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54개
-
인공신장실 처치 및 검사: 복막평형검사와 조혈제 투약2025.11.121. 복막평형검사(PET) 복막평형검사는 혈장과 투석액 사이의 용질 투과율을 측정하여 복막의 특성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2.5% 포도당 투석액을 이용하여 0시간, 2시간, 4시간의 저류 시간에 투석액과 혈액 검사물을 채취합니다. 이를 통해 creatinine과 glucose의 복막투석액과 혈청 내 비율을 측정하여 peritoneal membrane의 clearance와 ultrafiltration rate를 평가하고, 투석의 효율성을 확인하며 개개인의 복막 특성에 맞는 투석방법을 결정합니다. 2. 조혈제(Recombinant Hu...2025.11.12
-
성인간호학실습 워드클래스 - Ventilator의 목적, 적응증, 종류와 기전2025.01.101.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 기계환기는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그에 대한 지지 간호가 필요하다. 2. 기계환기의 목적 기계환기의 목적은 폐포 환기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호흡운동의 부담을 줄여 주고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함, 동맥혈 산소화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호흡에 드는 노력을 감소시키고 안위증진을 도모하기 위함, 호흡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폐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함, 적절한 가습...2025.01.10
-
수술간호학 실습 지침서 사전학습 순환간호사 수술도구 지혈제 배액2025.01.28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에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있다.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며, 수술과정을 정확히 알고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팀의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수술실 환경을 점검하며 환자의 안위와 건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수술 체위 수술 부위에 따라 다양한 수술 체위가 사용된다. 앙와위, 트렌델렌버그 체위, 역행성 트렌델렌버그 체위, 복위, 측와위, 쇄석위 등이 있으며 각 체위의 특징과 주의사항이 있다. 수술 체위 선택 시 ...2025.01.28
-
수술실, 회복실 Daily2025.05.131. 수술실 실습 실습하면서 배웠던 것, 느낀 점 등을 작성한 자료입니다. 수술실 실습이 제일 재밌었고 실습 전 걱정이 많이 되었었습니다. 일반 병동과 달리 정보도 없고 많이 생소했기 때문이에요. 수술실 실습에 대한 꿀팁을 몇 가지 적어보고자 합니다. 2. 마취과 실습 마취과 실습할 때는 오전에는 수술방 들어가서 마취과 간호사의 수술실 루틴을 보고 한타임 보고 나면 회복실 들어와서 회복실 업무를 도왔습니다. 3. 수술 전 준비 수술을 참관하기 전 해당 방 선생님께 참관해도 되는지 예의상이라도 여쭤보자!! 점심식사 식당 관련해서도 확...2025.05.13
-
성인간호실습_ 중환자실_ 폐렴_ Pneumonia_ 간호과정10개_ A+자료2025.01.171. 폐렴의 원인과 역학 폐렴의 일반적인 원인은 방어기전의 손상으로 인한 공기 여과, 흡입 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 반사, 점액 섬모 청결작용 등의 손상이다. 위험요인으로는 의식 상태 저하, 기관내 삽관, 공기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 영양장애 등이 있다. 세균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사슬알균(폐구균)이며, 가슴막 반응이나 가슴막 삼출, 농흉, 무기폐를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2.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은 세기관지와 폐의 폐포 부위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발생한다. 폐의 염증이 발생하면 해당 부위로 혈류량이...2025.01.17
-
뇌졸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2025.11.171. 뇌졸중의 정의 및 병태생리 뇌졸중은 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뇌조직의 허혈현상으로 뇌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뇌의 저산소증, 무산소증, 저혈당증은 허혈부위의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및 조직을 경색·괴사시킨다. 뇌경색 및 뇌졸중과 같은 뇌혈관 질환은 국내에서 질병부담이 크고 주 사망요인으로 다루어지며, 2019년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42명으로 상당히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2. 뇌졸중의 위험요인 및 예방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당뇨, 흡연,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과체중, 신체활동 부족 등 일상생활에서의...2025.11.17
-
신생아 호흡기 증후군(RDS) 케이스 간호과정2025.11.141. 신생아 호흡기 증후군(RDS)의 정의 및 병태생리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표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 부족으로 인해 폐포가 펴지지 않아 호흡 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재태 기간이 짧을수록 발생빈도가 높으며, 30주 이하에서는 65%, 32~36주에서는 15~20%, 37주 이상에서는 5% 정도입니다. 미숙아의 폐는 세기관지와 흉곽이 미숙하고, 폐포 개수가 적으며, 폐표면활성제 분비가 저하되고, 호흡중추가 미숙합니다. 2. RDS의 임상 양상 및 진단 RDS의...2025.11.14
-
뇌내출혈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2025.11.121. 뇌내출혈(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은 뇌혈관질환으로 뇌 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신경학적 장애이며,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한다. 연질막 아래의 뇌실질내에 출혈이 있는 경우를 뇌내출혈이라 하며, 모든 뇌졸중의 약 10%를 차지한다. 대부분 고혈압과 관련되어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 상승 시 터지면서 발생하며, 발생 후 48시간 이내 50%가 사망에 이른다. 증상으로는 심한 두통, 오심, 구토, 편마비, 동공확대, 혼수 등이 나타난다. 2. 뇌내출혈의 치료 및 간호 뇌내출혈 치료는 혈종 ...2025.11.12
-
골관절염 환자의 간호과정 및 치료 사례2025.11.141.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골관절염은 퇴행성관절염으로도 불리며,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의 손상 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에 손상이 일어나고 염증과 통증이 생깁니다. 55세 이상에서 약 80%, 75세 이상에서는 거의 전인구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약한 동통을 느끼며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 악화되고, 진행되면 심한 운동장애와 관절 변형이 나타납니다. 2. 슬관절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 슬관...2025.11.14
-
뇌경색 노인간호 사례연구 및 간호과정2025.11.171.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의 정의 및 병태생리 뇌경색은 허혈성 뇌졸중으로 뇌를 관류하는 동맥에 협착이나 폐색이 일어나 뇌순환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신경세포는 혈액을 통한 산소공급과 포도당으로 생존하며, 혈류차단이 10~20초 경과하면 뇌의 전기활동이 중단되고, 3분 이상 지속되면 뇌신경세포가 부종을 일으키며, 5~10분 경과 시 포도당이 고갈되어 뇌신경세포가 사망합니다. 뇌신경세포는 재생되지 않아 반드시 후유장해를 남기게 됩니다. 2. 뇌경색의 임상증상 및 신경학적 손상 뇌경색의 주요 증상으로는 반신불...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