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간호학 '플랜맨' 영화의 의사소통 분석 후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재구성 과제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플랜맨' 영화의 의사소통 분석 후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재구성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3
문서 내 토픽
-
1. 의사와 정석의 상담 장면(1)이 장면에서 의사는 정석의 노트를 읊어보고, 이렇게 세세한 내용들을 기록해놓은 정석이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듯이 '왜?'라는 질문들만을 계속 던졌으며 마치 이상한 것을 보는 듯한 눈빛을 보내고, 고개를 갸우뚱거리고, 적절치 못한 말투를 쓰는 등 비치료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이럴 땐 보통은 고백을 하는 것이라고 말하여 정석의 행동을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취급하였다. 이에 공감하기, 제안하기 기법을 사용하여 정석의 특이한 행동을 수용하며 정서적으로 이해해 주고, 대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었다.
-
2. 의사와 정석의 상담 장면(2)이 장면에서 정석은 의사에게 소정이 허락도 없이 자신의 노트를 보고 그 노트의 내용으로 노래를 쓴 것으로 인해 자신이 느꼈던 불쾌한 감정에 대해서 진지하게 이야기하고 있지만, 의사는 다리를 꼬고 기대앉아 흥미가 없다는 표정을 하고는 다른 곳을 쳐다보고 있다. 또, 마치 귀찮다는 듯이 고개를 대충 끄덕이고 소파를 손가락으로 반복적으로 두드려대며 정석의 말에 집중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등 매우 비치료적인 의사소통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적극적 경청, 관찰한 바를 말하기, 재진술, 반영 기법을 사용하여 정석이 자신의 감정을 수용하고 인정하는 것에 도움을 주었다.
-
3. 의사와 정석의 상담 장면(3)이 장면에서 의사는 허락도 없이 정석의 노트를 가져가 강박 장애가 있는 정석을 배려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노트가 찢어지자 정석에게 짜증이 섞인 말과 표정을 보이며 정석을 당혹스럽게 한다. 그리고 상담 내용을 요약하는 겸, 정석과 다른 사람들의 차이점을 적어보는 것도 혼자서 빠르게 진행한 후 통보식으로 상담을 끝내버려 정석을 당황하게 하였다. 이에 요약하기, 침묵하기, 유머, 협력 제의하기 기법을 사용하여 정석을 배려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주었다.
-
4. 직장동료 경미와 정석의 대화 장면경미는 책에서 눈을 떼지 않고, 정석의 말에 집중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애초에 대화에 집중하지 않았기에 정석이 되묻는 말에 무슨 말을 했냐며 되려 되묻고, 전화가 오자 바로 전화를 받으러 가버리는 등 비치료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이에 개방적 질문하기, 명료화, 해석하기를 사용하여 정석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의 이면의 것을 파악하도록 도움을 제공해 주었다.
-
1. 의사와 정석의 상담 장면(1)의사와 정석의 첫 번째 상담 장면은 정석이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정석은 자신의 우울감과 불안감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의사는 경청하며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정석이 자신의 감정을 잘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와의 신뢰로운 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담 과정은 정석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2. 의사와 정석의 상담 장면(2)두 번째 상담 장면에서는 정석이 자신의 가족 관계와 직장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야기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정석은 부모님과의 갈등, 직장 내 스트레스 등 다양한 고민을 토로하고 있으며, 의사는 이를 경청하며 정석의 감정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담 과정을 통해 정석은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고, 의사는 정석의 상황을 더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향후 정석의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3. 의사와 정석의 상담 장면(3)세 번째 상담 장면에서는 정석이 자신의 삶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털어놓는 모습이 나타난다. 정석은 자신의 삶의 방향성과 가치관에 대해 고민하며, 의사는 이를 경청하며 정석이 스스로 해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러한 상담 과정은 정석의 내면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의사의 공감적이고 지지적인 태도는 정석이 자신의 문제를 더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정석이 자신의 삶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4. 직장동료 경미와 정석의 대화 장면직장동료 경미와 정석의 대화 장면에서는 정석의 고민에 대한 경미의 공감과 지지가 잘 드러나고 있다. 경미는 정석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있으며, 정석에게 격려와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석이 자신의 문제를 혼자 해결하려 하지 않고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경미의 태도는 정석이 자신의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동료 간의 상호작용은 정석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