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 Block
본 내용은
"
AV Block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8
문서 내 토픽
-
1. 2-degree AV block (Mobitz I)2-degree AV block (Mobitz I)의 ECG 결과를 확인하고, Atropine 투여 및 약물 효과 확인, Epinephrine 또는 Dopamine 투여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2. 서맥 치료부교감신경 차단제인 Atropine을 사용하여 서맥을 치료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교감신경효능제인 Epinephrine 또는 Dopamine을 사용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3. 심박동기 삽입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심박동기 삽입을 고려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1. 2-degree AV block (Mobitz I)2-degree AV block, also known as Mobitz I or Wenckebach block, is a type of atrioventricular (AV) conduction disturbance where there is a progressive prolongation of the PR interval on the electrocardiogram (ECG) until a P wave is not conducted, resulting in a dropped QRS complex. This condition is caused by a delay in the conduction of the electrical impulse through the AV node. The key features of 2-degree AV block (Mobitz I) are: - Progressive prolongation of the PR interval on the ECG until a P wave is not conducted - Resulting in a dropped QRS complex - Caused by a delay in the conduction through the AV node - Often asymptomatic, but can lead to symptoms like dizziness, syncope, or fatigue in more severe cases The management of 2-degree AV block (Mobitz I) depends on the underlying cause and the presence of symptoms. In asymptomatic patients, close monitoring and addressing any reversible causes (e.g., electrolyte imbalances, medications) may be sufficient. In symptomatic patients or those with high-grade block, treatment with medications like beta-blockers or calcium channel blockers, or even pacemaker implantation, may be necessary. The goal is to improve symptoms and prevent complications like complete heart block or syncope.
-
2. 서맥 치료서맥(bradycardia)은 심박수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서맥의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인 파악: 서맥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증상 관리: 증상이 있는 경우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피로감, 실신 등이 있습니다. 3. 약물 치료: 증상이 심한 경우 아트로핀, 이소프로테레놀 등의 약물 투여로 심박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심박동기 삽입: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완전 방실 차단이 발생한 경우 심박동기 삽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심박동기는 심장의 전기 활동을 정상화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5. 생활 습관 관리: 서맥의 원인이 되는 생활 습관 요인(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서맥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원인 질환, 동반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3. 심박동기 삽입심박동기 삽입술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정상화하여 서맥이나 부정맥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상성 서맥: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증상성 서맥(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등) 2. 방실 차단: 완전 방실 차단, 2도 방실 차단(Mobitz II) 등 3. 동기능 부전 증후군: 서맥과 빈맥이 반복되는 경우 4. 특발성 서맥: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성 서맥 심박동기 삽입술은 일반적으로 안전한 시술이지만 감염, 혈종, 기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술 전후 철저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심박동기 삽입 후에는 정기적인 외래 방문을 통해 심박동기의 기능을 확인하고 배터리 수명을 관리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박동기 삽입 후 증상이 호전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지속적인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심박동기 삽입술은 서맥 및 부정맥 환자의 증상 관리와 예후 개선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시술 전후 관리와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적입니다.
