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 & Rh Typing과 고찰
본 내용은
"
ABO & Rh Typing과 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8
문서 내 토픽
-
1. ABO & Rh 혈액형 검사ABO & Rh 혈액형 검사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수혈 전 검사로 반드시 시행한다. ABO 혈액형 검사는 혈구형 검사와 혈청형 검사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되며, Rh 혈액형 검사는 적혈구 표면에 D 항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혈구형 검사만 시행한다. 실험에서는 슬라이드 법과 시험관 법으로 ABO & Rh 혈액형 검사를 진행하였고, 추가로 Lectin A & Lectin H 검사와 Auto control 검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Rh 위음성의 원인, ABO 아형과 Lectin 검사, ABO 혈액형 불일치 등을 고찰하였다.
-
2. Rh 위음성의 원인슬라이드 법에서 Rh 혈액형 검사 결과가 위음성으로 나왔는데, 이는 혈액을 떨어뜨린 후 방치된 시간이 길어졌고 Applicator로 넓고 얇게 섞지 않아 혈액이 굳어져 응집반응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험관 법에서는 모든 조원이 Rh(+)로 나와 슬라이드 법의 결과가 위음성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3. ABO 아형과 Lectin 검사ABO 아형은 ABO 항원 결정기의 양적 또는 질적 이상으로 정상적인 A, B, AB형보다 항혈청과의 반응에서 응집이 약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anti-A Lectin과 anti-H Lectin 두 가지 시약을 통해 ABO 아형을 검사하였다. Lectin 검사는 ABO 불일치의 원인을 확인하는데 필수적이다.
-
4. ABO 혈액형 불일치이번 실험에서 슬라이드법과 시험관법의 결과가 불일치하게 나왔는데, 이는 적혈구측 원인, 혈청측 원인, 기술적 원인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적절한 혈구부유액을 사용하지 않아 위음성이 나올 수 있었다. 혈액형 검사는 실수가 없어야 하므로 실험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많이 생각하게 되었다.
-
1. ABO & Rh 혈액형 검사ABO 및 Rh 혈액형 검사는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BO 혈액형은 A, B, AB, O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Rh 혈액형은 양성 또는 음성으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혈액형 정보는 수혈, 장기 이식, 임신 및 출산 등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정확한 혈액형 검사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며, 의료진은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BO 및 Rh 혈액형 검사는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진단 도구로 간주되며,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Rh 위음성의 원인Rh 위음성은 Rh 혈액형 검사에서 실제 Rh 양성인 사람이 Rh 음성으로 잘못 판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위음성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첫째, 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오류나 실험 조건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둘째, 검사 대상자의 유전적 특성으로 인해 Rh 항원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음성으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셋째, 수혈이나 임신 등의 과거 경험으로 인해 Rh 항체가 생성되어 있어 실제 Rh 양성임에도 불구하고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h 위음성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다양한 원인을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ABO 아형과 Lectin 검사ABO 혈액형은 A, B, AB, O의 4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더 세분화된 아형이 존재합니다. ABO 아형은 주요 유형에 비해 항원 발현 정도가 약하거나 변형된 형태를 보이는데, 이러한 아형을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서는 Lectin 검사가 활용됩니다. Lectin은 특정 혈액형 항원에 결합하는 단백질로, Lectin 검사를 통해 ABO 아형을 보다 정확히 판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혈, 장기 이식, 임신 등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BO 아형 및 Lectin 검사는 혈액형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ABO 혈액형 불일치ABO 혈액형 불일치는 수혈이나 장기 이식 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ABO 혈액형이 다른 경우, 수혈이나 장기 이식 과정에서 항체-항원 반응으로 인해 용혈, 응집, 혈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므로, 의료진은 반드시 ABO 혈액형 일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임신 중 모체와 태아 간 ABO 혈액형 불일치로 인한 용혈성 질환 발생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ABO 혈액형 불일치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혈액형 검사와 함께 의료진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A+ 성인간호학실습 폐렴 케이스스터디 32페이지
사 례 보 고 서폐렴(pneumonia)학과명교과목명/학점학번실습생명실습시작일실습종료일실습업체명지도교수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p. 1Ⅱ. 문헌고찰1. 정의 ··········································································································p. 12. 원인 ····...2024.03.10· 32페이지 -
수혈 22페이지
수혈(Blood transfusion)목 차Ⅰ. 수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31. 수혈의 정의2. 수혈의 목적3. 공여자 선택4. 수혈의 종류5. 수혈의 혈액제제6. 수혈 전 검사7. 수혈 시 주의사항8. 수혈대체요법9. 수혈의 부작용10. 수혈오류11. 혈액은행Ⅱ. 수혈간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06.01· 22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골관절염(Knee.OA,osteoarthritis) A+자료 진단 6 과정 2 35페이지
Knee. OA (Lt. TKR)(골관절염, 인공슬관절전치환술)담당 과목지도 교수실 습 지실습 차수학년 · 반학 번이 름제 출 일Ⅰ. 서론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관절염 환자 수는 440만명에서 2018년 486만명으로 5년 사이 약 10%가량 증가했다. 이 중 74%의 환자가 무릎관절의 골관절염 환자이다.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과체중·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골관절염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골관절염은 주로 6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알려져 있...2022.03.26· 35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골절Lt. radius shaft. fx.)_간호진단(수술과 관련된 통증,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오심) 26페이지
2699아동간호학 사례보고서 Case Study Report목차1. 환아의 일반적 사항......................................................................2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23. 간호사정.....................................................................................61) 간호력......2024.04.23· 26페이지 -
Knee. OA (Lt. TKR) 케이스 36페이지
Knee. OA (Lt. TKR)(골관절염, 인공슬관절전치환술)Ⅰ. 서론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관절염 환자 수는 440만명에서 2018년 486만명으로 5년 사이 약 10%가량 증가했다. 이 중 74%의 환자가 무릎관절의 골관절염 환자이다.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과체중·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골관절염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골관절염은 주로 6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알려져 있으나, 골관절염 환자 10명 중 4명이 60세 이하의 ‘젊은 골관절...2020.12.17· 3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