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T 전산화단층촬영영상학 1
본 내용은
"
CT 전산화단층촬영영상학 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4
문서 내 토픽
-
1. 컴퓨터단층촬영의 기본원리X선관과 검출기가 서로 대향으로 위치하여 인체의 횡단면을 회전하면서 인체의 3차원적인 구조로부터 인체의 횡단면(2차원)의 해부학적 구조를 영상으로 표현한다.
-
2. 일반 단층촬영법 Tomography일반 단층촬영법의 기본원리는 검사학자 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위치를 지정한 후, X선관과 필름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등속도 운동시키면서 원하는 구조물을 선택적으로 명료하게 나오게 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겹쳐진 구조물의 분리 영상화가 다소 극복되지만 보고자 하는 부위에 발생되는 blurring제거 불가, X선속의 확산으로 인한 산란선 발생, 검출기로서의 필름은 낮은 대조도 분해능 등의 한계가 있다.
-
3.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원리컴퓨터 단층촬영의 원리는 ① X선 주사: X선관→피사체→검출기 ② 감약된 X선 데이터의 획득 ③ 디지털 신호를 전처리, 영상 재구성 처리, 필터링 처리 ④ Gray scale 의 영상화로 이루어진다.
-
4. CT NumberCT Number는 여러 생체 조직의 X선 선감약계수를 측정한 후 이 값을 물을 기준으로 하여 확대 상수를 곱한 값이다. 물은 0, 뼈는 +1000, 공기 -1000의 CT Number를 가진다.
-
5. CT 장치의 Tube 및 detector의 운동방식에 따른 세대별 분류CT 장치는 세대별로 X선속 형태와 TUBE와 DETECTOR의 운동방식이 다르다. 1세대는 횡단 및 회전, 2세대는 횡단 및 회전, 3세대는 회전, 4세대는 고정식 검출기 배열과 X선관 회전, EBCT는 전자총 고정과 Multi target ring 연속회전 및 환자용 table의 연속이동 방식을 사용한다.
-
6. 나선형 CT, Spiral CT나선형 CT는 slip ring 기술을 이용하여 X선관이 연속적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캔하는 방식으로, 빠른 영상 획득, 조영제 효과 극대화, 피폭선량 감소, 3D 영상 질 향상, 호흡 및 움직임 artifact 감소 등의 장점이 있다.
-
7. MDCT, multi-detector row CTMDCT는 X선관의 1회전당 Z축으로 배열된 detector의 배열숫자와 software에 의해 1개 이상의 단면을 획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X선 tube 효과적 이용, 빠른 스캔 속도, 넓은 스캔 영역 등의 장점이 있다.
-
8. MPR multi planar reformation 다면 재구성 기법MPR은 얇은 단면 영상을 수직으로 쌓은 후 보고자 하는 부위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법으로, 혈관 병변과 주위 장기의 관계 이해에 탁월하다.
-
9. VRT Volume Rendering Technique 체적표현 기법VRT는 여러 개의 문턱값과 이들에 대한 색과 투과도를 다르게 줄 수 있는 기법으로, 가장 우수한 3차원 영상 기법이지만 장시간, 대용량 컴퓨터가 필요하다.
