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유동기와 라라랜드
본 내용은
"
본유동기와 라라랜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1
문서 내 토픽
-
1. 본유동기영화 <라라랜드>의 주인공 세바스찬은 재즈를 좋아하고 재즈 클럽을 열고자 하는 꿈이 있었다. 하지만 변변한 직업도 없이 식당에서 크리스마스 캐롤만 연주하는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해고당하게 된다. 그러던 중 옛 친구 키이스를 만나 대중적인 음악을 하자는 제안을 받게 된다. 세바스찬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결국 키이스와 함께 밴드를 결성하게 된다. 밴드는 큰 성공을 거두지만, 세바스찬은 원래 꿈이었던 재즈 클럽을 포기하고 연인 미아에게도 소홀해진다. 이러한 세바스찬의 행동 변화는 외재적 보상인 돈과 인기를 받게 되면서 본유 동기가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2. 인지적 평가이론영화 <라라랜드>에서 세바스찬의 행동 변화는 인지적 평가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외재적 보상을 받게 되면 자신이 하고 싶어서 하던 일도 외재적 보상을 위해 한 일로 지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바스찬의 경우도 원래 재즈를 좋아해서 재즈 클럽을 열고 싶었지만, 대중 음악으로 돈이라는 외재적 보상을 받게 되면서 재즈가 돈이 되지 않아서 포기한다는 듯한 말을 하게 된다. 이처럼 외재적 보상으로 인해 본유 동기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3. 과잉정당화세바스찬의 행동 변화는 과잉정당화에 해당한다. 원래 재즈를 좋아했던 세바스찬이 대중 음악을 하면서 돈과 인기라는 외재적 보상을 받게 되자, 자신의 행동에 맞춰 음악에 대한 태도도 바뀌게 된 것이다. 즉, 외재적 보상으로 인해 본유 동기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과잉정당화에 해당한다.
-
1. 본유동기본유동기는 개인의 내적 동기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동기로, 외부의 보상이나 압력 없이도 자발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의 흥미, 호기심, 즐거움 등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내적 동기는 개인의 자율성과 자기결정성을 높여줍니다. 본유동기는 개인의 창의성, 몰입, 학습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본유동기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2. 인지적 평가이론인지적 평가이론은 개인의 내적 동기가 외부 요인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외부의 보상이나 압력이 개인의 자율성과 유능성을 지지하면 내적 동기가 높아지지만, 이를 저해하면 내적 동기가 낮아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내적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 요인이 개인의 자율성과 유능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창의성, 몰입, 학습 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지적 평가이론은 개인의 내적 동기를 이해하고 이를 지원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과잉정당화과잉정당화는 외부의 보상이나 압력이 개인의 내적 동기를 저해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그림을 그리는 것에 대해 외부에서 보상을 제공하면, 어린이의 내적 동기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 요인이 개인의 자율성과 유능성을 저해하기 때문입니다. 과잉정당화는 개인의 창의성, 몰입,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내적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 요인이 개인의 자율성과 유능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과잉정당화를 피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