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증(Psychosis) 개념/용어 요약 정리
본 내용은
"
정신증(Psychosis) 개념/용어 요약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9
문서 내 토픽
-
1. 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망상장애의 유병률은 0.2%로 가장 흔한 아형은 피해형이며, 질투형은 남성에서 더 흔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남녀차이가 없다. 감별진단으로는 강박 및 관련장애, 섬망, 주요신경인지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및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과 조현양상장애, 우울장애, 양극성장애 및 조현정동장애 등이 있다.
-
2. 단기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단기정신병적 장애의 유병률은 첫 발병 정신병 사례의 9%를 차지하며, 여성에서 2배 더 흔하다. 감별진단으로는 다른 의학적 상태, 물질관련장애, 우울 및 양극성장애, 기타 정신병적 장애 등이 있다.
-
3. 조현양상장애 Schizophreniform Disorder조현양상장애의 유병률은 조현병 발생률과 비슷한 0.3%~0.7% 정도이며, 감별진단으로는 조현병과 단기정신병적 장애가 있다.
-
4. 조현병 Schizophrenia조현병의 유병률은 0.3%~0.7% 정도이며, 남성이 더 높고 발병연령도 더 빠르다. 감별진단으로는 정신병적 양상 또는 긴장성 양상을 동반한 주요우울장애 또는 양극성장애, 조현정동장애, 조현양상장애와 단기 정신병적 장애, 망상장애, 조현형 성격장애, 강박장애 및 신체이형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또는 의사소통장애, 정신병적 삽화와 연관된 기타 정신질환 등이 있다.
-
5. 조현정동장애 Schizoaffective disorder조현정동장애의 유병률은 조현병의 1/3 정도인 0.3%이며, 여성에서 더 높다. 감별진단으로는 조현병, 양극성장애 및 우울장애가 있다.
-
6. 사고 및 지각의 장애정신증에서 나타나는 사고 및 지각의 장애에는 formal thought disorder, illogical thinking, dereism, autistic thinking, magical thinking, primary process thinking, neologism, word salad, circumstantiality, tangentiality, incoherence, perseveration, verbigeration, echolalia, condensation, irrelevant answer, loosening of associations, derailment, flight of ideas, clang association, blocking, glossolalia 등이 있다. 또한 지각의 장애로는 hallucination, illusion 등이 있다.
-
7. 음성증상정신증에서 나타나는 음성증상에는 diminished emotional expression, avolition, alogia, anhedonia, asociality 등이 있다.
-
8. Schneider의 조현병 1급 증상Schneider가 제시한 조현병의 1급 증상에는 audible thought, voices arguing or discussing, voices commenting, delusional perception, somatic passivity, thought insertion, thought withdrawal, thought broadcast, made feelings, made impulses, made voluntary acts 등이 있다.
-
9. Manic과 Psychosis의 감별Manic 증상이 있을 때만 정신증이 나타나는 경우는 Manic으로 진단하며, 기분증상이 대체로 심각하지 않고 정신병적 증상이 2가지 이상 나타나는 경우는 Psychosis로 감별할 수 있다.
-
10.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 기준정신병적 장애의 진단 기준은 질병의 지속기간, 기분증상의 심각도 및 지속기간, 정신병적 증상의 수 등에 따라 조현병, 조현양상장애, 조현정동장애,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기분장애, 망상장애 등으로 구분된다.
-
1. 주제2: 단기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단기정신병적 장애는 1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지속되는 정신병적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이 장애는 스트레스 유발 사건이나 출산 후 등 특정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환각, 망상, 혼란스러운 행동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빠르게 호전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 관리와 스트레스 요인 해결에 초점을 맞추며, 약물 치료와 정신 요법이 사용됩니다. 단기정신병적 장애는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재발 위험이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주제4: 조현병 Schizophrenia조현병은 가장 심각한 정신 장애 중 하나로, 환각, 망상, 와해된 언어와 행동, 음성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사회적, 직업적 기능이 크게 저하됩니다. 조현병은 만성적이고 재발 위험이 높은 질환으로, 약물 치료와 정신 요법, 사회적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조기 개입과 포괄적 치료 모델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증상 관리와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조현병은 여전히 치료와 관리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
3. 주제6: 사고 및 지각의 장애정신병적 장애에서 나타나는 사고 및 지각의 장애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입니다. 환각, 망상,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은 사고와 지각의 왜곡을 반영하며, 이로 인해 현실 검증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기능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약물 치료, 정신 요법, 사회적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증상의 특성과 중증도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주제8: Schneider의 조현병 1급 증상Schneider가 제시한 조현병 1급 증상은 환청, 환시, 망상, 언어와 행동의 와해, 긴장성 혼란, 정동 불일치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조현병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정신병적 장애와의 감별에도 활용됩니다. 1급 증상은 정신병적 경험의 핵심적인 특징을 반영하며, 환자의 기능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약물 치료, 정신 요법, 사회적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
5. 주제10: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 기준정신병적 장애의 진단은 환각, 망상, 와해된 언어와 행동, 음성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증상의 지속 기간, 기능 저하 정도, 다른 정신 장애와의 감별 등이 중요한 진단 기준이 됩니다. 또한 환자의 병력, 가족력, 사회적 기능 등 다양한 요인을 함께 평가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과 예후 예측에 필수적이므로,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가 중요합니다. 진단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의 협조와 이해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