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2개
-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2025.11.141. 저항 측정 및 오차 분석 30개의 10kΩ 저항(5%)을 측정하여 유효숫자 3자리로 기록하고 평균값을 구했다. 실험 결과 오차율이 0~2% 범위에 있어 5% 이상 벗어난 저항은 0%였다. 표준편차는 0.059595로 계산되었다. 병렬 연결 시 표준편차는 0.030174로 감소하여 오차가 줄어듦을 확인했다. 2. 2-wire와 4-wire 측정법 비교 점퍼선의 저항을 2-wire와 4-wire 측정법으로 측정하여 비교했다. 2-wire 측정법에서는 직렬 연결값이 단일값의 2배가 되지 않았으나, 4-wire 측정법에서는 거의 2배...2025.11.14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4 결과보고서2025.01.201. Thevenin 등가회로 설계 이번 실습의 목적은 Thevenin과 Norton의 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등가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Thevenin의 정리는 복잡한 회로를 하나의 독립 전압원과 저항이 직렬 연결된 회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 회로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이론적으로 또는 실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실습에서는 브리지회로의 부하 R_L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고, DMM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V_Th와 R_Th를 측정한 후, Thevenin ...2025.01.20
-
BJT 에미터 바이어스 및 콜렉터 궤환 바이어스 회로 실험2025.11.161. BJT 에미터 바이어스 회로 에미터 바이어스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이며 소자 사용이 적어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온도 변화에 따라 전류와 전압 값이 변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험에서 2N3904와 2N4401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동작점을 측정하였으며, 에미터 전압이 증가하면 베이스 전류가 감소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확인했다. 2. BJT 콜렉터 궤환 바이어스 회로 콜렉터 궤환 바이어스는 높은 안정성으로 많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자가 많이 사용되어 회로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2025.11.16
-
[중앙대전전][전기회로설계실습][결과보고서]-10.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2025.05.151.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이번 실험은 R,L,C 소자로 구성한 RLC 회로의 과도응답과 정상상태 응답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회로를 소자를 이용해 구성하고 과감쇠, 임계감쇠, 저감쇠들의 특성들과 특성이 나타나는 저항을 가변저항과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확인하였다. 저항 값을 DMM으로 측정 후 진동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값들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대부분의 실험의 경우 5%이내의 오차율을 보여 만족스러운 실험이였다. 다만 인덕터의 저항 성분을 고려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하여 오차가 발생한 점을 보완하면 오...2025.05.15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3.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2025.05.131. 분압기 설계 본 실험은 복잡한 회로를 간단한 등가회로로 만드는 Thevenin등가회로를 직접 설계, 제작, 측정하여 원본 회로 및 이론값과 비교하는데에 의의가 있다. 부하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회로와 부하효과를 고려한 회로 두 가지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무부하상태와 부하가 있을 때의 전압을 측정하여 설계 조건들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였다. 2. 등가전압 및 등가저항 측정 실험계획 3.3의 방법으로 V_Th를 측정하고, R_L를 측정하여 이론값과의 오차를 확인하였다. 오차의 이유로는 DMM의 내부저항값을 고려하지 않았고 DC Pow...2025.05.13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1 결과보고서2025.11.181. 저항 측정 방법 (2-wire vs 4-wire) DMM을 이용한 저항 측정에서 2-wire와 4-wire 방식을 비교 분석했다. 30개의 10kΩ 저항을 측정한 결과 평균값 9.925kΩ, 표준편차 0.040으로 오차가 1.5% 이내였다. 2-wire 방식에서는 리드선의 저항과 접촉저항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하지만, 4-wire 방식은 이러한 오차를 제거하여 더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한다. 51Ω 저항 측정 시 2-wire는 0.476%, 4-wire는 0.486%의 오차율을 보였다. 2. 병렬 저항 측정 및 오차 분석 10kΩ...2025.11.18
-
Thevenin 등가회로 설계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Thevenin 등가회로 복잡한 회로도를 간단하게 만들어 주는 Thevenin 등가회로를 이해하고 설계하였다. 실험의 전반적인 내용은 ① Thevenin 등가회로 이론으로 이상적인 상황에서 계산하여 구한 ��에서의 전압, 전류 값을 구한다. ② 이론과 똑같은 회로를 실제로 설계하여 DMM으로 ��의 전압, 전류를 구한다. ③ 설계한 회로에서 ��ℎ, ��ℎ를 구하여 Thevenin 등가회로를 설계한 후 이 회로에서의 ��에서의 전압, 전류의 값을 구한다. 이렇게 구한 ①,②,③의 값들을 각각 비교한다. 실험 결과 오차율 모두 ...2025.04.25
-
오실로스코프 및 함수발생기 동작 실험2025.11.17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오실로스코프는 공학도의 필수 장비로, 전압파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계측기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AUTOSET 기능(초기화), 수직제어기(Vertical), 수평제어기(Horizontal), 트리거 제어기 등이 있다. 수직제어기는 채널 디스플레이와 커서 위치를 조정하고, 수평제어기는 시간축 배율을 설정한다. 트리거 제어기는 신호 획득을 위한 진폭 레벨을 설정한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전압의 직류·교류 성분, 주기, 주파수, 위상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2. 함수발생기(Function Ge...2025.11.17
-
중앙대 전전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Feedback Amplifier2025.05.021. 피드백 증폭기 이 보고서의 목적은 피드백을 이용한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Series-Shunt 구조와 Series-Series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고 실험하여 입출력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준비물로는 Function Generator, Oscilloscope, DC Power Supply, DMM, MOSFET, Op Amp, LED, 저항 등이 필요합니다. 설계 실습 계획서에는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와 Series-Series 피드백 회로 설계 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2025.05.02
-
[중앙대전전][전기회로설계실습][결과보고서]-2.전원의 출력저항,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설계2025.05.15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0에 근접한 값으로 매우 작았으며, 건전지 전압 측정 결과 6V보다 낮은 4.6V가 측정되었다. 이는 건전지가 장시간 방치되어 방전된 결과로 추정된다. 2. DMM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은 10MΩ 남짓한 값으로 매우 컸다. 대부분의 경우 DMM의 내부저항 영향이 미미했지만, 22MΩ과 같이 상당히 큰 저항을 사용할 경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DMM을 사용해 측정할 때 오차가 발생하면 회로의 저항값을 계산해보고 내부저항의 영향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3. 옴의 법칙 확인 전...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