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0개
-
ICU <T-SAH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간호진단2개)>2025.05.091.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T-SAH)은 두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출혈로, 중증 외상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이 환자는 오토바이 사고로 인해 T-SAH 진단을 받고 TICU에 입원하였다. 주요 간호 목표는 욕창 예방과 합병증 관리이며, 간호 진단으로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와 '비효율적 기도 청결'이 도출되었다. 간호사는 체위 변경, 피부 관리, 호흡 관리 등의 중재를 통해 환자의 상태 호전을 도모해야 한다. 1. 외상성 ...2025.05.09
-
ventilator, 인공호흡기2025.05.111. Ventilator의 정의와 적응증 Ventilator는 환자의 호흡이 유지되지 않아서 폐에서 산소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호흡부전이 치료되는 동안 인위적으로 호흡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적응증은 저산소증, 장기간 스스로 환기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산염기 불균형 교정, 다른 산소 보조기구를 통한 호흡만으로 O2, CO2의 정상수치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폐질환이 있는 경우 등이다. 2. Ventilator의 종류 Ventilator에는 음압 인공호흡기와 양압 인공호흡기가 있다. 음압 인공호흡기는 흉벽 주변에...2025.05.11
-
통합시뮬레이션 모듈 신생아간호 PBL2025.05.101. 저산소증 신생아가 저산소증인 경우, bulb syringe나 rubber catheter를 이용하여 비인두강으로부터 분비물들을 흡인시켜 제거한다. 흡인 압력은 100 mmHg 이하로 유지한다. 흡인 후에도 4시간 정도는 기도 내 분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침대머리를 15~30° 정도 낮추고 측위로 눕힌다. 그 이후로는 침대를 수평으로 하고 목이 약간 신전된 자세로 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기계흡인 시 미주신경 자극(vagal stimulation)으로부터 발생하는 반사성 서맥, 후두경련, 심부정맥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럽...2025.05.10
-
성인 실습 A+ 맞은 기흉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2025.05.10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부종, 발적)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3일 이내에 감염을 나타내는 수치가 감소할 것이다. 5일 이내에 대상자와 보호자는 감염 예방을 위해 배액관의 관리와 철저한 손씻기에 대한 내용에 대해 물었을 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4시간마다 V/S와 SPO2를 사정하고,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Neutro 수치를 확인하였다. 흉부배액관 삽입부위를 매일 하루 두 번씩 사정하고 멸균적으로 관리하였다.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하고, 흉부배액관 감염관리 Check list를 1...2025.05.10
-
장염전(Sigmoid Volvulus) 수술실 케이스2025.05.071. 장염전(Sigmoid Volvulus) 장염전은 소화관의 일부가 장간막을 축으로 회전하거나 주변 섬유화에 의해 유착되어 꼬인 상태를 말한다. 장염전은 장의 통과 장애와 순환 장애를 초래하며, 특히 에스상 결장, 소장, 맹장에 잘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갑작스러운 복통이며, 오심, 구토, 혈변, 복부 팽만, 탈수, 변비, 장폐색 등의 증상이 급성 또는 재발성으로 올 수 있다. 진단은 증상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으며 CT 검사로 정확하게 진단한다. 표준 치료법은 수술이며, 수술을 통해 장의 꼬인 부분을 풀어준다. 응급수술이 필요치 ...2025.05.07
-
당뇨병 산모 출생아 IDM(Infant of diabetic mother)의 간호2025.01.031. 당뇨병 당뇨병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병으로, 정상인의 경우 혈당이 조절되지만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용하지 않으면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임신 중 당뇨로 진단된 경우를 임신성 당뇨(GDM)라고 하며, 이는 태아의 성장과 발달로 인한 에너지 요구량 증가와 신체 대사 변화로 인해 나타난다. 2.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IDM) 당뇨병이 있는 임부가 인슐린 요법을 적절히 실시하지 못하여 모체의 혈당이 정상 이상일 때, 혈액 중의 당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태아의 췌장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2025.01.03
-
ATLS (Advanced Trauma Life Support)2025.01.031. Trimodal distribution of trauma deaths Trauma deaths occur in a trimodal distribution: 1) 병원 도착 전 사망 (두부 파열, 주요 장기손상), 2) 병원 도착 수분 ~ 수시간내 사망 (두부, 흉부, 복부 장기손상), 3) 사고 수일 이후 사망 (패혈증, 다발장기부전) 2. ATLS Primary Survey ATLS Primary Survey는 Airway maintenance with restriction of cervical spine motion, Br...2025.01.03
-
신생아실 Case Study (비정상적인 호흡음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2025.01.181. 신생아의 호흡 및 순환기계 적응 신생아는 출생 후 첫 24시간이 중요한 시기로, 특히 출생 직후 1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의 호흡기계와 순환기계는 태아에서 자궁 외 생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많은 변화를 겪는다. 호흡 중추의 자극, 폐혈관 저항 감소, 난원공과 동맥관의 기능적 폐쇄 등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호흡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 표면활성물질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신생아에게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호흡음과 관련이 있다. 이...2025.01.18
-
IntraCerebral Hemorrhage, 뇌출혈, case study2025.01.171. 뇌내출혈 해부학적 구조 뇌는 풍부한 혈액 공급이 필요한 중요기관 중 하나다. 뇌혈관은 크게 동맥과 정맥으로 나뉘며, 동맥은 신전 대동맥에서 나와 뇌로 향하는 주요 혈관들로 구성된다. 뇌의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2. 뇌내출혈의 병태생리 뇌내출혈은 뇌실질 내에 일어나는 출혈로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이나 혈관종, 뇌종양, 출혈성 소인, 두부외상 등의 출혈 원인이 있다. 대부분이 뇌출혈의 원인이 고혈압이고, 활동과 관련되어 발생하고 가족력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3. 뇌내출혈의...2025.01.17
-
성인간호학실습 사례보고서A+(Inguinal hernia CASE STUDY-질병연구, 간호사정, 간호과정 포함 급성통증/비효과적호흡양상/비효율적대응)2025.01.151. 급성통증 대상자는 수술 후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하였다. 통증은 NRS 4/10점으로 확인되어 정규 비마약성 진통제인 Denogan 1g bid IV 처방이 되어 투여하였다. 투여 후 통증이 감소하였으며, 5월 10일부터는 PRN 진통제 추가 요구가 없었다. 대상자의 통증은 수술로 인한 일시적인 것으로 점점 나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2. 비효과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수술 부위 통증으로 인해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여 기도 내 분비물이 축적되었다. 이에 PRN으로 Cough syrup 20ml stat po로 처방되어 투여하였...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