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과병동 정형외과 질환, 검사 및 약어 보고서
본 내용은
"
외과병동 정형외과 질환, 검사 및 약어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5
문서 내 토픽
-
1. 타박상타박상(contusion)은 둔탁한 힘(구타, 걷어참, 넘어짐 등)에 의한 연조직 손상으로 국소적 출혈이나 피하출혈 및 심부조직의 파괴를 동반한다. 손상 후 2-3일이 지나면 반상출혈이 보인다. 압통과 부종이 있고 때로는 혈종이 생기기도 하나 출혈된 혈액이 흡수되면 점차 피부색이 정상화된다. 간호 방법으로는 손상 후 첫 24시간 동안 손상 부위를 상승시키고 냉요법을 1회에 20-30분 이내로 적용하여 출혈과 부종을 감소시키며, 부종이 줄어든 후에는 혈관 확장과 혈액 흡수를 돕고 관절운동의 회복을 위해서 습열을 적용한다. 또한 타박상 부위를 탄력붕대로 감아서 출혈을 조절하고 부종을 감소시키며,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복용한다.
-
2. 근염좌근염좌(strain)는 건이 과신전되거나 근육이 심하게 긴장될 때 발생되며 좌상이라고도 한다. 익숙하지 않은 운동을 격렬하게 할 때 급성 근염좌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근육긴장이 지속되면 만성 근염좌가 된다. 간호 방법으로는 손상받은 근육을 휴식시키고 가능한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어 주며, 24-48시간 동안 냉요법을 적용하여 부종을 감소시킨다. 온열요법은 안위를 도모하고 혈액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한다. 건과 골의 일부가 파괴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며, 불편감과 통증이 있으면 운동을 제한하고 치유된 후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진시키도록 교육한다.
-
3. 탈구와 아탈구탈구(dislocation)이란 뼈가 관절의 정상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관절면의 접촉이 분리된 상태이다. 탈구가 되면 혈액 공급이 차단되고 인대나 혈관이 파열되며 신경이 손상되고 인접 근육이 파열된다. 아탈구(subluxation)는 관절이 불완전하게 탈구되거나 약간 빗나간 정도이다.
-
1. 타박상타박상은 피부와 근육 조직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입니다. 이는 흔한 부상 중 하나로,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발생합니다. 타박상의 증상으로는 통증, 부종, 멍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근육 파열이나 골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타박상의 치료는 휴식, 얼음 찜질, 압박 등의 RICE 요법이 기본이며, 심한 경우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타박상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회복되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과 점진적인 운동 재개가 필요합니다.
-
2. 근염좌근염좌는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러운 힘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스포츠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부상입니다. 근염좌의 증상으로는 통증, 부종, 근육 경직, 운동 제한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근육 파열이나 출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근염좌의 치료는 RICE 요법이 기본이며,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가 추가됩니다. 근염좌의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운동과 점진적인 운동 강도 증가, 근력 강화 운동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근염좌 발생 시 적절한 치료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점진적인 운동 재개가 필요합니다.
-
3. 탈구와 아탈구탈구와 아탈구는 관절의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탈구는 관절이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이고, 아탈구는 관절이 부분적으로 빠져나가는 것입니다. 이는 스포츠 활동이나 사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 주변의 인대와 근육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탈구와 아탈구의 증상으로는 심한 통증, 관절 변형, 운동 제한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관절을 정상 위치로 되돌리는 정복 술기와 함께 부목 고정, 약물 치료, 물리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탈구와 아탈구의 예방을 위해서는 관절 주변 근육의 강화, 유연성 증진, 균형 훈련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적절한 보호 장비 착용과 안전한 운동 습관이 필요합니다.
-
[특성보고서,약어,멸균법] 수술실 실습 부서 특징 12페이지
수술실(OR)부서특성약어멸균법실습부서의 특성2023년 12월 일 병원: 병동: 수술실(OR) 이름:항목내용진료과 구분- OS(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 GS(general surgery일반외과)- ENT(ear, nose, throat 이비인후과)- OG(obestetrics gynecology 산부인과)- NS(neuro surgery 신경외과)주요 질환[OS]- 골관절염, 경추/흉추 척수증, 척추변형 및 기형, 외상 등[GS]- 소화기(상부위장관, 대장항문, 간담췌), 유방, 혈관, 이식, 외상, 내분비 등을...2024.10.09· 12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근골격계 사전학습 보고서 36페이지
근골격계 병동사전학습 보고서목차Ⅰ. 주요 학습내용 11.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RA factor, CT, MRI, DEXA, Myelography, Arthroscopy,Arthrocentesis, EMG, Bone scan) 12. 근골격계 수술 전·후 환자 간호 53. 근골격계 장치 적용 환자 간호(석고붕대, 견인 환자 간호) 64.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105. 재활 간호(휠체어 및 목발사용법, 체위유지, 치료적 운동 등) 11Ⅱ. 주요 질환 131. 외상간호(Contusion, Strain,...2021.07.27· 36페이지 -
간호관리 케이스/ 간호관리 안전관리(투약, 낙상, 화재) 실습케이스 13페이지
Case study안전관리1. 투약-투약 안전 및 오류-실습 병동 평가2. 낙상-낙상 간호-실습 병동 평가3. 화재-병원 화재 시 대처-실습 병동 평가4. 참고문헌안전관리Ⅰ. 투약1. 투약안전▶투약오류는 의료기관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환자의 생명을 위협하여 막대한 추가비용 발생▶의료기관에서 가장 관심 갖는 부분2. 투약오류란?환자의 의무기록에 적혀진 처방이 계획된 투약시간에 맞추어 투약되지 않는 것3. 투약오류의 유형Allen&Barker(1990)김기경(2002)?투약의 불이행?의사의 처방지시에 의심이 ...2020.05.25· 13페이지 -
성인간호학 영대병원 화농성 관절염(septic knee) 케이스 스터디 18페이지
사 례 연 구 보 고 서사례명 : Septic knee1/191/201/211/221/23DutyDEEEE1/261/271/281/291/30DutyDDDDD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3제출자실습기관영남대학교 의료원실습기간실습지도교수사례연구보고서Ⅰ. CASE 선정이유3차병원 첫 실습으로 영대병원에 오게 되었다. 이번 실습 병동은 정형외과였는데 정형외과 병동은 처음이고 3차병원이라 그런지 처음 들어보는 의학용어와 약어들이 많았다. 인계를 듣거나 차트를 봐도 모르는 의학용어들 때문에 많이 당황했었다. 게다가 겉으로 봐서는 다 골절로 보여서 차트...2017.10.24· 18페이지 -
Degenerative arthritis case study 21페이지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대상자의TKA(Total knee arthroplasty) 수술과 연관된 간호 사례 연구서론1. 연구 목적현대에 와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노인들에게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노화와 관련된 여러 질환들의 증가를 가져왔다.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역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이는 장시간에 걸친 관절의 사용으로 인해 관절 표면이 닳고 찢기는 마손으로 인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 빈도는 방사선상 55세 이상의 약 80%가 ...2008.06.21· 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