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82025.05.091. 16x8bit Register file 이번 과제에서는 16x8bit Register file을 구현했습니다. 이 구조는 4bit의 address, 8bit의 data 크기, 16개의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wr_enable이 활성화되면 clk 신호에 맞춰 din 값이 wr_addr에 입력되어 저장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Shift Register Shift Register 모듈을 구현하면서 clk이 positive edge일 때 qout이 shift되는 과정을 통해 동작 ...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112025.05.091.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 이 프레젠테이션은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를 위해 Verilog 코드를 사용하여 상태 머신을 설계하고, 각 상태에 따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합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하고, 합성 후 critical path delay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FSM 설계의 효율성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상태 머신 설계 이 프레젠테이션에서는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를 구현하기 위해 상태 머신을 설계합니다. ...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 2주차 과제2025.05.041. Verilog 프로그래밍 이번 과제에서는 Verilog 프로그래밍을 통해 1-Bit Full Adder와 8-to-1 MUX를 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학생은 Verilog 문법을 처음 다루어 어려움이 있었지만, 실습 예제를 복습하면서 모듈, 포트 선언, 벡터 형식 등 Verilog 기본 개념을 익혀나갔습니다. 특히 s[2], s[1], s[0]를 잘못 입력하여 결과가 올바르지 않았던 경험을 통해 Verilog 코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을 배웠습니다. 2. 1-Bit Full Adder 이번 과제에서는 1-Bit Full A...2025.05.04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92025.05.091. 4비트 CLA 어드러 4비트 CLA 어드러를 구현하고 RTL 스키매틱과 합성 스키매틱을 비교했습니다. 테스트 벤치 코드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했고, 결과 분석을 통해 Critical Path Delay가 6.672ns임을 확인했습니다. 2. 32비트 CLA 어드러 32비트 CLA 어드러를 구현하고 RTL 스키매틱과 합성 스키매틱을 비교했습니다. 테스트 벤치 코드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했고, 결과 분석을 통해 Critical Path Delay가 7.416ns임을 확인했습니다. 3. 비트 수에 따른 Critical Path ...2025.05.09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11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이번 실험을 통해 컴퓨터가 폰 노이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간단한 동작을 구현하는 데 매우 복잡한 코드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한 글자의 실수로 아예 값이 출력되지 않는 경험을 많이 하였습니다. 2. 데이터 경로(Data Path) 모듈 설계 및 구현 입력값과 출력값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코딩할 때에는 알맞은 값이 잘 입력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는 매우 ...2025.05.10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3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2-to-4 Line Decoder 2-to-4 Line Decoder의 동작을 구현하였습니다. A0=0, A1=0일 때 출력, A0=1, A1=0일 때 출력, A0=0, A1=1일 때 출력을 확인하였습니다. 2. 3-to-8 Line Decoder 3-to-8 Line Decoder의 동작을 구현하였습니다. A0=1, A1=1, A2=0일 때 출력, A0=0, A1=0, A2=1일 때 출력, A0=1, A1=0, A2=1일 때 출력을 확인하였습니다. 3. Binary-to-BCD Converter Binary-to-BCD C...2025.05.10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4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4 bit Adder/Subtractor 구현 및 FPGA 동작 검증 이번 실험에서는 4 bit Adder/Subtractor 회로를 구현하고 FPGA에서 동작을 검증하였습니다. Half-Adder와 Full-Adder 회로를 기반으로 4-bit Ripple Carry Adder와 4-bit Adder/Subtractor 모듈을 구현하였습니다. 다양한 입력 조건에 대해 Cout과 Sum 신호를 확인하여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습니다. 2. 4 bit*4bit Multiplier 구현 및 FPGA 동작 검증 또한 4 ...2025.05.10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52025.05.091. 4bit comparator 4비트 comparator 모듈을 구현하고, 이를 연결하여 8비트 cascadable comparator 모듈을 구현하였다. 각 비트를 비교하여 크다, 같다, 작다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Matrix multiplication 행렬 곱셈 모듈을 구현하면서 컴퓨터가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었다. 2차원 배열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3. Positive-edge triggered D flip-flop 양 에지 트리거 D 플립플롭을 구현하면서 동작 ...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 이론과제22025.05.091. 디지털 시스템 설계 이 과제는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과제에서는 0부터 999까지 카운트하는 카운터 모듈과 11011 패턴을 검출하는 유한상태기계(FSM) 모듈을 설계하고 검증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카운터 모듈은 동기화된 리셋 입력을 가지며, 999에서 다음 값으로 넘어갈 때 0으로 초기화됩니다. FSM 모듈은 중첩된 패턴 검출을 허용하는 Mealy 모델로 설계되었습니다. 과제를 통해 디지털 시스템 설계 및 검증 기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1. 디지털 시스템 설계 디지털 시스템 설계는 현대...2025.05.09
-
NAND와 NOR 게이트를 이용한 AND, OR, NOT 게이트 구현2025.05.111. NAND 게이트를 이용한 AND 게이트 구현 NAND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거짓을 출력하는 게이트이다. 따라서, NAND 게이트의 출력을 다시 N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하면 AND 게이트를 얻을 수 있다. AND 게이트의 논리식은 Q = (A NAND B) NAND (A NAND B)이며, 부울 대수를 통해 증명하였다. 2. NOR 게이트를 이용한 AND 게이트 구현 N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거짓일 때만 참을 출력하는 게이트이다. 따라서, NOR 게이트를 이용하여 AND 게이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입...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