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olecystitis & Cholangitis
본 내용은
"
cholecystitis & Cholangiti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9
문서 내 토픽
-
1. 담도계의 이해담도계는 담낭(gallbladder), 담관(bile duct), 담낭관(cystic duct)로 이루어져 있다. 담낭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농축시켜 저장하고 음식이 장내로 유입되면 저장된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담도계의 기능은 담즙이 간에서 장으로 배설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담즙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이다.
-
2. 담낭염(Cholecystitis)담낭염은 담석이나 종양 등으로 인해 담도가 폐쇄되면서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 증식되어 담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90% 이상 담석으로 인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명치통증, 복부팽만, 발열, 오심/구토 등이 있으며 치료는 ERCP, PTBD, 담낭절제술 등이 있다.
-
3. 담도염(Cholangitis)담도염은 담관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주요 원인은 90% 이상 담석으로 인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발열, 황달, 복통 등이 있으며 치료는 ERCP, PTBD 등을 통한 담즙 배액이 필요하다.
-
4. Mirizzi 증후군Mirizzi 증후군은 담낭관에 낀 담석이나 담낭 경부의 담석으로 인해 총간관이 폐쇄되거나 염증 및 벽 비후로 인해 총간관 폐쇄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증상은 총담관 결석과 유사하며 MRCP나 ERCP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만 합병증 발생률이 높다.
-
5. 무결석쓸개염(Acalculous cholecystitis)무결석쓸개염은 담석이 없는 담낭염으로, 급성 담낭염의 5-10%를 차지한다. 병태생리는 결석성 담낭염과 유사하며 증상도 비슷하다. 치료법도 결석성 담낭염과 같다.
-
6.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담낭절제술은 복강경 수술로 담낭과 담석을 동시에 제거하는 방법으로, 개복 수술보다 합병증이 적고 수술 후 통증이 적다. 수술 후 간호로는 호흡기계 관리, 출혈 및 감염 증상 관찰, 통증 조절, T-tube 관리 등이 필요하다.
-
7. T-tube 관리담낭절제술 후 총담관 내 담석이 의심되는 경우 총담관을 절개하고 T-tube를 삽입하는데, 이는 담석 제거와 담즙 배액을 위한 것이다. T-tube 제거 시기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으며, 담석 제거, 담즙 배액 확인, 환자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1. 담도계의 이해담도계는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담낭에 저장하고 소화 과정에서 필요할 때 십이지장으로 배출하는 중요한 기관계입니다. 담도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담도 질환을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데 필수적입니다. 담도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 담즙의 생성과 분비 과정, 담낭의 역할 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담도 질환의 발병 기전과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담낭염(Cholecystitis)담낭염은 담낭의 염증성 질환으로, 주된 원인은 담낭 내 담석 형성입니다. 담낭 내 담석이 생기면 담낭 점막이 손상되고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급성 담낭염의 주요 증상은 우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발열 등이며, 만성 담낭염의 경우 지속적인 불편감과 간헐적인 통증이 나타납니다. 담낭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초음파 검사, CT 검사, 혈액 검사 등이 활용되며, 급성 담낭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와 함께 담낭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성 담낭염의 경우 증상 관리와 함께 담낭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3. 담도염(Cholangitis)담도염은 담도계의 염증성 질환으로, 주된 원인은 담도 내 담석 형성입니다. 담도 내 담석이 생기면 담도 폐쇄와 함께 세균 감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급성 담도염의 주요 증상은 우상복부 통증, 발열, 황달 등이며,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담도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 검사, 영상 검사(초음파, CT, MRCP 등) 등이 활용되며, 항생제 치료와 함께 담석 제거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담도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4. Mirizzi 증후군Mirizzi 증후군은 담낭관과 총담관 사이에 담석이 끼어 있어 담도 폐쇄가 발생하는 드문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황달, 우상복부 통증, 발열 등이 나타나며, 담낭염이나 담도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Mirizzi 증후군의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초음파, CT, MRCP 등의 영상 검사가 필요하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 시 담낭과 담도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전 정확한 진단과 수술 계획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
5. 무결석쓸개염(Acalculous cholecystitis)무결석쓸개염은 담낭 내 담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담낭의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된 원인으로는 수술 후 합병증, 중환자실 입원, 외상, 감염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무결석쓸개염의 증상은 급성 담낭염과 유사하지만, 담석이 없다는 점에서 구분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초음파, CT 검사 등의 영상 검사가 필요하며, 항생제 치료와 함께 담낭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무결석쓸개염은 진단이 어렵고 치료가 지연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6.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담낭절제술은 담낭 질환, 특히 담석증 치료를 위해 가장 널리 시행되는 수술 중 하나입니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짧고 회복이 빠르며 합병증 발생률이 낮아 표준 치료로 자리 잡았습니다. 수술 전 정확한 진단과 수술 계획 수립이 중요하며, 수술 중 담도 손상 예방을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담즙 누출,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담낭절제술은 대부분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합병증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7. T-tube 관리T-tube는 담도 수술 후 담즙 배출을 위해 삽입되는 관으로,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T-tube 삽입 후에는 배액량, 배액액의 성상, 감염 징후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T-tube 주변 피부 관리와 함께 T-tube 자체의 막힘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세척이 필요합니다. T-tube 제거 시에는 담도계 폐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제거 후에도 담즙 누출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주시해야 합니다. T-tube 관리에 대한 의료진의 세심한 주의와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합니다.
