서 발견되며, 뇌동맥류 파열(aneurysm rupture)은 매년 인구 10만 명당 6~12명 비율로 발생된다. 남녀 발...2025.04.28
-
아주대)현대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2025.01.291. 플랑크 상수 측정 실험 1에서는 플랑크 상수 h를 구하기 위해 진동수(파장)별로 다른 정지퍼텐셜의 그래프를 그리고,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그 기울기를 계산하여 플랑크 상수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인 6.62607015×10^-34 J·s와 측정값인 6.38×10^-34 J·s를 비교하여 3.62%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는 정지포텐셜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세세한 단위까지 측정하지 못해서 생긴 작은 오차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결정계수(R제곱값)가 0.9977로 0.9 이상을 보여줌으로써 꽤 정확한 결과값을 얻었다고 볼 수 있...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