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5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Binary to 7-SEGMENT 이번 실험을 통해 7-segment의 8자리가 어떻게 동시에 보여지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Binary to 7-segment를 구현할 때에 저번 시간에 만들었던 binary to BCD를 사용하였고, 이렇게 만든 Binary to 7-segment 함수를 이용해 7-segment 계산기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간단한 동작을 하는 함수 하나를 만드는 데에도 그 안에 많은 함수가 쓰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2. Adder/Subtractor와 연결한 7-SEGMENT 만들기...2025.05.10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102025.05.091. FSM Detector 이번 과제를 통해 FSM Detector를 구현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Testbench에서 1101 sequency를 포함하는 input x '011011011110111' sequency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FSM 모듈은 위의 input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1을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분석하면서 Detector의 원리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Verilog Code 과제에서는 FSM_Detector 모듈을 Verilog로 구현하고, Test Bench...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72025.05.091. DFF with synchronous reset and enable 이번 실습에서는 DFF with synchronous reset and enable를 구현하였습니다. 실습 강의노트에 주어진 코드를 입력했지만, 결과 파형을 분석할 때 Q와 QBAR의 값이 반전되지 않는 결과가 생겼습니다. 이는 변수명을 잘못 입력해 생긴 결과였지만, 강의노트에 있는 모듈 코드에서 posedge clk과 'negedge reset'을 추가한 것이 asynchrous 일 때 쓰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또한 D-FF의 동작원리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2025.05.09
-
디지털시스템실험 A+ 9주차 결과보고서(Sequential Circuit)2025.05.141. 동기식 UP/DOWN Counter 설계 이번 실험을 통해 동기식 카운터와 비동기식 카운터의 차이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 코드토의를 작성할 때 if문 안에 module을 불러오면 오류가 떠서 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q값의 변화에 관한 코드를 이용하였습니다. 2. 카운터를 이용한 Sequential Circuit 미니프로젝트 설계 또한 모듈의 입력값이나 출력값이 두 자리 이상일 때 하나로 묶어서 넣어 주게 되면 값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동기식 UP/DOWN Counter 설계 동기식 UP...2025.05.14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13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이번 실험을 통해 Simple Computer의 동작을 구현해 보고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Control Unit, Data Path, Register File, Function Unit 등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2. Simple Computer 시뮬레이션 코드를 작성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는 과정에서 코드 작성 순서를 지키지 않거나 Radix 설정을 잘못하는 등 작은 실수들이 여러 번 있었지만, 그만큼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Simple Computer의...2025.05.10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62025.05.091. 4-to-1 MUX 이번 실습에서는 4-to-1 MUX를 Verilog 코드로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if-else 문과 case 문을 사용하여 MUX를 구현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입력 신호 s0, s1에 따라 출력 i0, i1, i2, i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4-bit 시프트 레지스터 4-bit 시프트 레지스터를 Verilog 코드로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non-blocking 할당을 사용하여 클록 신호에 맞춰 입력 sin 값이...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122025.05.091. 32-bit ALU 설계 이번 실습에서는 32비트 ALU(Arithmetic Logic Unit)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습니다. 하위 모듈인 Full Adder, ALU_1, ALU_2를 구현한 후 이를 활용하여 32비트 ALU Top Module과 Pipeline Top Module을 구현하였습니다. 다양한 ALU 연산(AND, OR, ADD, SUB, SET ON LESS THAN)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Synthesis 후 Schematic을 분석하여 Critical Path Delay...2025.05.09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10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SRAM 구현 및 읽기/쓰기 동작 본 실험을 통하여 16X4 SRAM을 구현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SRAM을 이용하여 계산기를 구현할 때 결과값이 FPGA에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었는데, 7 segment control module에서 rst 값에 1을 넣어주는 것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2. SRAM을 이용한 계산기 구현 8X4 SRAM을 이용하여 계산기를 구현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SRAM을 프로젝트에 응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수 있도록 하면 좋을 ...2025.05.10
-
[디지털공학개론] 아래의 POS형 부울 함수들에 대한 카르노 맵을 작성하세요. 단, 맵에는 '0'으로 채워지는 셀들만 표시하세요.2025.01.211. 부울 함수 간소화 이번 분석을 통해 카르노 맵을 사용하여 POS형 부울 함수를 시각화하고 간소화하는 방법을 확인했습니다. 각 함수에서 '0'으로 표시된 셀들은 함수가 0이 되는 특정 조건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함수의 최적화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카르노 맵은 복잡한 부울 함수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간소화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회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유용합니다. 회로의 크기, 비용, 전력 소비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카르노 ...2025.01.21
-
디지털 공학을 설명하고 2-입력 부울함수를 이용하여 2-입력 부울함수 곱셈을 구현하시오2025.01.181. 디지털 공학 디지털 공학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정보를 저장, 전송, 처리하는 시스템을 다룬다. 디지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입력 장치, 논리 게이트, 출력 장치로 구성되며, 고속성, 정확성, 신뢰성, 유연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회로의 구성 요소로는 논리 게이트, 플립플롭, 디코더, 인코더, 멀티플렉서 등이 있다. 2. 부울 대수와 논리 게이트 부울 대수는 부울 변수와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여 부울 함수를 다루는 대수적인 체계이다. 대표적인 논리 게이트로는 AND, OR, NOT, XOR, NAN...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