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자료 분류표 (DDC, KDC, UDC, LCC, CC) 특징 비교 정리
본 내용은
"
주요 자료 분류표 (DDC, KDC, UDC, LCC, CC) 특징 비교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9
문서 내 토픽
-
1. D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는 1876년 처음 발표된 이후 2011년 23판까지 개정되었으며, 십진식 기호법을 사용하여 10개의 주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주류와 강목 단계에서는 최소 자리수를 채우기 위해 0을 추가하며, 세목 단계에서는 소수점을 사용합니다. DDC는 계층적 구조와 학문에 의한 분류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열거식 분류와 분석합성식 분류 원리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DDC의 장점은 범용성과 실용성이 높으며, 상관 색인이 우수하고 조기성이 풍부하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학문 분야에 따른 주제 불균등, 서양 편향, 동일 저자 작품의 분산 현상 등이 있습니다.
-
2. KDC (한국십진분류법)KDC는 1964년 처음 발표된 이후 2013년 6판까지 개정되었으며, 십진식 기호법에 부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기호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류는 1개의 알파벳 대문자, 하위류는 2~3개의 알파벳 대문자, 세목 이하는 1~9999의 정수와 소수점을 사용합니다. KDC는 계층적 구조와 학문에 의한 분류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열거식 분류와 부분적으로 주제에 의한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KDC의 장점은 동양, 한국 중심의 실용적인 분류표이며, 상관 색인 편성과 복합 주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주제가 전체적으로 불균형적이며, 최근의 토픽 반영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
3. UDC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UDC는 1905년 처음 발표된 이후 1943년 4판까지 개정되었으며, 혼합기호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류는 23개의 알파벳 소문자, 하위류는 10개의 아라비아 숫자와 26개의 알파벳 대문자, 세목 이하는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는 복잡한 기호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UDC는 계층적 구조와 학문에 의한 분류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패싯/조합식/관점 분류와 분석합성식 분류 원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UDC의 장점은 분석합성식 분류로 인해 서가배열과 정보검색에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기호가 복잡하고 길어져 식별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
4. LCC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LCC는 1901년 처음 발표된 이후 1989년 7판까지 개정되었으며, 혼합기호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류는 23개의 알파벳 대문자, 하위류는 2~3개의 알파벳 대문자, 세목 이하는 1~9999의 정수와 소수점을 사용하는 복잡한 기호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LCC는 계층적 구조와 학문에 의한 분류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열거식 분류와 부분적으로 주제에 의한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LCC의 장점은 서지분류와 온라인검색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기호가 복잡하고 길어져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
5. CC (Colon Classification)CC는 1933년 처음 발표된 이후 1987년 7판까지 개정되었으며, 분석합성식 분류 원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류는 23개의 알파벳 소문자, 하위류는 10개의 아라비아 숫자와 26개의 알파벳 대문자, 세목 이하는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는 복잡한 기호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CC는 다차원적 구조와 학문에 의한 분류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CC의 장점은 분석합성식 분류로 인해 서가배열과 정보검색에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기호가 복잡하고 길어져 식별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
1. D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헌분류체계로, 문헌의 내용을 주제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효율적인 정보 접근과 검색을 가능하게 합니다. DDC는 10개의 주류와 100개의 세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새로운 주제의 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습니다. 이를 통해 DDC는 문헌정보 관리와 활용에 있어 매우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만 DDC는 서구 중심적인 관점에서 개발되었다는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KDC (한국십진분류법)KDC(한국십진분류법)는 한국 문헌정보 관리를 위해 개발된 대표적인 문헌분류체계입니다. DDC를 기반으로 하되, 한국의 문화와 학문 체계를 반영하여 독자적인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KDC는 10개의 주류와 1,000개 이상의 세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도서관과 정보센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문헌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며, 지속적인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학문 분야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KDC가 국내 문헌정보 관리의 핵심 도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UDC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UDC(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는 DDC와 함께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문헌분류체계 중 하나입니다. UDC는 DDC와 유사한 10진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보다 세부적이고 복합적인 주제 분류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다국어 지원과 국제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언어와 문화권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UDC는 특히 다국어 자료 관리와 국제적 정보 교류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DDC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와 관리의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LCC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LCC(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는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개발한 문헌분류체계로, 주로 북미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LCC는 알파벳 기호와 숫자를 조합하여 주제를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DDC와 달리 주제 간 계층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LCC는 주제 간 관계 파악이 상대적으로 어렵지만, 세부 주제에 대한 분류가 보다 세밀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LCC는 미국 중심의 관점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른 국가나 문화권에서의 활용에는 일부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LCC의 활용에 있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5. CC (Colon Classification)CC(Colon Classification)는 인도의 S.R. Ranganathan이 개발한 문헌분류체계로, 기존의 DDC, LCC 등과는 차별화된 독특한 분류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CC는 주제 간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콜론(:)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통해 복합 주제의 표현이 용이합니다. 또한 CC는 문헌의 내용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어, 특정 주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C는 다른 분류체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와 사용법을 가지고 있어,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의 활용을 위해서는 체계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