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실험: 자유진동모드해석
본 내용은
"
기계공학실험레포트(자유진동모드해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2
문서 내 토픽
-
1. 고유진동수 분석물체가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할 때의 주파수를 고유진동수라 한다. 실험에서 두께 5mm, 길이 50cm 강판의 고유진동수는 99Hz, 271Hz로 측정되었다. 고유진동수는 질량과 강성에 영향을 받으며, 공식 fn = (1/2π)√(k/m)으로 구할 수 있다. 판의 두께가 커질수록 고유진동수가 증가하고, 1차, 2차, 3차 등으로 구분된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측정값의 차이는 판의 두께가 클수록 작았다.
-
2. 모드형상모드형상은 각 고유진동수에서 구조물의 진동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물체의 자유도에 따라 모드형상의 개수가 정해지며, 저차모드부터 고차모드로 갈수록 변형에너지가 커져 변형이 어려워진다. 실험에서 3mm, 5mm, 10mm 판에 대해 1차, 2차, 3차 모드형상을 분석했으며, 경계조건에 따라 모드형상이 변한다.
-
3. 경계조건의 영향경계조건은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물체가 외팔보가 되거나 양 끝단이 고정되면 모드형상이 변한다. 실험에서 3mm 판의 490Hz 근처 peak는 빔 연장으로 인한 고유진동수로, 경계조건 변화가 고유진동수 개수에 영향을 준 사례이다.
-
4. 재질의 영향빔의 재질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달라진다. 고유진동수 공식에서 E(탄성계수)와 ρ(밀도)가 재질에 따라 변하는 물리량이다. 고유진동수는 E값과 비례하고 ρ와 반비례한다. 실험에 사용한 302/304L steel(E=193GPa, ρ=8030kg/m³)과 구리, 강철, 티타늄,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의 물성치가 고유진동수에 영향을 준다.
-
1. 고유진동수 분석고유진동수 분석은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입니다. 구조물이 외부 하중이나 진동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각 모드의 고유진동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특히 공진 현상을 피하기 위해 운영 주파수 범위와 고유진동수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수치해석 기법과 실험적 방법을 병행하여 검증하면 더욱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 향상에 직결됩니다.
-
2. 모드형상모드형상은 구조물이 특정 고유진동수에서 진동할 때의 변형 패턴을 나타내며, 이는 구조 설계와 보강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각 모드의 형상을 이해함으로써 응력 집중 영역을 파악하고 피로 파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저차 모드는 일반적으로 더 큰 에너지를 가지므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고차 모드도 특정 조건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드형상 분석을 통해 구조물의 취약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
3. 경계조건의 영향경계조건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고정, 자유, 단순지지 등 다양한 경계조건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크게 달라지므로, 실제 구조물의 지지 상태를 정확히 모델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경계조건의 미세한 변화도 동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장 조건을 충분히 반영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실제 시공 조건을 고려한 경계조건 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
4. 재질의 영향재질의 물성치, 특히 탄성계수와 밀도는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결정하는 핵심 인자입니다. 같은 형상의 구조물이라도 재질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크게 달라지므로, 재질 선택은 동적 특성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온도, 습도, 시간 경과에 따른 재질 특성 변화도 고려해야 하며, 복합재료의 경우 방향성에 따른 이방성도 반영해야 합니다. 재질의 감쇠 특성도 진동 응답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재질 특성 파악이 신뢰성 있는 동적 해석의 기초가 됩니다.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첨단기계공학실험 자유진동모드해석 레포트 A+1. 자유진동모드해석 실험을 통해 빔의 두께에 따른 고유진동수를 분석하였습니다. 주파수 응답함수(FRF) 그래프를 통해 빔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고유진동수 피크의 개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음의 오차율을 보였는데 이는 가속도계의 질량과 자유단 지지 방식으로 인한 오차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또한 모드 형상을...2025.01.06 · 공학/기술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4 동흡진기(Dynamic Absorber)를 이용한 진동 제어 실험 A+ 자료1. 동흡진기(Dynamic Absorber) 동흡진기는 주진동계에 2차 진동계를 결합시켜 주진동계의 과도한 진동을 흡수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동흡진기의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로 동흡진기를 적용하여 주진동계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동흡진기의 위치에 따른 진동 흡수 차이와 오차 ...2025.04.26 · 공학/기술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실험 리포트 충격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 13페이지
기계공학실험 보고서제12주 차 (실험 7) : 충격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Research Assistant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기계공학실험 ( 년도 학기 )이름학번class/group1) 주파수 응답함수 한 개에 대해서 주파수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리고,고유진동수를 분석하시오. 같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Nyquist선도를 그려보시오.(선택)? 3mm의 두께의 자유단 지지의 빔을 경계에서 부터 10mm 떨어진 지점에서 타격했을 때의 진동을 주파수 함수 형태로 표현 한 선도이다. 그래프를 관찰 했을 때 peak 형태로...2021.05.20· 13페이지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첨단기계공학실험 자유진동모드해석 레포트 A+ 19페이지
기계공학실험 Report실험7_자유진동모드해석1. 주파수 응답함수 한 개에 대해서 주파수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고유진동수를 분석하시오.① 두께 h가 3mm인 빔의 FRF② 두께 h가 5mm인 빔의 FRF③ 두께 h가 10mm인 빔의 FRF두께가 3mm,5mm,10mm인 자유단 지지의 빔을 경계에서 170mm 떨어진 지점의 주파수 선도들이다. 각각의 피크점의 개수를 비교하면 3mm는 4개, 5mm는 2개, 10mm는 1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그래프 형상을 비교해보면, 빔의 두께가 커질수록 피크점의 개수는 감소하는...2024.01.22· 19페이지 -
[응용공학실험]외팔보의 진동모드 및 공진 32페이지
외팔보의 진동모드 및 공진실험1. 실험 목적외팔보는 항공기 날개, 로봇 팔, 우주 구조물 등과 같은 많은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외팔보의 진동실험을 통하여 진동현상(고유진동수 및 진동모드)에 대한 이해와 실험 모드해석 개념을 습득하고 이론적 진동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정주파수(고유진동수)에서의 공진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진동저감 기술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실험 배경구조물에서 하중을 담당하는 1차원 부재의 대부분은 보이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2022.09.17· 32페이지 -
충격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 보고서 9페이지
기계공학실험 보고서실험10 (충격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1. 주파수 응답함수 한 개에 대해서 주파수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고유진동수를 분석하시오.이 그래프는 가로 4cm, 세로 50cm, 높이 10mm인 빔을 90mm 위치에서 쳤을 때의 데이터 값을 그래프로 그린 것이다. x축은 진동수라 생각할 수 있고, y축은 가속도의 크기인데, 가속도 크기가 커지면 진폭도 커지는 것이기 때문에 진폭이라 생각하면 그래프 판단을 하기가 쉽다. 물체의 고유진동수와 가한 진동수가 같아지면 진폭이 급격히 커지는 곳이 발생한다. ...2019.02.28· 9페이지 -
충격 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 8페이지
2017-1기계공학실험(구준모 교수님)Experiment No. 10(충격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실험 일시 : 2017.04.07학번: 2013100826이름: 오수영 (7A)< 충격해머를 이용한 빔의 자유진동모드 해석 >1. 주파수 응답함수 한 개에 대해서 주파수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고유진동수를 분석하시오. 추가로 Nyquist선도에 대한 개론을 쓰시오.① 두께 h가 3mm인 빔의 FRF 형상② 두께 h가 5mm인 빔의 FRF 형상③ 두께 h가 10mm인 빔의 FRF 형상각 빔의 FRF의 형상을 그래프해...2017.06.23·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