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 인식 기준에 대한 판단 요건과 계약자산/부채 계산
본 내용은
"
(물음1) 수익을 인식함에 있어서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에 대한 판단요건을 제시하시오. (30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30
문서 내 토픽
-
1. 수익 인식 기준수익을 인식함에 있어서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에 대한 판단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지,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불 의무를 이행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지, 공급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지, 공급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행에 대한 비용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지 등입니다.
-
2.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계산㈜휴넷건설의 수표교 보강 공사 계약과 관련하여, 20x1년 말 재무상태표에는 계약부채 100,000원이 표시되고, 20x2년 재무상태표에는 계약자산 394,000원이 표시됩니다. 이는 진행률 계산, 누적 인식 수익 계산, 계약자산 또는 계약부채 계산 결과입니다.
-
3. 예상손실 계산㈜혁신건설의 청계산 터널 공사 계약과 관련하여, 20x2년에 예상손실 35,000원이 인식됩니다. 이는 누적 인식 수익과 누적발생공사원가의 차이를 계산한 결과입니다.
-
1. 수익 인식 기준수익 인식 기준은 기업의 재무 보고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업은 수익을 적절한 시점에 인식하여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여야 합니다. 수익 인식 기준은 기업의 영업 활동, 계약 조건, 거래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수익 인식 기준을 명확히 정의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재무제표 이용자들이 기업의 성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수익 인식 기준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그 사유와 영향을 충분히 공시하여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2.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계산계약자산과 계약부채는 기업의 수익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업은 고객과의 계약에 따라 수행의무를 이행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게 됩니다. 이때 수행의무 이행 정도와 고객으로부터 받을 대가 간의 차이가 계약자산 또는 계약부채로 인식됩니다. 계약자산과 계약부채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정확히 반영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기업은 계약 조건, 거래 유형, 수행의무 이행 정도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계약자산과 계약부채를 합리적으로 산정해야 합니다. 또한 이에 대한 공시를 통해 재무제표 이용자들의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
3. 예상손실 계산예상손실 계산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업은 자산, 부채, 매출 등 다양한 요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합니다. 특히 금융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등에 대한 예상손실 계산은 기업의 실제 손실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기업은 과거 경험, 시장 상황, 거래처 신용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예상손실을 합리적으로 추정해야 합니다. 또한 예상손실 계산 방법과 그 결과를 충분히 공시하여 재무제표 이용자들의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
수익을 인식함에 있어서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 의무에 대한 판단요건을 제시하시오 3페이지
과제유형5. [수익] ※계산문제는 제출 답안에 반드시 풀이과정을 기재 하시기 바랍니다.아래의 물음에 모두 답하시오.(물음1) 수익을 인식함에 있어서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 의무에 대한 판단요건을 제시하시오. (30점)고객과 계약에서 수익을 인식할 때 우선 고객과의 계약을 식별한다면 해당 기업이 수행해야 할 수행 의무를 식별하는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이때 수행 의무는 단일의 수행 의무일수도 복수의 수행 의무일수도 있다. 수행 의무란 고객과의 계약에서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기로 한 약속을 의미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수익을 인식할 ...2022.06.30· 3페이지 -
재무상태표의 구성요소의 인식과 측정을 자산, 부채, 자본으로 나누어 각 요소가 되기 위한 인식요건에 대하여 서술 5페이지
- R E P O R T재무상태표의 구성요소의 인식과 측정을 자산, 부채, 자본으로 나누어 각 요소가 되기 위한 인식요건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목 차 -Ⅰ. 서론Ⅱ. 본론1. 재무제표의 표시2. 재무상태표의 구성요소의 인식과 측정1) 자산의 인식요건2) 부채의 인식요건3) 자본의 인식요건3. 시사점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목표는 목적과 의도와 유사한 개념으로 개인이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성과와 연관된 행동의 선행조건이다. 목표는 행동의 지표를 제공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고자 하는 개인의 동기를 이끌...2023.02.06· 5페이지 -
재무회계 요약정리 11페이지
재무회계-재고자산1. 기본개념: 원가의 배분기초재고+매입매출원가 +기말재고(Book)장부수량 x 원가(FIFO, WAM)매출원가 + 감모손실 +기말재고(Real)수량차이 x 원가 실사수량 x 원가매출원가 + 감모손실 +평가손실 +기말재고수량차이 x 원가 실사수량x 금액차이 실사수량 x min[원가, 시가]상품매입 T계정기초매입매출원가(O)정상감모(O)비정상감모-영업 외 비용평가손실(O)기말재고(Real)2. 평가손실(저가법) Min[장부금액, 순실현가치]① 순실현가치: 매각가치, 보유목적 고려, 최신 정보(update), 취소불가주...2024.08.06· 11페이지 -
분식회계 7페이지
부동산학과 회계원리주제: 분식회계내용:1. 분식회계의 정의2. 분식회계의 사례3. 분식회계의 해결방안-목차-Ⅰ. 서론Ⅱ. 본론1. 분식회계의 정의2. 분식회계의 사례3. 분식회계의 해결방안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2021년 금융감독원이 152사에 대해 심의 및 감리한 결과 83사가 회계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54.6%가 회계기준 위반으로 지적받았다는 의미이다. 심의 및 감사를 시행할 때는 두 부류로 나누어 진행되는데, 이는 표본과 혐의로 나뉜다. 표본은 혐의를 특정하지 않고 대상을 선정하여 심사하는 방식이...2023.03.01· 7페이지 -
재무회계-중간과제 6페이지
재무회계_중간과제1. 금융부채의 의의와 측정에 대해 설명하시오금융상품이란 거래당사자 일방에게 금융자산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다른 거래상대방에게 금융부채나 지분상품을 발생시키는 모든 계약을 말한다. 금융부채란 이런 금융상품 중에서 현금(또는 다른 금융자산)을 지급하거나 불리한 조건으로 금융자산을 교환해야 하는 계약상의 의무로 다음과 같은 부채를 말한다.1)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상 의무(1)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2) 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를 교환하기로...2020.10.13·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