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1개
-
아주대)현대물리학실험 Photoelectric Effect Apparatus 결과2025.01.291. 플랑크 상수 측정 실험 1에서는 플랑크 상수 h를 구하기 위해 진동수(파장)별로 다른 정지퍼텐셜의 그래프를 그리고,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그 기울기를 계산하여 플랑크 상수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인 6.62607015×10^-34 J·s와 측정값인 6.38×10^-34 J·s를 비교하여 3.62%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는 정지포텐셜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세세한 단위까지 측정하지 못해서 생긴 작은 오차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결정계수(R제곱값)가 0.9977로 0.9 이상을 보여줌으로써 꽤 정확한 결과값을 얻었다고 볼 수 있...2025.01.29
-
SM20C 시험편의 브리넬경도 측정 실험2025.11.171. 브리넬경도시험 브리넬경도시험은 1900년 스웨덴 기술자 브리넬이 고안한 금속 재료의 경도 측정 방법이다. 구형의 압자를 일정한 하중으로 시편에 압입하여 경도값을 측정하며, 거칠거나 굵은 구조의 재료 경도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부하속도와 하중유지 시간에 따라 경도값이 달라지므로 표준조건으로 10~15±2초를 적용한다. 지름 D mm의 강구 압자를 F kg의 시험 하중으로 압입했을 때 생기는 우묵한 자국의 지름 d mm과 깊이 h mm으로 브리넬 경도를 표시한다. 2. SM20C 시험편 SM20C는 본 실험의 대상 시험편으로, ...2025.11.17
-
쿨롱의 법칙 실험 결과 보고서2025.11.131. 쿨롱의 법칙 두 대전체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쿨롱의 법칙을 검증했다. 실험 결과 전극의 단면적이 넓을수록, 전압이 클수록 전기력이 크게 측정되었으며, 대전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기력이 작게 측정되었다. 이는 두 대전체의 전하량과 거리 변화가 전기력에 미치는 영향이 쿨롱의 법칙을 따름을 확인해준다. 2.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력 측정 지름 150mm와 125mm의 원판 전극을 사용하여 다양한 간격과 전압 조건에서 전기력을 측정했다.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오차율이 -0.4% ...2025.11.13
-
쿨롱의 법칙 실험 결과 레포트2025.11.141. 쿨롱의 법칙 두 금속판에 (+)전하와 (-)전하가 공급되면 축전기 역할을 하여 두 금속판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쿨롱의 힘은 두 판 사이의 거리(d)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전압(V)의 제곱에 비례한다. 실험에서 전압이 높아질수록 두 금속판 사이의 인력이 증가하여 저울이 나타내는 무게가 감소했다.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결과 저전압에서 오차가 크고 고전압으로 갈수록 오차가 작아졌다. 2. 축전기와 전기장 원형 금속판으로 구성된 축전기에서 두 판 사이의 거리는 15mm, 직경은 15cm, 면적은 0.0177m²이다. 금속판 끝부...2025.11.14
-
고체의 열전도도 실험2025.11.151. 열전도 현상 열전도는 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에너지가 분자의 이동 없이 그 이웃 분자에 전달되는 현상입니다.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이 전달되며, 이는 Fourier의 법칙으로 설명됩니다. 실험에서는 정상상태를 가정하여 열흐름이 거리에 따라 일정하고, 열전도도가 온도에 무관하다고 가정합니다. 2. 열전도도 계산 열전도도는 열 전달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Fourier의 법칙 Q = -kA(dT/dx)로 표현됩니다. 실험에서는 기준통과 시험편의 온도차, 길이를 이용하여 상대적 열전도도를 비교합니다. 구리, 철, 알루미늄 세 가지 ...2025.11.15
-
소성한계 시험 결과 레포트2025.05.101. 소성한계 시험 이 시험은 흙의 일관된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동시에 액성한계가 구해졌다면 소성지수도 계산으로 얻어진다.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와 소성 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말한다. 흙덩어리를 굴려서 지름 3mm가 되어 부슬부슬하게 부서지기 시작할 때의 함수비를 재면 이것이 곧 소성한계이다. 2. 실험 준비물 실험에 필요한 준비물로는 유리판, 주걱, 분무기, 시료 용기, 건조기, 저울 등이 있다. 3. 실험 이론 점토나 점토입자를 다량 함유한 세립토의 경우 함수량에 따라서 액상, 소성상, 반고체상, 고체...2025.05.10
-
금속의 전기저항 실험 보고서2025.11.161. 전기저항의 정의 및 오옴의 법칙 전기저항은 전기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값으로, 단위는 옴(ohm)이다. 1옴은 1V의 전압으로 1A의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저항을 의미한다. 전류, 전압, 저항 사이의 관계는 오옴의 법칙 R=V/I로 표현되며, 이는 전기회로 분석의 기본이 된다. 금속은 상온에서 초전도체가 아니므로 저항을 가지며, 이로 인해 전선이 가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2. 도선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선의 저항은 도선의 종류, 길이(l), 단면적(A), 온도에 의존한다. 저항률(비저항) ρ를 이용하...2025.11.16
-
유도기전력 측정 실험 결과 분석2025.11.161. 전자기 유도 및 유도기전력 1차 코일의 전류 변화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1차 코일 전류가 10mA에서 40mA로 증가할 때 2차 코일의 유도전압(RMS)은 이론값 0.84mV에서 3.37mV로 증가했으며, 측정값은 0.71mV에서 2.83mV로 나타났다. 상대 오차는 약 18-22% 범위로 나타났으며, 이는 함수 발생기의 정확한 다이얼 조정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주파수에 따른 유도전압 변화 1차 코일의 주파수를 300Hz에서 600Hz로 변화시키며 2차 코일의 유도전압...2025.11.16
-
구조실험 보의 전단력 측정 시험 레포트2025.01.241. 단순보의 전단력 측정 실험 이번 단순보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시험은 하중의 크기와 작용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전단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단력을 구한 이론과 비교해 보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 목적이었다. 실험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디지털 측정기가 켜져 있는지 확인한 후,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측정기의 영점(ZERO FORCE)을 맞춰 주었다. 그 다음에 실험에서 제시된 추의 값인 150g, 200g, 300g으로 각각 0~580mm까지 총 11개의 지점으로 나누고 각 지점에 추를 걸어 위...2025.01.24
-
벨트풀리 축의 기계요소설계 및 베어링 선정2025.11.181. 축의 굽힘모멘트 및 비틀림모멘트 벨트풀리가 설치된 축에서 풀리의 무게 1000N이 작용할 때 최대 굽힘모멘트는 500Nm이며, 비틀림모멘트는 600Nm으로 설정된다. 축의 한쪽 끝에만 토크가 걸리고 나머지는 베어링으로 지지되며, 축의 무게는 무시한다. 이러한 모멘트들은 축의 응력 계산과 지름 설계의 기초가 된다. 2. 상당모멘트 및 축의 응력 설계 상당 굽힘모멘트는 계수 1.5를 적용하여 750Nm, 상당 비틀림모멘트는 계수 1.2를 적용하여 720Nm으로 계산된다. 축재료의 허용전단응력 50N/mm²과 허용굽힘응력 100N/...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