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동기부여 전략
본 내용은
"
중앙대 간호관리학2 개인과제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30
문서 내 토픽
-
1. 기대이론브룸의 기대이론에 따르면 동기는 기대, 수단성, 유인가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기대는 노력을 기울이면 특정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믿음, 수단성은 성과와 보상 간의 관계, 유인가는 보상에 대한 선호도를 의미합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홍보 부족, 동료 직원 교육 부족, 비효율적인 병동 구조 등으로 인해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원 교육 강화, 환자/보호자 대상 정보 제공, 병동 구조 개선 등이 필요합니다.
-
2. 수단성수단성은 성과와 보상 간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간호사들은 업무 부담 증가로 인해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위별 수가제 도입을 통해 성과에 따른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간호행위와 보조업무별로 기록을 남기고, 이를 토대로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여 차등 보상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유인가유인가는 보상에 대한 선호도를 의미합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간호사들은 과업 보상은 높지만 조직 보상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보상 외에도 복리후생 등 다양한 방식의 보상을 제공해야 합니다. 개인별로 선호하는 보상 유형을 파악하여 맞춤형 보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
1. 기대이론기대이론은 개인의 동기부여 과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그 성과가 자신에게 가치 있는 것이라는 믿음을 가질 때 동기부여가 된다고 합니다. 즉, 개인은 자신의 노력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고, 그 결과가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할 때 더욱 열심히 일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개인의 내적 동기부여 요인을 잘 설명하고 있으며, 조직 구성원들의 동기부여를 높이기 위한 실용적인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다만 개인의 성향, 상황, 조직 문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대이론만으로는 동기부여의 전체적인 메커니즘을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2. 수단성수단성은 개인이 특정 행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개인이 어떤 행동을 하면 그에 따른 결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수단성은 기대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개인의 동기부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개인이 자신의 노력이 원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을수록 더욱 열심히 일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을 수 있도록 명확한 성과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공정한 보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구성원들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여 그들이 자신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믿도록 하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
3. 유인가유인가는 개인이 특정 결과를 얻는 것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 또는 중요성을 의미합니다. 기대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노력이 원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가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할 때 더욱 동기부여가 됩니다. 따라서 유인가는 개인의 동기부여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원하는 결과에 대한 유인가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구성원들의 니즈와 가치관을 이해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 수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가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업무 설계와 조직 문화 개선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간호관리학실습 - 간호단위의 관리 및 안전관리, 간호관리자의 역할 18페이지
Report간호관리학실습간호단위의 관리 및 안전관리, 간호관리자의 역할간호단위 관리간호업무분담방법에 따른 간호순회 및 인수인계의 문제점 및 개선안간호전달체계(nursing care delivery system)간호사가 간호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업무분담을 통하여 간호업무를 전달하고 업무수행을 하는 모델을 의미간호전달체계는 조직의 목표와 간호부의 철학, 목적, 자원, 경제적 •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병원과 간호부 조직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실행간호부에서 간호전달체계 선정 시 비용의 효율성, 환자와 가족...2024.08.04· 18페이지 -
[간호관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정의, 장점 및 단점(문제점), 개선할 점 정리 3페이지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정의간호간병 통합서비스란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보호자 등이 상주하지 않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그 밖의 간병 지원인력에 의하여 포괄적으로 제공되는 입원서비스를 말한다.2. 간호 간병통합서비스의 장점(1)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 증가보호자가 상주할 수 없는 경우에 전문 의료인이 아닌 간병인을 고용해야 한다. 간병인을 고용하는 것보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통해 전체 입원비는 증가하지만, 국가에서 비용을 부담해줘서 결국 환자가 납부하는 비용이 줄어들어 경제적인 부담감을 감소하였다. 또한, 보...2021.08.11· 3페이지 -
간호현장 내 업무관계 분석 및 협력관계와 업무조정의 중요성 레포트 7페이지
간호현장 내 업무관계 분석 및 협력관계와 업무조정의 중요성개요Ⅰ. 서론Ⅱ. 본론Ⅲ. 결론Ⅳ. 시사점Ⅰ. 서론간호관리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간호의 자원을 활용하는 과정이다. 최근, 간호사의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대상자인 개인, 그룹, 가족 및 지역사회를 위해 수행하는 간호를 기획, 조직, 인사, 지휘 및 통제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간호사들은 조직을 이해하고 사람들에게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야 하는 등 관리에 대한 지식과 실천이 필요...2021.04.30· 7페이지 -
브롬의 기대이론과 간호사의 이직 관리 4페이지
동기부여 사례분석-브룸의 기대이론에 관하여-Ⅰ. 서론Ⅱ. 동기부여란?Ⅲ. 동기부여이론Ⅳ. 기대이론에 기반한 이직률 관리1. 유의성과 수단성2. 기대Ⅴ. 결론 및 느낀점Ⅵ. 출처Ⅰ. 서론2020년 현재 세계간호사의 해를 맞이함과 동시에 코로나 사태 대처에 일조하고 있는 국내 간호사들의 노고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2019년 보건의료노조에서 시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한 해 동안 36개 병원에서 15.55%(2535명)이 이직을 하였다. 그 중 1~3년 저연차 간호사의 비중이 66.5%에 달하였고, 을지대병원이 ...2021.01.27· 4페이지 -
간호관리 직책별 업무 14페이지
간호관리실습- 직책별 업무담당교수제출일학년/ 반실습병원/병동실습기간학번이름< 목 차 >Ⅰ. 관리자의 유형-----------p.03~04Ⅱ. 관리자와 리더의 특성구분----p.04Ⅲ. 관리자의 역할------p.04~05Ⅳ. 직무기술서(수간호사 및 간호사)---------------------------p.05~07Ⅴ. 병동 직책별 업무------p.07~13Ⅵ. 참고문헌------------------p.14Ⅰ. 관리자의 유형1) 최고관리자- 조직의 장기목표와 전략 및 정책결정- 중간관리자의 업무성과 모니터ex) 간호부장, 간호본...2023.08.29·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