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부주도모형, 동원모형, 내부접근모형
본 내용은
"
외부주도모형, 동원모형, 내부접근모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2
문서 내 토픽
-
1. 외부주도모형외부주도모형은 사회 내 대립하는 집단 사이의 갈등으로 이슈가 발생하고, 이 이슈가 널리 공중에 확장되어 체제의제로 등장하면 정책결정자의 관심을 끌게 되어 제도의제에 도달하게 된다. 이슈가 발생하여 공중으로 확장되는 확장경로와 체제의제에서 제도의제로 전환되는 진입경로에는 이슈경로를 촉진시키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이 많이 나타난다.
-
2. 동원모형동원모형은 정책결정자가 정책과 프로그램에 내포되어 있는 이슈를 정부의제에서 공중의제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이슈는 정책결정자나 그의 측근에 의해 정부의제에 상정된 것이고 사전에 공중에까지 확장된 적은 없다. 동원모형에서는 주로 정책집행을 위해 필요한 관심과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
3. 내부접근모형내부접근모형은 공중의 참여를 배제하고자 시도하는 정책의제설정모형을 설명한다. 최초의 정책제안은 정부 단위 내부 혹은 측근 집단에서 이루어지지만 이슈는 공중에게 확장되지 않는다. 내부접근모형에서는 의제를 대중에게 확산시키는 확산단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1. 외부주도모형외부주도모형은 정부나 대기업 등 외부 주체가 주도적으로 혁신을 이끌어가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은 자원과 역량이 풍부한 외부 주체가 기술 개발,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혁신을 주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점으로는 신속한 혁신 추진, 대규모 투자 가능, 체계적인 혁신 전략 수립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외부 주체의 관심과 의지에 따라 혁신 방향이 좌우될 수 있고, 내부 주체의 자발성과 창의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주도모형은 외부 주체와 내부 주체 간의 긴밀한 협력과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내부 주체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동원모형동원모형은 정부나 대기업 등 외부 주체가 내부 주체를 동원하여 혁신을 추진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은 외부 주체가 자금, 기술, 인력 등을 제공하고 내부 주체를 동원하여 혁신을 이끌어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점으로는 외부 주체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할 수 있고, 내부 주체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내부 주체의 자발성과 창의성이 저해될 수 있고, 외부 주체의 개입으로 인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원모형은 외부 주체와 내부 주체 간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이 필요하며, 내부 주체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내부접근모형내부접근모형은 내부 주체가 주도적으로 혁신을 이끌어가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은 내부 주체가 자체적인 역량과 자원을 활용하여 혁신을 추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점으로는 내부 주체의 자발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고, 혁신 방향이 내부 주체의 필요와 요구에 부합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외부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고, 혁신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접근모형은 내부 주체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필요에 따라 외부 자원과 역량을 적절히 활용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코브와 로스(Cobb & Ross)의 정책 의제화 모형(아젠다, 모델)1. 외부주도형 정부 밖의 민간집단으로부터 문제가 제기되어 확산됨으로써 공중의제가 된 후 최종적으로 공식의제로 채택되는 정책모형으로, 이익집단들이 관여하여 주도적으로 정부의제로 채택되도록 강요한다. 외부주도형은 정부가 외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치체제, 즉 다원화되고 민주화된 선진국 정치체제에서 많이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민간 부문이 정부 부문보다 ...2025.01.12 · 사회과학
-
정책의제의 형성과정과 사회복지정책 결정에 관하여 논하시오1. 정책의제형성의 의의 정책의제형성(Agenda Setting)이란 사회문제가 정책의제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정책과정은 문제인지,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로 이루어진다. 정책의제형성은 정책과정의 시작단계이며, 방향과 성격을 규정짓는 요구와 지지를 정책결정체제에 투입하는 과정이다. 정책의제형성은 정책과정에 작용한 정치세력들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점에서 중...2025.01.13 · 사회과학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사회문제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정책 대안 형성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1. 사회복지 정책의 형성과정 사회복지 정책의 형성과정에는 내부 접근 모형, 동원 모형, 외부주도 모형 등 3가지 모형이 있다. 내부 접근 모형은 정부 주도적인 정책 형성 과정이며, 동원 모형은 정부 내 인지도 있는 인력을 동원하여 정부 주도적인 복지 정책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외부주도 모형은 주민,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2025.05.12 · 사회과학