-
10. Editing3차원 모델링 후 관심 부위의 관찰을 쉽게 하기 위하여 주변의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하는 기법이다.
-
1. 주제2: 일반 단층촬영법 Tomography일반 단층촬영법(Tomography)은 X선 관과 필름 또는 검출기가 동기화되어 움직이면서 특정 단면의 영상을 얻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은 관심 부위의 단면만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어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층 영상의 해상도가 낮고 대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단층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X선 관과 필름 또는 검출기의 정확한 동기화가 필요하여 기술적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컴퓨터단층촬영(CT)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
2. 주제4: CT NumberCT 번호(CT number)는 CT 영상에서 각 픽셀의 밝기 값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CT 번호는 X선 감쇄 계수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조직의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CT 번호는 물의 밀도를 0으로 하고, 공기는 -1000, 뼈는 +1000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이를 통해 CT 영상에서 다양한 조직의 구분이 가능하며, 병변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양의 경우 주변 조직에 비해 CT 번호가 높게 나타나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CT 번호는 조직의 밀도뿐만 아니라 원자번호, 전자밀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므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
3. 주제6: 나선형 CT, Spiral CT나선형 CT(Spiral CT) 또는 헬리컬 CT는 X선 관과 검출기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환자 테이블이 동시에 이동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단계적 스캔 방식에 비해 빠른 스캔 속도와 연속적인 볼륨 데이터 획득이 가능합니다. 나선형 CT는 호흡 등의 움직임이 있는 부위의 영상 획득에 유리하며, 혈관 조영 검사나 장기 전체의 스캔 등에 활용됩니다. 또한 나선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구성 기법을 적용할 수 있어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나선형 CT는 현대 의료 영상 진단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4. 주제8: MPR multi planar reformation 다면 재구성 기법MPR(Multi-Planar Reformation)은 CT나 MRI 등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심 부위를 다양한 단면에서 재구성하는 기법입니다. MPR을 통해 축상(axial), 관상(coronal), 시상(sagittal) 등 원하는 단면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병변의 크기, 위치, 형태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MPR은 특히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부위, 예를 들어 척추, 관절, 혈관 등의 진단에 유용합니다. 또한 MPR 영상은 3D 렌더링 기법과 결합하여 입체적인 시각화를 제공함으로써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줍니다.
-
5. 주제10: EditingCT 영상 편집은 획득된 CT 데이터를 처리하여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CT 영상 편집에는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예로 윈도우 레벨 조절, 관심 영역 선택, 영상 필터링, 다면 재구성(MPR), 3D 렌더링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편집 기법을 통해 병변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계획 수립, 방사선 치료 계획 등 다양한 임상 응용 분야에서 CT 영상 편집이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된 영상 분석 및 편집 기법이 개발되고 있어, CT 영상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간세포암 case study_A+ 받은 보고서(간호진단, 간호사정 3개씩 구체적)1. 간세포암 간암은 간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한 악성종양을 의미하는 암으로 전체 암의 약 6.1%를 차지하여 7위를 차지했다. 간암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간암의 종류는 간세포암으로, 간세포암은 간암의 약 75.4%를 차지하고 있다. 간암(간세포암)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지만, 간염과 간경변증, 지방성 간질환 등으로 인해 많이 발생한다고 알...2025.01.24 · 의학/약학
-
[골육종] 간호과정 CASE STUDY (A+ 보장)1. 골육종 골육종(Osteosarcoma)은 뼈에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종양(암) 중에서 가장 흔하다. 10대 성장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남성의 발생 빈도가 여성보다 약 1.5~2배 높다. 골육종은 전체 악성 종양 중 약 0.2%를 차지할 정도로 드물게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약 100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팔, 다리, 골반 등 ...2025.01.12 · 의학/약학
-
A+ 자료 위암 (Stomach Cancer) case study(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1. 위암의 병태생리 위암은 위점막상피에서 주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Helicobacter pylori 감염,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등의 다단계 전암병변을 거쳐 발생한다. 위암의 위험인자로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위용종, 위아전절제술, 짠 음식, 질산염 화합물, 가족력 등이...2025.05.14 · 의학/약학
