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수인종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의 정의(正義)와 위헌 판결의 의의
본 내용은
"
한국외대 현대사회와철학 A+ 기말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1
문서 내 토픽
-
1. 소수인종 우대정책의 필요성소수인종 우대정책 찬성자들이 이러한 적극적 우대조치를 옹호하며 가장 빈번하게 드는 논거 중 하나는 흑인들의 차별의 역사에 대한 보상이다. 그러나 다른 세대가 과거의 억압에 대한 보상을 주장한다는 것은 조금만 살펴봐도 굉장히 어색한 일이다. 차별의 역사는 아시아인의 자리를 흑인들이 차지하는 이유가 되지 못한다. 단순히 차별의 역사는 소수인종 우대정책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또한 다양성의 가치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 다양성이 정확히 어떠한 가치를 얼마만큼 어떻게 창출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학문 연구에 있어서 능력이 최우선이 되어야 하며, 강제적이고 인위적인 다양성 보장 수단보다는 사회의 차별을 종식시켜 자연스럽게 비율을 맞추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
2. 소수인종 우대정책의 위헌 판결2023년 6월, 미국 연방대법원은 Students for Fair Admissions (SFFA) v. Harvard 소송에서 Harvard University(이하 하버드대)와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이하 노스캐롤라이나대)의 소수인종 우대정책을 위헌으로 보았고, 장래의 인종 기반 입시정책을 사용하는 것 또한 금지하였다. 이번 소송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아시아인이라는 소수자 집단이 소수인종 정책에 대해 역차별을 호소하며 철폐를 촉구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판결은 대학들이 직접적인 인종적 고려가 아닌 다양한 성장배경과 관점을 모색함으로써 진정한 다양성을 통한 교육적 유익을 추구하도록 경각심을 갖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
1. 소수인종 우대정책의 필요성소수인종 우대정책은 역사적으로 차별받아 온 소수인종의 기회 균등을 보장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부터 지속된 구조적 차별로 인해 소수인종은 교육, 취업, 승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이익을 받아왔습니다.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기회 균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소수인종에 대한 우대 정책이 필요합니다. 다만 이 정책이 역차별로 이어지지 않도록 합리적인 기준과 운영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정책이 필요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소수인종 우대정책의 위헌 판결소수인종 우대정책의 위헌 판결은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판결은 그동안 소수인종이 겪어온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 정책이 역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정책의 운영 방식을 개선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이지, 정책 자체를 폐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번 판결은 소수인종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판결을 계기로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소수인종 우대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