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F 수술
본 내용은
"
ORIF 수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30
문서 내 토픽
-
1. 개방 정복술개방정복술이란 피부 및 뼈를 둘러싼 연부조직을 절개하고 뼈를 노출시킨 후 골절 부위의 정렬을 맞추는 수술을 말하며, 대부분 개방정복술 시행 후 교정된 뼈의 정렬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나사, 금속판, 금속정 등을 이용하여 금속내고정술을 같이 시행합니다.
-
2. 내부 고정술내부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뼈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3. ORIF 수술 적응증ORIF 수술은 복잡하거나 큰 뼈의 골절, 관절 표면이 파열되는 등 관절 부위의 골절, 보통 캐스트만으로는 붙지 않는 큰 골절, 골절 주위 신경이나 혈관의 동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 시행됩니다.
-
4. ORIF 수술 과정ORIF 수술은 전신마취 또는 척추마취 하에 진행되며, 골절 부위의 피부와 연부조직을 절개하여 뼈 조각들을 노출시킨 후 정렬하고, 나사, 금속판, 막대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킵니다. 수술 후에는 통증 조절, 항생제 및 항혈전제 사용, 물리치료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
5. ORIF 수술 합병증ORIF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신경 손상, 감염, 출혈, 지방 조직 분리, 정맥혈전, 뼈의 불유합, 마취 부작용 등이 있으며, 고령, 기저질환, 개방 골절, 당뇨, 스테로이드 약제 사용, 흡연, 비만 등의 요인이 합병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1. 개방 정복술개방 정복술은 골절된 뼈를 직접 노출시켜 정확한 정복과 내고정을 시행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폐쇄 정복술에 비해 더 정확한 정복이 가능하지만, 연부 조직 손상과 감염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개방 정복술은 폐쇄 정복술로 정복이 어려운 복잡한 골절이나 개방성 골절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수술 시 세심한 연부 조직 보호와 철저한 감염 예방이 필요하며, 수술 후 재활 치료도 중요합니다.
-
2. 내부 고정술내부 고정술은 골절된 뼈를 금속 나사, 금속판, 금속정 등의 내고정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골절된 뼈를 정확하게 정복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조기 관절 운동과 빠른 기능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내고정 기구 자체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추후 제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고정술은 골절의 종류와 위치,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3. ORIF 수술 적응증ORIF(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수술은 골절된 뼈를 직접 노출시켜 정확하게 정복하고 내부 고정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주요 적응증은 복잡 골절, 관절 내 골절, 개방성 골절, 부정 유합 골절 등입니다. 이러한 골절의 경우 폐쇄 정복술로는 정확한 정복이 어려워 ORIF 수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심한 전위나 회전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ORIF 수술이 고려됩니다. 수술 시 세심한 연부 조직 보호와 철저한 감염 예방이 필수적이며, 수술 후 재활 치료도 중요합니다.
-
4. ORIF 수술 과정ORIF 수술은 크게 4단계로 진행됩니다. 첫째, 골절 부위를 직접 노출시켜 정확한 정복을 시행합니다. 둘째, 내부 고정 기구(금속판, 나사, 핀 등)를 사용하여 골절된 뼈를 견고하게 고정합니다. 셋째, 연부 조직을 세심하게 봉합하여 감염 예방을 합니다. 넷째, 수술 부위를 드레싱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확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정확한 정복, 견고한 고정, 철저한 감염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 후 재활 치료를 통해 관절 기능 회복과 합병증 예방을 해야 합니다.
-
5. ORIF 수술 합병증ORIF 수술에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감염, 지연 유합 또는 불유합, 금속 기구 파손 및 이동, 관절 강직, 신경 손상 등이 있습니다. 이 중 감염은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수술 중 철저한 무균 술기와 수술 후 적절한 항생제 사용이 필요합니다. 지연 유합 및 불유합은 내고정 기구의 불안정성, 연부 조직 손상, 혈액 공급 저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고정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 후 재활 치료를 통해 관절 강직을 예방하고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
ORIF 수술 후 간호1. ORIF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대상자의 통증 관리를 위해 V/S 모니터링, 통증 사정, 비약물적 중재와 처방된 진통제 투약 등을 실시한다. 통증이 효과적으로 조절되었는지 통증 재사정을 통해 확인한다. 2. 통증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기동성 저해 요소를 파악하고 보조기구 사용, 관절 운동과 등척성 운동 격려,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등의 중재...2025.01.28 · 의학/약학
-
ORIF 수술 과정 및 간호 과정1. 골절(fracture) 골절은 직접적인 외상이나 간접적인 외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이 발생하면 통증, 압통, 기능상실, 변형, 위축, 국소부정, 반상출혈, 마찰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골절 치료의 목적은 손상된 부위가 합병증 없이 최대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외관상 보기 좋은 결과로 환원하는 것이다. 치료 방법에는 정복(reductio...2025.01.04 · 의학/약학