-
지주막하출혈 case study, subarachnoid hemorrhage,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1. 지주막하 출혈의 해부학적 구조 뇌는 크게 대뇌(cerebrum), 간뇌(diencephalon), 뇌간(brainstem), 소뇌(cerebellum)로 구분되며 두개골 안에 들어 있다. 두개골의 기저부에는 대공이 있어 뇌간과 척수가 연결된다. 뇌막(meninges)은 대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영양과 혈액 공급의 통로가 된다. 뇌막은 경막(du...2025.01.18 · 의학/약학
-
Acute cholangitis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1 수술로 인한 물리화학적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치료과정의 정보부족과 관련된 불안)1. 총담관 결석증과 담관염(Choledocolithiasis and Cholangitis) 총담관 결석증은 총담관에 결석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담관염은 담즙관의 염증을 말한다. 총담관 결석증은 담석증 환자 중 10~15%에서 발견된다. 종종 염증이나 세균이 발생하고 담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담석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담즙의 성분 변화, ...2025.05.07 · 의학/약학
-
소화기계 관련 검사 및 시술 간호1. 위식도 내시경 위식도 내시경은 유아에서 고령자까지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상부 소화관 질환의 증상이 있는 경우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두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위암이 많은 나라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하여 40세 이후의 모든 성인에게 검사를 권장한다.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2025.05.16 · 의학/약학
-
간호 분담주제 -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hest CT) 5페이지
<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성인간호학실습 II - 분담주제과목교수님학번이름분담주제발표 이름:주제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chest computed tomography (chest CT)]내용[정의]- X-선 발생장치가 있는 원통형의 기계를 이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방사선을 투과하여 흉부를 촬영하는 검사법이다.- 일반 X-선 촬영보다 인체 장기에 대한 해상도가 좋아 X-선 촬영에서는 볼 수 없는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 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검사는 약 10초 내외의 1회 호흡정지만으로...2024.05.30· 5페이지 -
성인간호학 - 소화기계의 진단검사와 임상검사와 관련된 내용 A+!!!!!!!!!!!!!!!!!! 9페이지
학과 :학번 :이름 :성인간호학REPORT『소화기계의 진단검사& 임상검사와 관련된 내용』구강(Oral)?구강의 구조┠ 뺨과 경구개, 연구개, 치아, 침샘, 혀?구강의 기능① 저작 - 제 5뇌신경을 통한 반사작용에 의해 음식물을 분해② 타액분비 - 혀밑샘, 턱밑샘, 귀밑샘에서 하루 1~1.5L 분비③ 연하중추에 의해 조절되는 수의적 운동Ⅰ.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임상 진단적 검사- 턱뼈로의 침범을 확인하는 검사Ⅱ.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임상 진단적 검사- CT검사에서 확인이 어려운 연부 조직의 범위를 평가하는 검사Ⅲ. ...2020.10.31· 9페이지 -
뇌종양 진단과 수술 28페이지
뇌종양의 진단과 수술< 목차 >1.뇌의 해부학적 구조가. 뇌의 위치 및 구조2.뇌의 기능3.뇌종양가. 뇌종양이란나. 뇌종양의 종류와 특징4.원인과 증상가. 뇌종양의 원인나. 뇌종양의 임상증상5.진단검사가. 두개골 X-ray 검사나. 전산화단층촬영(CT)다. 자기공명영상(MRI)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마. 그 외6.치료가. 수술적 치료나. 방사선 치료다. 방사선 수술라. 항암화학요법마. 기타치료바. 뇌종양의 종류별 특성 및 치료7.수술 후 간호 및 합병증8.예후 및 예방법9.참고문헌1.뇌(Brain)의 해부학적 구조가. 뇌의 ...2023.02.01· 28페이지 -
성인간호학 위암 질병보고서 5페이지
위암(stomach cancer) 질병 보고서1. 정의- 위암이란 위에서 발견되는 악성 신생물을 말하며, 악성 림프종(lymphoma), 간질성 종양(gastrointestinal tumor), 육종(sarcoma), 신경 내분비암 (neuroendocrine tumor) 등이 있으나 대부분은 위점막의 샘세포에서 발생 하는 위선암(adenocarcinoma)이다. 미국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에서는 아직도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전체 암 중 남자 30%, 여자 18%)2. 분류(1) 병리조직학적인 분류 : 암세포의 종류와 분화도에...2021.03.11· 5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 질병고찰] Pancreatic Cancer (췌장암) 6페이지
질병고찰 : Pancreatic Cancer (췌장암)■ 정의-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를 말하며, 종류는 다양하지만 90% 이상은 췌관의 샘세포에서 발생한 췌관 선암종이다.■ 분류1) 조직학적 분류- 췌장에 발생하는 종양은 크게 낭성 종양과 악성 종양이 있으며, 낭성 종양의 대부분은 악성 종양으로 발전 가능한 전암성 병변으로 분류된다.- 췌장에 발생하는 종양은 소화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세포종양이 90%,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세포종양이 5%를 차지한다.- 췌장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두부(60~70%), 체부(...2021.06.1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