-
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1. Eyestone의 모형 Eyestone(1978)은 의제형성모형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는 사회문제의 태동, 사회문제의 인지, 타 집단의 관여, 사회쟁점의 표출, 공중의제의 형성, 쟁점창도자의 활동, 공식의제의 형성, 정책결정, 그리고 정책집행 순으로 분류된다. 사회문제가 집단에 의하여 인지되고 다른 견해를 가진 집단이 관여하면 사회문제가...2025.01.11 · 사회과학
-
지역사회간호학 요점정리/학습노트(간호이론, 간호과정, 보건사업기획)1. 체계이론(System Theory) 체계이론은 전체과학의 일체성을 조명한 개념적 모형으로 폰 베르탈란 피가 모든 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 원칙, 법칙이 존재한다는 가정을 기초로 제안하였다. 체계는 사물 사이에 환경과 상호관계하고 있는 요소들의 집합체로 설명되며, 폐쇄체계와 개방체계로 구분된다. 체계의 구조와 기능에는 경계, 환경, 계층, 속성 등...2025.05.04 · 보건
-
아젠다 형성 5페이지
아젠다 형성목차아젠다 형성I. Policy AgendaII. 특징1. 이슈들 사이의 경쟁2. 정치적 과정3. 공공정책상의 문제로 정의III. 아젠다 구축모형1. 외부주도모형2. 동원모형3. 내부접근모형* 참고문헌아젠다 형성I. Policy Agenda공공정책으로 전환되기 위하여 정책결정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논의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문제나 이슈의 목록이나 의제들의 모음이다. 즉, 아젠다는 정책꾼들의 논의가 이루어지는 문제나 요구, 아젠다를 구성하는 문제나 요구로 이루어진 각각의 항목들을 일컫는다. 이때 정책의제로서 논의하는 ...2020.08.13· 5페이지 -
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 5페이지
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목차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1) Eyestone의 모형2) Jones의 모형1. 사건인지 및 문제정의 단계2. 결집과 조직화 단계3. 대표단계3) Cobb과 Ross의 모형1. 외부주도모형2. 동원모형3. 내부접근모형* 참고문헌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1) Eyestone의 모형Eyestone(1978)은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의제형성모형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는 사회문제의 태동, 사회문제의 인지, 타 집단의 관여, 사회쟁점의 표출, 공중의제의 형성, 쟁점창도자...2024.03.05· 5페이지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사회문제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정책 대안 형성의 문제점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4페이지
·과목명: 사회복지 정책론·주제: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사회문제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정책 대안 형성의 문제점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세요.-목차-Ⅰ. 서론, 사회복지 정책이란?Ⅱ. 본론1. 사회복지 정책의 형성과정1) 내부 접근 모형2) 동원 모형3) 외부주도 모형2. 사회문제의 개념3. 사회복지정책 대안 형성의 문제점에 대한 내 의견 기술하기1) 많은 시간이 걸림2) 표본이 되는 지표가 부족함3) 수치나 표로 표현하기 힘듦Ⅲ. 결론, 위에 대한 내 소감과 견해Ⅳ. 참고문헌Ⅰ. 서론, 사회복지 정책이란?우리가 흔...2023.07.31· 4페이지 -
정책의제설정 사례모음(외부주도, 동원, 내부접근) 15페이지
ㄱ) 사회 문제 - 많은 사회적 구성원들이 동일한 문제로 고민하고 고통을 받는 문제.ㄴ) 사회적 이슈 - 문제에 대한 정의와 해결방안에 관하여 사회적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사회문제로서 집단들 간에 논쟁의 대상이 되어 있는 문제로서, 사회문제가 해결방안을 놓고 정책과정 참여자들이 갈등을 일으키면 쟁점화되어 사회적 이슈로 나아감. 잠재된 문제가 예상치 못한 사건과 사고(->촉발장치)를 통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기도 함.ㄷ) 체제의제 - 정부가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는 사회문제로서, 사회적 이슈가 많은 사람들...2019.10.19· 15페이지 -
정책의제설정모형 3페이지
정책의제설정모형목차정책의제설정모형I. 외부주도모형II. 동원모형III. 내부접근모형* 참고문헌정책의제설정모형어떤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고 대중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을수록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성은 그만큼 커지게 된다. 문제가 특정개인이나 민간차원에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닐 때, 그리고 많은 자원을 보유하면서 권위를 갖춘 정부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고, 또 해결해야만 한다고 많은 사람이 생각할 때 정책적 해결방안이 모색될 수밖에 없다.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문제는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지 정책과정으로 투입되...2019.10.10·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