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기업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분석
본 내용은
"
특정 기업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다운(각각 3년 간) 받아서 비율 분석을 실시하여 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등을 분석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1
문서 내 토픽
  • 1. 유동성 비율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을 분석하여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8년에는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 각각 357.6%와 318.2%로 매우 높았지만,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273.5%, 247.1%와 259.4%, 235.4%로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단기 지급능력이 점차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 자본구조 비율
    부채비율은 2018년 15.1%에서 2019년 45.5%, 2020년 57.2%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부채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반면 이자보상비율은 2018년 -14배, 2019년 -192배, 2020년 -96배로 매우 낮아 이자 지급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입니다.
  • 3. 활동성 비율
    총자산회전율은 2018년 0.82배, 2019년 1.1배, 2020년 1.2배로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는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매출을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재고자산회전율과 매출채권회전율은 2020년 각각 28.2배와 39.7배로 높아, 재고와 매출채권 관리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4. 성장성 비율
    매출액 증가율은 2018년 33.4%, 2019년 42.9%, 2020년 20.1%로 점차 둔화되고 있습니다. 총자산 증가율도 2018년 56.2%, 2019년 -16.0%, 2020년 90.5%로 변동이 큰 편입니다. 순이익 증가율은 2018년 -12.7%, 2019년 -25.5%, 2020년 -13.4%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5. 수익성 비율
    매출액순이익률은 2018년 14.0%, 2019년 15.6%, 2020년 19.5%로 개선되고 있지만, 총자산순이익률과 자기자본순이익률은 각각 2018년 -3.4%, -41.1%, 2019년 -25.5%, -34.6%, 2020년 -7.1%, -11.6%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수익성이 부족하고 자본효율성이 낮음을 보여줍니다.
  • 6. 생산성 비율
    부가가치율은 2018년 60.1%, 2019년 70.8%, 2020년 69.7%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노동생산성은 2018년 491.1백만 원, 2019년 496.6백만 원, 2020년 482.9백만 원으로 큰 변화가 없지만, 자본생산성은 2018년 107.7%, 2019년 118.3%, 2020년 126.7%로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 7. 시장가치 비율
    주가수익비율은 2018년 3.3배, 2019년 -6.9배, 2020년 -35.4배로 매우 낮아졌습니다. 주가장부가치비율도 2018년 2.84배, 2019년 2.96배, 2020년 2.73배로 하락하여 기업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유동성 비율
    유동성 비율은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단기 채무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동성 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기업은 적절한 유동성 비율을 유지하여 단기 채무 상환 능력을 확보하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자본구조 비율
    자본구조 비율은 기업의 자본 조달 방식을 나타내는 지표로, 부채와 자본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부채에 의존하는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본구조 비율은 기업의 재무 위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은 적절한 자본구조 비율을 유지하여 재무 위험을 관리하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활동성 비율
    활동성 비율은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자산 회전율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활동성 비율은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성과를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은 적절한 활동성 비율을 유지하여 자산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성장성 비율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매출 증가율, 자산 증가율 등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미래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장성 비율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미래 가치를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적절한 성장성 비율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합니다.
  • 5. 수익성 비율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매출 대비 이익률, 자산 수익률 등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은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적절한 수익성 비율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합니다.
  • 6. 생산성 비율
    생산성 비율은 기업의 생산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등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생산 효율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산성 비율은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생산 능력을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은 지속적인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적절한 생산성 비율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합니다.
  • 7. 시장가치 비율
    시장가치 비율은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 대비 장부가치 비율, 주가 대비 이익 비율 등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시장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가치 비율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투자 가치를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은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통해 시장 가치를 높이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