-
Cholecystitis, PTBD, ERCP 25페이지
Cholecystitis목차 Cholecystitis 란 (Chronic, Acute) Cholelithiasis , Choledocolithiasis , Cholangitis 비교 Cholecystitis 증상 및 진단 Cholecystitis 치료 및 중재Cholecystitis 란Cholecystitis 란 1. 간에서 담즙생산 담즙 콜레스테롤을 주 원료로 하여 간에서 합성 (600~1200ml/day) 간에서 합성 - 담낭에 저장 -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유두 (ampulla of Vater ) 의 oddi 괄약근을 통하여 십...2023.02.02· 25페이지 -
성인 I 실습 간호과정 Case Study [급성 췌장염] (간호과정 2개) 14페이지
[ Case Study ]학번학년/반이름과목실습지담당교수제출일Case Study 관련질환 (수술자료 포함) 문헌고찰 _ 1주차- ※ 시트를 추가하여 학습내용을 작성할 것 -진단Cholangitis(담관염), Cholecystitis(담낭염)정의▶ Cholangitis-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을 담관이라고 하는데, 이 담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대부분 담석으로 인해 나타나며, 쓸개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인 담낭염과 함께 발생한다.- 담석이 생기면 담즙이 정체되는데 여기에 대장균, 크렙시엘라 같은 세균이 침입하게...2020.08.31· 1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_케이스_소화기내과_담낭염,담관염_간호진단-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17페이지
중환자실 실습 성인 케이스#소화기내과간호진단#성인간호실습#간호실습케이스#성인간호진단목차TOC \o "1-3" \h \z \u Hyperlink \l "_Toc129653879" 1환자케이스_사례 PAGEREF _Toc129653879 \h 3 Hyperlink \l "_Toc129653880" 2문헌고찰 PAGEREF _Toc129653880 \h 5 Hyperlink \l "_Toc129653881" 3환자사정 PAGEREF _Toc129653881 \h 8 Hyperlink \l "_Toc129653882" 4간호계획-간호수행-...2023.03.14· 17페이지 -
간호학과 소화기내과 병동 A+ 사례보고서/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주진단: 담관염, 담낭염 24페이지
31병동Case Study과 목담당교수실 습 일2018.11.05~11.09제 출 일2018.11.14학 번이 름(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학생이름 학번간호날짜2018/11/05-2018/11/09환자 성명성OO나이65세성장과 발달노년기통합성 vs 절망성별남입원날짜2017-11-02입원사유*입원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2018-10-3116:30 운전자 TA 있었고,21:00 fever, abdomen pain으로 대구의료원 ER visit함. 당시 BT:39.2, HR:88, Initial ...2019.08.28· 24페이지 -
biliary tract, 담관,담낭질환, 내과적,외과적 시술에 대한 폭넓은 내용입니다. 간단한 case 포함되어있어요 42페이지
Biliary tract목차 해부생리 질병 Cholelithiasis 담석증 Cholecystitis 당낭염 Choledocholithiasis 총담관결석증 Cholagitis 담관염 치료 PTBD ERCP (ENBD, ERBD) Cholecystectomy 담낭 절제술해부 담관계 (Biliary tract) - 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이 모이는 세담관에서 담즙이 배출되는 십이지장 유두까지의 통로 이며 , 간외담관은 간의 좌우엽 간관 이하의 부위이다 .해부 간외담관 은 간의 좌우엽의 두간관에서 시작하여 간문부에서 합쳐 총간관 (CHD...2018.03.20· 4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