-
경비골 골절 및 ORIF 수술 사례1. 경비골 골절 경비골 골절은 하퇴골(무릎 밑부터 발목까지의 다리뼈)에서 발생하는 골절로, 경골(정강이뼈)과 비골(가는 뼈)이 연속성을 잃은 상태를 말한다. 주로 외부의 강한 힘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 부종, 변형, 신경 손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X선 촬영, CT,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는 비수술적 방법(도수 정복, 고정)과...2025.01.04 · 의학/약학
-
ORIF 정의, 적응증, 수술방법, 수술 전중후 간호1. ORIF(개방정복과 내부고정술) ORIF(개방정복과 내부고정술)은 수술을 통해 골절편을 재배열하고 나사, 금속판, 핀, 철사, 못 등을 사용하여 골절편의 배열 상태를 유지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적응증은 심각한 골절, 관절 포함 골절,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 등이며, 일부 개방골절이나 심한 분쇄골절은 금기사항입니다. 수술 방법은 전신마취 후...2025.01.04 · 의학/약학
-
Rt.radioulnar shaft fx. 우측 요척골 몸통 골절 ORIF 수술실 케이스1. 골절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로, 외부적 힘에 의해 발생한다. 골절의 치유과정은 혈종 형성, 세포 증식, 가골 형성, 골화, 골 재형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골절의 증상으로는 통증, 기능 상실, 기형, 부종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X-ray, MRI, CT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로는 정복, 고정, 재활 등이 이루어지며, 합병증으로는 동...2025.01.09 · 의학/약학
-
ORIF 수술 후 구획증후군 관리1. 구획증후군 Marilyn은 ORIF 수술 후 왼쪽 다리에 구획증후군의 증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무감각, 동맥관류 저하, 피부 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며, 붕대를 느슨하게 풀어주고 다리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중재 후 통증 감소, 혈압 안정화, 맥박 회복 등의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2025.04.29 · 의학/약학
-
ORIF 수술 전 후 간호 5페이지
open reduction & internal fixation< ORIF: 개방정복과 내고정술이란? >내부고정술은 이물질 반응이 적은 못(nail), 막대(rod), 판(plate), 나사못(screw)과 핀(pin) 등을 사용하여 어긋난 골편을 고정하는 방법이다.수술은 전신마취하에서 하고, 고정장치는 골절부위 절개를 통하여 삽입한다. 내부고정술은 폐쇄정복이 효과가 없거나 불가능한 경우, 또는 금시사항인 경우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퇴경부의 골절, 슬개골의 횡선골절, 불유합의 경향이 있는 골절에 유효하다.견인을 하고 있을 때 보다...2021.07.17· 5페이지 -
수술실 사례 연구 ORIF 6페이지
수술실 사례 연구 ⅣORIF골절은 뼈가 부러진 상태로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발생한다.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 외층에 손상이 없으면, 폐쇄성골절이라하며, 골절부위가 피부 밖으로 돌출하여 외부환경에 직접노출된 상태이면 개방성 골절이라고 한다.골절치료의 목표는 최대한의 정상형태와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치료방법으로는 뼈의 원래 위치로 골절편을 접근시켜 환원하는 교정(reduction), 골절된 뼈를 제 위치로 되...2025.01.29· 6페이지 -
ORIF 수술 전후 간호 5페이지
REPORT< OR/IF >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1. 정의* ORIF = Open Reduction and Intermal Fixation ( 개방 정복술 및 내고정술)전위가 있는 골절을 수술을 통해 정복하여 스크류나 플레이트 등을 이용해서 체내에서 고정하는 처치이다.* CRIF = Closed Reduction and Intermal Fixation (폐쇄 정복술 및 내부고정술)뼈를 노출 시키지 않고 골절된 부위를 정렬하고 난 후 K-wire(k-강선)으로 고정하는 수술대부분 관혈적 정복술 시행...2021.04.12· 5페이지 -
ORIF 수술실 보고서 &상세함 4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Operating Room Report1. 개인력성명 : 김oo성별 : F연령 : 81입원과명 : OS주소 : X수술일자 : 2022.05.172. 수술명의학적 진단명: Fracture of shaft of femur, closed수술명: ORIF with IM nail femur Rt3. 문헌고찰 ? ORIF 개방정복술골절로 인해 뼈가 적절한 선열에서 벗어난 경우 또는 관절면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골절부의 정복을 시도한다. 비개방교정이 불가능하거나, 관혈적정복으로 정확한 정복을 하지 않을 경우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2022.06.25· 4페이지 -
[A+] 골절, ORIF 수술 케이스 (수술도구,수술과정) 26페이지
CASE STUDY골절 (Fracture)수술명 : ORIF(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개방 정복술 및 내고정술)◈ 목 차 ◈··Ⅱ. 문헌고찰········1. 뼈의 구조와 기능2. 정 의3. 원 인4. 종 류5. 임상 증상6. 합 병 증7. 진 단 검 사8. 골절 치유의 과정9. 치 료10. 간 호Ⅲ. 대상자 사정········1. 사례2. 검사 결과3. 약물Ⅳ. 수술 ········1. 수술명2. 수술 과정3. 마취 회복기 간호·Ⅵ.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1. 뼈의 구조와 ...2022.04.12·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