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9개
-
A+탈수케이스 브이심2025.05.091. 탈수의 위험 요인 과도한 화상, 구토, 당뇨병성 케톤산증 등이 탈수의 위험 요인으로 여겨질 수 있다. 체액의 손실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2. 탈수 환자의 체액 상태 평가 어린이의 경우 일일 체중이 체액 상태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이다. 구강섭취, 소변 배출량 측정도 중요한 지표이지만 일일 체중이 가장 좋다. 3. 소변 검체 채취 방법 탈수 환자의 경우 중간뇨 채취가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침습적인 방법은 피하고, 배변 훈련이 되지 않은 영유아에게는 소변 주머니가 적합하다. 4. 발달 단계에 맞는 의사소통 5...2025.05.09
-
유치도뇨관 관련 교육2025.04.301. 유치도뇨관 삽입 교육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을 준수하지 않으면 요로감염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등의 예방을 위해 올바른 유치도뇨관 삽입이 필요합니다. 유치도뇨관 삽입 시 주의사항으로는 도뇨관 크기 선택, 소독 방향, 삽입 위치, Urine Bag 준비, 소공 제거 및 Bag 연결 등이 있습니다. 2. 유치도뇨관 삽입 절차 유치도뇨관 삽입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물품 준비, 2) 손위생 및 환자 자세 취하기, 3) 멸균장갑 착용 후 회음부 소독, 4) 도뇨관 삽입 및 풍선 팽창, 5)...2025.04.30
-
Lab 종류와 검사방법2025.01.131. Lab 종류 Lab 종류에는 blood culture bottle(5cc), Pt/ptt(약 3cc/그어진 선까지), LFT(3cc), CBC(2cc) 등이 있습니다. 각 검사에 맞는 용량으로 채혈하여 담아야 합니다. 2. 채혈 순서 채혈 순서는 blood culture bottle -> Pt/ptt -> LFT -> CBC 순으로 담아야 합니다. 용량을 맞춰서 넣어야 합니다. 3. 입원 시 기본 검사 입원 시 기본 검사로는 Pt/Ptt, LFT, CBC, U/A, Chest PA, EKG 등이 있습니다. 혈액검사와 EKG, ...2025.01.13
-
혈액검사 정상범위 및 비정상 수치, 혈액 보틀(bottle) 특성, 채혈방법2025.05.071. 일반적인 사항 혈액검사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검사 종류, 검체량, 검체용기 확인 방법, 채혈 시간, 검체 담는 순서, 검사별 채취방법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정상범위, 비정상 범위 일반혈액, 일반화학, 혈액응고 검사, 뇨/체액검사, 특수화학/특수혈액검사, 면역/혈청검사, 혈액가스검사, 내분비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분자유전검사, 혈액은행검사, AFB 검사, 당뇨검사 등 다양한 검사 항목의 정상범위와 비정상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일반적인 사항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의견을 작성합니다. ...2025.05.07
-
혈액 도말 및 세포 계수 실습 보고서2025.01.221. 혈액 도말 검사 혈액 도말 검사는 말초 혈액을 슬라이드에 얇게 펴서 혈액 세포의 모양, 크기, 색상 등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빈혈, 백혈병 등 혈액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말라리아나 바베시아 같은 혈액 기생충 감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실험에서는 Diff-Quik 염색법을 사용하여 혈액 도말 표본을 만들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습니다. 2. 혈구 계수 혈구 계수는 혈액 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개수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본 실험에서는 자동 혈액 분석기와 혈구 계산기(hemocytometer...2025.01.22
-
ABGA 방법2025.01.131. ABGA (동맥혈 가스 분석) ABGA (동맥혈 가스 분석)은 동맥에 흐르는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의 산-염기 균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입니다. 채취 부위는 요골동맥 또는 대퇴동맥이며, 1cc syringe에 25G 바늘을 장착하고 헤파린나트륨을 통과시킨 후 동맥혈을 채취합니다. 채취 즉시 공기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 바늘을 꺾고 마개로 막습니다. 채취한 검체는 냉동실에 있는 AGBA용 검체통에 담아 검사실로 보냅니다. 동맥혈 채취 후에는 지혈을 잘 해야 하며, 5~10분간 압박이 필요합니다. 1. ABGA (동맥혈 ...2025.01.13
-
혈액종양내과 반영일지2025.05.071. PC 수혈 혈소판 농축액(PC) 수혈을 시행하는 이유와 수혈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경우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할 수 있어 혈소판 수혈이 필요하다. 혈소판 수혈 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혈소판 동종면역, 적혈구 동종면역, 혈소판 보관 조건 등이 있다. 2. Chemoport needle 변경 Chemoport와 Huber needle에 대해 알아보았다. Chemoport는 항암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Huber needle은 Chemoport의 격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천자할 수 있는 특수한...2025.05.07
-
내시경 기구 배양검사 프로세스 및 감염관리2025.11.151. 내시경 기구 배양검사 준비물 및 채취 방법 내시경 기구 배양검사를 위해 필요한 준비물은 Syringe 50cc, 멸균증류수, D-set, 내시경 세척용 멸균 brush, 검체 꽂을 틀, 시리얼 넘버 스티커, 일반배양배지, 멸균 bottle, 멸균장갑, AP가운, 덴탈 마스크 등이다. 검체 채취는 첫 환자 내시경 시술 전 12시간 이상 경과 후 시행하며, 멸균 장갑과 AP가운, 덴탈 마스크를 착용한 후 진행한다. Swab 방법으로는 멸균생리식염수로 적신 멸균 면봉을 사용하여 Biopsy channel, Suction channe...2025.11.15
-
감염관리실_청소 수행률(ATP와 형광추적제 활용) 결과 보고서2025.01.281. ATP(환경표면 검체 채취) 결과 보고서 ATP 검사를 통해 병원 내 전 부서 환경 표면의 오염도를 평가하고 청소 효과를 점검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환경관리 적절성의 전체 평균이 26.6%로 확인되었으며, ATP 수치가 가장 높은 장소는 외래 채혈실과 공용 정수기로 나타났다. 개선 방향으로는 초과 부서의 청소 주기 강화와 각 부서의 ATP 기준치 초과 항목에 대한 교육 및 점검이 제시되었다. 2. 형광추적제 검사 결과 보고서 퇴원 병실을 대상으로 형광 추적제를 사용하여 청소 효과를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일반 병실과 격리 병실...2025.01.28
-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사전학습보고서2025.11.141. 다제내성균의 종류와 진단기준 다제내성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등이 있다. 각 균종별로 특정 항생제에 대한 최소 억제농도 기준과 원판확산법에서의 억제환 크기로 진단된다. 예를 들어 MRSA는 Oxacillin의 최소 억제농도가 4um/ml 이상이거나 원판확산법에서 억제환이 10mm 이하일 때 진단된다. 2. 미생물배양검사 감염...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