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61개
-
아주대 전자회로실험 A+ 실험1 결과보고서2025.05.091. 반전 연산 증폭기 실험1에서는 반전 연산 증폭기의 전압 이득에 따라 출력 전압이 작아지고 전압 이득 역시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gain의 오차는 대부분 1% 이하로 작은 편이었지만, 전압 이득이 20000일 때는 1.5%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저항 값의 오차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위상차 이론적으로 반전 연산 증폭기에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위상 차이는 180°가 된다. 실험 결과 위상의 이론, simulation값과 실제 값과의 상대오차는 1% 미만으로 매우 작아, 위상차가 180°인 것을 ...2025.05.09
-
[전자회로실험] 바이어스 해석 결과보고서2025.04.261. 트랜지스터 동작 영역 실험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동작 영역을 파악하였다. 트랜지스터가 능동 영역에서 동작하기 위한 Vbb의 범위를 구하고, 능동 영역에서의 Ic 값을 구하였다. 또한 트랜지스터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할 때의 Vce를 구하고 데이터시트 값과 비교하였다. 2. 고정 바이어스 회로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서 Vb, Vc, Ic 등의 값을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실험값과 이론값, 시뮬레이션 값 사이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실험 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3. 저항 분할 바이어스 회로 저항 분할 바이어스 회로에서도...2025.04.26
-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19 RLC 공진회로 결과보고서 <작성자 학점 A+>2025.04.281. RLC 직렬회로 공진 RLC 직렬회로의 공진주파수는 5.3KHz였으며, 전압은 공진 시 최소값을 가졌다. 이는 리액턴스 성분이 상쇄되고 저항만 남기 때문이다.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위상이 앞서고, 높은 주파수에서는 위상이 늦춰진다. 2. RLC 병렬회로 공진 RLC 병렬회로가 공진할 때 전류 I1과 I2의 값이 비슷하다. 이는 리액턴스 성분이 상쇄되고 저항만 남기 때문이다.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I1이 크고, 높은 주파수에서는 I2가 크다. 3. 공진주파수 이론값과 실험값 차이 공진주파수 이론값과 실험값의...2025.04.28
-
서강대학교 22년도 전자회로실험 11주차 결과레포트2025.01.131. 전류원 및 전류미러 전자회로실험 예비/결과 보고서실험 11주차. 전류원 및 전류미러/MOSFET 차동 증폭기분반조학번이름시작15:00종료17:30실험시작/종료시간 기재(통계목적임)예비보고서는 아래 각 문항 중 (예비)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수행하여 작성한다.결과보고서는 측정결과 및 분석을 추가하고, 설계과제를 수행하여 결과를 작성한다.회로 구성 사진 및 측정화면 사진은 실험 조원의 학생증 등 ID 가 보이도록 촬영함 2. MOSFET 차동 증폭기 전자회로실험 예비/결과 보고서실험 11주차. 전류원 및 전류미러/MOSFET 차동...2025.01.13
-
전자회로실험 A+ 5주차 결과보고서(Bipolar Junction Transistor Characterization)2025.05.101.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BJT는 1948년 윌리엄 쇼클리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최초로 대량 생산된 트랜지스터입니다. BJT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그 동작과 응용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BJT의 4가지 동작 영역을 탐구하고 DC 전류 이득, Early 전압과 같은 특성값을 결정합니다. 실험에 사용된 트랜지스터는 NPN 소자인 2N3904입니다. 2. BJT 동작 영역 분석 실험에서는 VB와 VC를 변화시키면서 IC, β 등을 측정하여 BJT의 동작 영역을 확인했습...2025.05.10
-
전기전자개론 실험보고서 - 회로망정리(중첩, 데브닌, 노턴)2025.05.041. 중첩의 정리 중첩의 정리는 전류원이나 전압원에 관계없이 1개 이상의 전원을 가진 회로에서 어떤 요소의 전압 전류는 각각의 전원이 작용할 때의 전압 전류의 대수 합과 같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회로를 간단한 등가회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2. 데브닌 정리 데브닌 정리는 임의의 선형 2단자 회로망을 데브닌 전압원 VTH와 내부저항 RTH의 직렬 연결된 등가회로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VTH와 RTH를 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3. 노턴의 정리 노턴의 정리는 임의의 선형 2단자 회로망을 하나...2025.05.04
-
건국대학교 전기전자기초실험2 펄스폭변조회로 결과레포트2025.01.291. 레벨 쉬프트 회로 실험 1에서는 레벨 쉬프트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전압(함수발생기)과 출력 전압(오실로스코프)을 관찰하였습니다. VDC를 0.5V와 1V로 변경하면서 출력 파형의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2. 펄스 폭 변조 회로 실험 2에서는 펄스 폭 변조 회로를 구성하고, 삼각파 입력 전압(Vtri)과 출력 전압(Vout)을 관찰하였습니다. VREF 전압을 0.5V, 1.0V, 1.5V, 2.0V, 2.5V로 변경하면서 출력 파형의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3. 펄스 폭 변조 회로 2 실험 3에서는 레벨 쉬프트 회로와 펄스 폭...2025.01.29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6 결과보고서2025.05.091. 삼각파 발생회로 이 실험의 목적은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비교기와 적분기의 동작을 기초로 한 구형파 및 삼각파 발생회로의 동작을 이해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파형은 예상대로 V_S는 사각파, V_T는 삼각파로 나왔다. 사각파 발생회로와 적분기를 연결하여 삼각파 발생회로를 구현하였다.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는 주로 transition delay에 의해 발생했으며, 저항값이 작을수록 오차가 커졌다. 시뮬레이션 결과와는 거의 일치하였고, 큰 저항에서는 3% 미만의 오차를 보였다. 오차의 주원인인 transition delay를 분석하기...2025.05.09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 5-1 다이오드 특성실험 예비보고서2025.01.171. 다이오드의 기본특성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소자로서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순방향 전압이 걸리면 전류가 흐르지만 역방향 전압이 걸리면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비선형적이다. 2. 다이오드의 검사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과 역방향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순방향 전압은 0.5~0.9V 정도이고, 역방향 전압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아 0.L로 표시된다. 다이오드가 단락되면 순방향과 역방향 전...2025.01.17
-
전자공학실험 2장 PN 정류회로 A+ 결과보고서2025.01.151. 반파 정류회로 실험회로 1([그림 2-12])에서, v_s에 피크 값이 5V이고 주파수가 100Hz인 정현파를 인가한다. 부하 저항 R에 10kΩ을 연결하고, 입력 v_s와 출력 V_O의 파형을 측정해서 [그림 2-22]에 기록하였다. [그림 2-22]의 파형으로부터 출력 V_O의 평균값(root mean square)을 구하였다. 실험 중 오류를 발견했는데, 실험회로 1에 대해 사인파를 가해줄 때 waveform generator의 Amp를 10V가 아닌 5V로 설정해줬음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V_m값 또한 원래 나와야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