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0개
-
DC Cardioversion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2025.11.171. DC Cardioversion의 목적 및 적응증 DC cardioversion은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심방세동(A-fib), 심방조동(Atrial flutter), 발작성상심실성빈맥(PSVT), 맥박이 있는 심실빈맥(V-tach) 등이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불규칙한 심장 리듬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이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2. Defibrillation과의 차이점 Cardioversion과 defibrillation의 주요 차이점은...2025.11.17
-
급성신부전 환자의 간호과정 및 중재 계획2025.11.161. 급성신부전(Acute Kidney Injury)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혈중 질소노폐물과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본 케이스에서는 진단적 계획을 통해 혈중 전해질, 알부민, BUN, Creatinine 수치를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투석을 통해 혈중 질소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여 부종을 완화시킵니다. 신부전 식이와 수분제한을 통해 신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치료 경과를 관찰합니다. 2. 체액과다(Fluid Overload) 급성신부전 환자에서 신장의 배설 기능 저하로 인해 체내 수분이 축적되어 부종과...2025.11.16
-
A+ 흉부대동맥 동맥류 케이스(SICU), 감염 위험성, 급성 통증, 불안정한 혈압2025.01.231. 흉부대동맥 동맥류 흉부대동맥 동맥류는 대동맥 벽의 확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흉부 통증, 호흡곤란, 연하곤란 등이 있으며, 파열 시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영상검사와 혈관조영술이 사용되며, 수술적 치료나 스텐트 삽입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후 간호에는 감염 예방, 통증 관리, 혈압 및 혈당 조절 등이 포함됩니다. 2. 감염 위험성 수술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하여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 모니터링, 무균술 준수, 항생제 ...2025.01.23
-
수술실 간호: 무균법, 마취, 회복실 관리2025.11.171. 외과적 무균법 수술실에서 수술부위와 접촉하는 기구, 물품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무균상태를 유지하는 기술. 멸균된 물품이 비멸균 물품에 접촉되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며, 멸균 영역의 가장자리 2.5cm는 오염된 것으로 봄. 외과적 무균술의 기본 원리는 멸균된 물품끼리만 접촉할 때 멸균 상태가 유지되며, 의심스러울 때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함. 정직성, 의식성, 기민성이 중요한 자질임. 2. 멸균 및 소독 방법 물리적 멸균법으로는 여과법, 소각법, 자비소독, 자외선소독, 고압증기멸균, 건열법이 있음. 화학적 멸균법으로는 EO gas ...2025.11.17
-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간호 사례연구2025.11.121.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뇌혈관의 내탄력층과 중막이 손상되어 혈관벽이 부풀어올라 새로운 혈관 내 공간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윌리스고리에서 90% 이상이 발견되며, 대부분 10mm 이하의 크기를 가진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역학적 압력, 흡연, 고혈압 등이 위험요인으로 추정된다. 파열 시 지주막하 출혈, 뇌 내 출혈, 뇌실 내 출혈을 유발하며 극심한 두통, 오심, 구토,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최근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2. 혈관 내 코일 색전술(Trans...2025.11.12
-
중환자실 실습 사전과제 -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안전관리, 장비 및 기계 등2025.05.131.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중환자실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을 맺고 있어 병원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중환자실의 구조와 시설에는 병상, 간호사 스테이션, 청결물실, 오염물질 처리, 기기창고, 직원휴게실, 면담실, 의사 당직실, 간호사 갱의실, 출입구, 방문자 대기실 등이 포함된다. 중환자실은 감염 예방을 위한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전기, 의료가스, 의료장비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2. 중환자실 안전관리 중환자실에서는 낙상, 신체억제대 사용, 환자 이송, 의료팀 간 의사소통, 인공호흡기 사용 ...2025.05.13
-
성인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ABGA, CVP, 신경외과계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 근육의 강도 등급 5단계, GCS, 인공기도, 두개내압간호 A+2025.04.271. ABGA ABGA(동맥혈가스검사)는 신체의 산염기 균형과 산소공급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ABGA의 목적은 폐가 산소를 조직으로 잘 전달하고 세포대사에서 생긴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지 확인하고, 호흡과 대사성 이상을 가진 환자를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ABGA를 통해 동맥혈의 pH를 측정할 수 있어 인체의 산-염기 균형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ABGA의 정상치와 결과 해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CVP 중심정맥압(CVP)은 우심방 내의 압력으로, 우심방...2025.04.27
-
A+ ARDS(성인호흡부전증후군) 간호과정(CASE) 간호진단 2개 포함!!2025.01.131. ARDS(성인호흡부전증후군) ARDS는 호흡곤란, 산소공급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청색증, 가슴 방사선 사진상 보이는 양 폐의 침윤의 세가지 특징을 보이는 호흡기질환이다. 특히 최근까지 표준적인 진단 기준이 확립되지 않아서 치료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질병이기도 하다. 실제적으로 이 증후군은 중환자 관리 전문가의 시간, 정력, 자원을 소모하기에 충분할 만큼 자주 일어난다. 미국에서는 1년에 15만 건으로 추정하였고 한국에서는 1년에 약 167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2. ARDS 병태생리 ARDS의 병태생리는 허파 꽈리 모세혈...2025.01.13
-
성인간호학실습 마취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2025.01.161. 전신마취 관련 사용 약물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해 byfavo (Remimamazolam), Remiva inj (Remifentanyl), alfentanyl, Esmeron 등의 약물이 사용되었다. 마취 유지를 위해 sevoflurane 흡입마취제와 Remifentanil이 사용되었다. 2. 마취 중 monitoring 마취 중 EKG, NBP, sPO2, 뇌파감시장치 등을 통해 환자의 생체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마취 유지 시 뇌파감시장치를 통해 마취 깊이를 40-60 사이로 유지하였다. 3. 마취 전 preparat...2025.01.16
-
응급실 케이스스터디: 급성 위궤양 출혈 환자 간호2025.11.121. 위장관 출혈(흑색변, 토혈)의 진단 및 응급 처치 위장관 출혈 환자가 내원하면 먼저 혈액량이 신체 각 기관에 산소를 운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지 확인해야 한다. 다량의 혈액 손실로 쇼크 상태에 빠진 경우 수액 요법이나 수혈로 혈압을 올려 생명에 관계되는 혈액순환을 유지하는 것이 우선이다. 혈압 정상화 후 내시경 검사, 혈관촬영, 방사선 동위원소 스캔 등으로 출혈 부위를 찾아 치료한다. 흑색변은 상부 위장관 출혈을 의심하게 하며, irrigation을 통해 확인하고 침상안정, 활력징후 모니터링, NPO 처방 이행이 필수적이다...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