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0년대 이후 미술의 변화와 전개, 그 중 플럭석스 그룹에 대해
본 내용은
"
1960년대 이후 미술의 변화와 전개, 그 중 플럭석스 그룹에 대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7
문서 내 토픽
-
1. 플럭서스 예술 운동플럭서스는 기존의 문화와 예술 등 그것을 구성하고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경향을 부정하는 반(反)예술적, 반(反)문화적 전위운동의 성격을 가졌으며, 음악, 미술, 공연, 연극, 무용, 영화, 출판, 디자인, 그리고 건축과 과학을 넘나드는 소위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하는 탈(脫)장르적이면서 혁명적인 예술운동을 일컫는다.
-
2. 포스트모더니즘과 플럭서스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서양 미술계의 주도권을 쥐려했고, 이러한 시도로 고고한 유럽 예술의 전통을 넘어 그 전통위에 본인의 위대함을 증명해내려고 하였다. 이에 반해 플럭서스는 의식적으로 다다를 계승한 순혈 아방가르드 운동의 성격이 강하며, 예술가들의 스스로가진 인식에서 부터 진정한 의미에서의 '네오 다다'를 표방했다.
-
3. 백남준과 플럭서스백남준은 플럭서스 그룹에 참여하면서 우연성이 가미된 오브제를 사용하며 특유의 무작위성과 순간성을 구체화하고 실험했다. 또한 텔레비전을 중요한 예술도구로 활용하여 1980년대 초반에는 PBS 교육방송에서 정기적으로 작품이 방영되기도 했다.
-
1. 플럭서스 예술 운동플럭서스 예술 운동은 1960년대에 등장한 실험적이고 반전통적인 예술 운동입니다. 플럭서스 예술가들은 기존의 예술 개념을 거부하고 일상적인 사물과 행위를 예술로 승화시키고자 했습니다. 이들은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파괴하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했습니다. 플럭서스 예술은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고 예술의 개념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집니다. 하지만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되기 어려웠고 예술계 내부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플럭서스 예술은 현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예술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2. 포스트모더니즘과 플럭서스플럭서스 예술 운동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의 근대 예술 개념을 거부하고 새로운 예술 형식을 모색하는 움직임이었는데, 플럭서스 예술은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인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플럭서스 예술가들은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파괴하고 일상적인 사물과 행위를 예술로 승화시켰으며,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했습니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 추구했던 예술과 삶의 경계 허물기, 예술의 개념 확장,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 등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따라서 플럭서스 예술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3. 백남준과 플럭서스백남준은 플럭서스 예술 운동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예술가 중 한 명입니다. 백남준은 기존의 예술 개념을 거부하고 TV, 비디오 등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예술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했으며, 일상적인 사물과 행위를 예술로 승화시켰습니다. 백남준은 플럭서스 예술가들과 함께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파괴하고 새로운 예술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백남준은 플럭서스 예술 운동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예술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플럭서스 10페이지
플럭서스 Fluxus들어가는글Ⅰ. 플럭서스의 형성 배경1. 다다와 마르셀 뒤샹2. 존 케이지의 실험음악Ⅱ. 플럭서스의 탄생과 전개1. 뉴욕2. 독일3. 1962년 비스바덴 플럭서스 페스티발4. 플럭서스의 전개, 활동Ⅲ. 플럭서스의 활동 방식1. 퍼포먼스2. 우편예술3. 출판Ⅳ. 플럭서스의 특성1. 탈 장르 - 인터 미디어, 시간성, 삶과 예술의 통합2. 탈 개인 - 놀이정신, 우연성, 작가주의 지양3. 탈 국가 - 세계주의4. 탈 관념 - 우상파괴주의, 혁신주의, 실험주의, 놀이Ⅴ. 남겨진 의미플럭서스Fluxus는 (‘흐르면서, 흐...2009.05.04· 10페이지 -
플럭서스 12페이지
1. 플럭서스(Fluxus)란 무엇인가?2. 플럭서스의 형성 배경1) 시대적 배경2) 플럭서스의 예술적 배경3. 플럭서스의 전개1) 프로토 플럭서스2) 플럭서스의 명명과 성격3) 조지 마키우나스와 플럭서스4) 플럭서스의 전개 과정4. 플럭서스의 특징1) 플럭서스 지향점2) 플럭서스 양식3) 플럭서스의 활동방식5. 플럭서스의 대표 작가6. 플럭서스의 의의1) 시대적 의미2) 예술적 의의3) 비판적 시각7. 백남준1) 그의 작품세계2) 플럭서스 대표 작품8. 요셉 보이스(Joseph Beuys)1) 요셉 보이스의 삶2) 요셉 보이스와 ...2008.07.12·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