-
AV block 문헌고찰, 간호진단 6개, 주객관자료1. 방실결절 전도장애(Conducting disorder): 방실 차단 Atrioventricular block(AV block) 심장 수축 자극은 동방결절에서 시작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다발로 전도되는 과정에서 지연되거나 차단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심장의 전기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심박수와 리듬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2025.01.24 · 의학/약학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2025.01.22 · 의학/약학
-
심장내과 daily case report1. Atrioventricular block, second degree 70세 여성 환자로, 2도 방실차단과 2:1 방실차단 진단을 받고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을 위해 입원했습니다. 환자는 과거력으로 우측 어깨 수술, 좌측 손목 골절 수술, 심실 전도 이상, 골관절염 등이 있었습니다. 입원 기간 동안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심...2025.01.03 · 의학/약학
-
방실차단 케이스1. 방실차단(AV block) 방실차단(AV block)은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자극이 방실결절과 히스다발을 통과할 때 지연되거나 부분적, 혹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자극의 전도가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맥이며 자각증상이 없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심방에서 전달되는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에 전...2025.01.13 · 의학/약학
-
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동심방결절의 심박조율 기능이 약화되거나 전도계의 장애로 인해 전기자극의 빈도가 감소될 때 방실접합부(심방심실이음부, AV junction)가 동심방결절을 대신하여 박동조율기(pacemaker)로서의 역할을 하여 발생한 리듬. 심박출량 감소와 심근조직관류 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 독...2025.04.28 · 의학/약학
-
Escape rhythm1. Escape rhythm Escape rhythm은 심장의 정상 박동 조절 기능이 실패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동방결절의 기능 장애나 완전 방실차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장의 다른 부위에서 자체적으로 박동을 생성하여 심장 활동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escape rhythm에는 심방 escape rhythm, 접합부 e...2025.01.03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 AV block 27페이지
성인간호학 case study- AV block -Ⅰ. 문헌고찰1. 방실결절 전도장애2. Pace Maker 심박조율기Ⅱ. 간호과정1. 일반적 배경2. 간호과정Ⅲ.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방실결절 전도장애(Conducting disorder): 방실 차단 Atrioventricular block(AV block)·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심장수축 자극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bundle branch 속으로 전도가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것· 전도장애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 방실블록 또는 완전 심장블록 등으로 나눔▼ 1도 ...2023.04.13· 27페이지 -
방실차단(Atrioventricular blocks, AV blocks) 문헌고찰 8페이지
방실차단(Atrioventricular blocks, AV blocks)< 과제물 제출 전 체크리스트 >1. 이 과제물은 내가/우리가 직접 연구하고 작성한 것이다.2. 인용한 모든 자료(책?논문?인터넷자료 등)의 인용표시를 바르게 하였다.3. 인용한 자료의 표현이나 내용을 왜곡하지 않았다.4. 정확한 출처 제시 없이 다른 사람의 글이나 아이디어를 가져오지 않았다.5. 과제물 작성 중 도표나 데이터를 조작(위조 혹은 변조)하지 않았다.6. 과제물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거나 구매하여 제출하지 않았다.7. 이 과제에 실질적으로 참여하지 ...2022.10.06· 8페이지 -
완전방실차단 문헌고찰(Complete AV Block) 7페이지
간호과정 사례연구보고서Complete AV Block (완전방실차단)교과명 :성인간호학실습실습지 :학년, 반, 조 :학 번 :성 명 :담당교수 :제출일자 :목차Ⅰ. 서론1. 연구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1) 정의2) 해부 및 생리3) 병리4) 원인5) 증상6) 진단방법7) 치료8) 간호9) 예후 및 합병증Ⅰ. 서론1. 연구 필요성 및 목적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심장 전도장애(방실차단 포함)로 진료받는 환자 수는 2019년 약 17만 명에서 2023년 약 21만 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70세 이상 고령층에...2025.05.11· 7페이지 -
성인간호학 3도 방실블록(complete AV block) case study 10페이지
목 차Ⅰ. 문헌고찰Ⅱ. 간호사정Ⅲ. 간호과정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3도 방실블록(complete AV block)1) 특징(1) 방실결절, HIS속, 좌우각을 통한 전기적 충격의 전도가 완전히 차단되어 생기며 심 방과 심실의 박동은 완전히 독립적(2) 진단적 특징① 심박동수 : 심실 박동수는 20~40회/분, 심방 박동수보다 적다.② 리듬 : 심방 리듬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하고 심실 리듬은 일정하고 심방과 심실 리듬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③ Pacemaker부위? P파가 존재하면 동방결절에서 발생.? QRS군의 pacem...2021.02.01· 10페이지 -
AV block 문헌고찰, 간호진단 6개, 주객관자료 11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name":""}..FILE:BinData/image1.BMP..FILE:BinData/image2.BMP..FILE:BinData/image3.BMP..FILE:BinData/image4.BMP..FILE:BinData/image5.BMP..FILE:Contents/section0.xmlⅠ. 문헌고찰1. 방실결절 전도장애(Conducting dis...2024.11.01·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