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보안실습 강의자료(HTML Injection)
본 내용은
"
웹보안실습 강의자료(HTML Injec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3
문서 내 토픽
  • 1. HTML Injection
    HTML Injection은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주입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인식하여 실행하여 공격하는 것입니다. 공격방법이나 사용언어에 따라 SQL Injection, HTML Injection, OS Command Injection, LDAP (디렉토리 서비스) Injection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HTML Injection은 Code Injection의 하위 개념으로, 취약한 매개변수에 악의적인 HTML 코드를 삽입하는 공격입니다. 공격자는 사용자가 연결을 요청한 페이지에 HTML Tag를 삽입하여 의도하지 않은 내용을 보게 하거나 악의적인 사이트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 2. Reflected HTML Injection
    Reflected HTML Injection은 URL에 악의적인 HTML Tag를 삽입하는 기법입니다. 링크를 클릭한 사용자의 PC에서 HTML 태그가 실행되게 하는 공격입니다. GET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URL에 변수명과 입력 값을 노출하기 때문에 이 기법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3. Stored HTML Injection
    Stored HTML Injection은 블로그 형식의 페이지를 지원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Submit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때 공격자가 악의적인 HTML 코드를 삽입하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4. iFrame Injection
    iFrame Injection은 HTML 문서 안에서 또 다른 HTML 문서를 출력하는 iFrame 태그를 악용하는 공격입니다. 주로 악성 URL을 삽입한 후 크기를 0으로 설정하여 숨기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악성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경고창을 띄울 수 있습니다.
  • 5. 공격 대응 방안
    HTML Injection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검증과 인코딩,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사용 등이 있습니다. 특히 Htmlspecialchars() 함수를 사용하여 HTML 태그를 문자열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보안 수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 데이터를 우회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HTML Injection
    HTML Injec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임의의 HTML 코드를 삽입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사용자의 세션 정보 탈취, 피싱 공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 다양한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sanitization,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콘텐츠 보안 정책(CSP) 설정 등의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2. Reflected HTML Injection
    Reflected HTML Injec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입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임의의 HTML 코드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세션 정보 탈취, 피싱 공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의 공격이 가능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sanitization,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콘텐츠 보안 정책(CSP) 설정 등의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3. Stored HTML Injection
    Stored HTML Injec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입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에 임의의 HTML 코드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세션 정보 탈취, 피싱 공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의 공격이 가능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sanitization, 데이터베이스 내 콘텐츠에 대한 보안 검토,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콘텐츠 보안 정책(CSP) 설정 등의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4. iFrame Injection
    iFrame Injec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을 적절히 검증하지 않고 iFrame 태그에 포함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입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임의의 iFrame 태그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세션 정보 탈취, 피싱 공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의 공격이 가능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sanitization,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콘텐츠 보안 정책(CSP) 설정 등의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 5. 공격 대응 방안
    HTML Injection, Reflected HTML Injection, Stored HTML Injection, iFrame Injection 등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1.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sanitization: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적절히 검증하고 HTML 태그, 스크립트 등의 위험한 문자열을 제거하는 sanitization 과정이 필요합니다. 2.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보안 패치를 지속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3. 콘텐츠 보안 정책(CSP) 설정: 콘텐츠 보안 정책을 통해 웹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는 리소스를 제한하여 XSS 공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트: 정기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트를 통해 취약점을 발견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5. 사용자 교육: 사용자에게 이러한 공격 기법과 대응 방안에 대해 교육하여 보안 의식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