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9개
-
성인간호학 case study_폐렴2025.05.131. 폐렴 폐렴(pneumonia)은 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의해 숨을 쉬는 경로 중 호흡세기관지 이하 부위의 폐조직에 염증반응과 경화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폐렴은 병원성 감염 중 두 번째로 흔하고, 사망률도 높아 중요한 질환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기침, 가래, 발열이 동반되면서 흉부사진에서 폐렴과 유사한 소견이 있으면 폐렴이란 진단과 더불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유사한 비감염성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서는 폐에서 원인이 되는 병원균을 검출하거나 합당한 병리소견을 증명하는 것이 확실한 진단법이다. 2. 경피적 ...2025.05.13
-
급성 담관염 환자의 간호 사례2025.04.301. 급성 담관염 담관염은 담석이나 담관암, 담도협착 등의 이유로 담도가 막혀서 담즙이 정체되고, 여기에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담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는 담도계의 급성 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병이며,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발열, 황달 등이 있습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금식, 수액 주사, 담관 배액술 등이 필요하며, 원인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2.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ERCP) ERCP는 담관이나 췌관의 이상으로 인한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내시경을 이용하여 십이지장...2025.04.30
-
만성 담낭염 환자의 수술 후 간호과정2025.01.031. 만성 담낭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만성 담낭염은 담석이 담낭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급성 또는 아급성의 담낭염이 반복됨으로써 발생한다. 담석으로 인해 담낭 내벽의 점막이 손상되고, 반복적인 염증 때문에 림프구의 침윤과 섬유화가 진행된다. 이로 인해 담낭벽이 두꺼워지고 석회질의 침착이 생기기도 한다. 담석이 총담관으로 이동하면 담석이 담관을 부분적 혹은 완전히 막아 담즙 저류가 발생하며, 이 경우 대부분 초기에 세균이 감염되어 담관염을 유발한다. 2. 경피경간적 담도배액술(PTBD)의 목적 및 과정 경피경간적 담도배액술(PTBD)은...2025.01.03
-
간농양 환자의 간호 사례2025.01.031. 간농양 간농양은 간 내부에 국소적으로 농양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근육통, 상복부 통증 등이 있으며, 혈액검사에서 WBC와 CRP 수치가 상승합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함께 경피적 배액술을 통해 농양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 중재로는 감염 징후 모니터링, 배액관 관리, 항생제 투여, 환자 교육 등이 필요합니다. 1. 간농양 간농양은 간 조직 내에 국소적인 농양이 형성되는 질환으로,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간농양은 간 기능 저하,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적절한 치...2025.01.03
-
A+ 성인간호학실습 MICU 간 농양 (Liver abscess) 케이스 (간호진단3개)2025.05.041. Liver abscess 간농양은 세균이나 아메바의 침범으로 인해 간 실질 조직에 농(고름)이 생긴 것으로, 세균성 간농양과 아메바 간농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농양의 3대 증상은 발열과 오한, 우상복부 통증, 간비대이며, 진단을 위해 영상검사와 세균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경피적 배액술 또는 수술적 배액술이 있다. 2. PDA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체내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서 카테터를 체외에서 농양 내부로 삽입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이다. 주...2025.05.04
-
주요 검사 전후 간호2025.05.051. CT 검사 CT 검사 전 처치에는 처방 확인, 6시간 NPO, NPO time 확인, 검사 전 확인기록, 보철물 제거, 조영제 부작용 과거력 확인, BUN/Cr 수치 확인, IV hydration이나 pre mucosten 처방 시 투여, 당뇨약 metfornim 성분 복용 여부 확인, IV line 22G 이상 유지, NS100 연결 등이 포함됩니다. 검사 후 처치에는 V/S check, 식이 진행, 수분 섭취 교육, 조영제 부작용 관찰, post mucosten 처방 시 투여, 전반적인 상태 관찰 등이 포함됩니다. 2. C...2025.05.05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2025.01.10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수치가 정상화되는 등 임상적으로 충분한 호전이 있으면서 카테터를 통해 나오는 액체의 양이 거의 없어지면 카테터를 제거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촬영(CT)...2025.01.10
-
PTBD, PCD, PTGBD, ENBD 배액관2025.01.151. ENBD 내시경적비담도배액술로, 담관에 배액관을 넣어 코까지 배액관을 꺼내어 담즙을 배액하는 시술입니다. 2. PTBD 경피경간담도배액술로, 간을 지나서 담관 안에 배액관이 위치합니다. 담관의 폐쇄 또는 협착으로 담즙의 배액이 필요한 경우(종양, 담석, ERCP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시행합니다. 3. PTGBD 경피경간담낭배액술로, 간을 지나서 담낭 안에 배액관이 위치합니다. 심한 담낭염 시 담낭의 염증 감소, 담즙으로 인한 복강 내 염증 방지, 담낭 절제술이 불가능할 시 시행합니다. 1. ENBD ENBD(Endoscopi...2025.01.15
-
KOPS REPORT(배액관 연결 오류)2025.01.131. 배액관 연결 오류 환자안전사고 주요사례에서는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와 PTBD(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시행 후 퇴실한 70대 남자 환자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당 간호사가 배액관 구분이 없어서 배액 양상으로 추측하여 처방과 반대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실(시술실)에서 의료진이 배액관에 구분 표시를 하고, 배액관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여 적절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등의 권고사항이 제시되었습니다. 2. 배액관 관리 방법 배액관 관리 방법으로는 배액주머니가 항상 배액관의...2025.01.13
-
성인간호학_케이스스터디_담낭염2025.01.221. 담낭염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관이나 통로 등이 좁아지는 것)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쓸개)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상복부 통증, 가벼운 발열, 식후 소화불량 등이 있으며, 치료로는 약물요법, 식이요법, 경피적 담낭 조루술(PTGBD), 췌담관 내시경 치료법(ERCP), 복강경 담낭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2. 경피적 담낭 조루술(PTGBD) PTGBD는 방사선 투시 영상을 이용하여 경피적으로(피부를 통해)...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