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과 지도안 - 핸드볼
본 내용은
"
체육과 지도안 - 핸드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핸드볼의 기원 및 역사
    핸드볼은 19세기말 덴마크의 홀가 닐센(Holga Neilsen)에 의해 근대 핸드볼이 고안되었다. 독일에서 토아볼(Torball)이라는 이름으로 성인 여자를 위한 스포츠로 시작되었으며, 1928년 IAHF(International Amateur Handball Federation)가 창설되었다. 1938년 베를린 올림픽 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72년 뮌헨 올림픽 대회에서 7인제 핸드볼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2. 핸드볼의 특성 및 효과
    핸드볼은 시설 및 용구가 간단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경기를 할 수 있고, 경기 규칙도 간단하여 쉽게 배워 즐길 수 있다. 또한 달리기, 뜀뛰기, 던지기 등 인간의 기초적인 운동으로 이루어진 경기로 기초적인 운동기능과 체력육성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단체 경기로서 팀 동료간의 협동심과 규칙을 지키는 준법정신 및 사회성 육성에 교육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는 운동 종목이다.
  • 3. 핸드볼의 운동 원리
    공을 멀리 던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성과 스피드가 매우 중요하다. 스피드를 내기 위해서는 공이 손에서 떨어져 나가기 전에 긴 궤적과 빠른 스피드가 필요하다. 공을 던질 때는 뜀뛰거나, 달리는 속도를 이용하여 허리, 어깨의 회전과 팔, 팔꿈치의 스윙과 손목과 손가락의 스냅 등이 잘 연결되어야 한다. 공을 던질 때 스핀을 주면 볼이 날아가면서 휘어 가게 되는 이유는 회전하는 공 주변에 있는 공기의 기압 차이로 인하여 공기의 저항력이 변하기 때문이다.
  • 4. 핸드볼 경기의 문제점 및 보완점
    비인기 종목에 대한 홍보 및 꾸준한 지원, 경기장의 확충 및 대중 스포츠, 생활 스포츠로 육성, 축구의 킥과 연관 시켜 운동의 원리를 이해시키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 5. 드리블의 요령
    드리블 시 볼의 바운딩 원리를 이해하고, 양손을 자유롭게 이용하여 신속하게 방향을 전환하며 드리블할 수 있다. 볼이 바운드 되어 손안에 들어올 때 곧바로 밀면 충격이 커져 드리블이 안정성이 없으므로 공이 손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야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드리블할 수 있다.
  • 6. 스텝 슛의 요령
    스텝 슛은 마지막 1보에 체중을 앞 발에 실어 강하게 순간적으로 슛한다. 오른발에 있는 체중을 왼발로 이동하며 체중을 실어 슛하며, 슛의 방향은 마지막 순간 스냅으로 결정한다. 골 포스트 양쪽 사이드, 크로스바 양쪽 끝 각을 목표로 슛한다.
  • 7. 언더핸드, 바운드 패스의 요령
    언더핸드 패스는 허리를 굽히고 무릎 아래에서 양손의 스냅을 이용하여 패스하며, 바운드 패스는 숄더 패스 자세로 스냅을 이용해 바운드 시켜서 패스한다. 이러한 패스는 낮은 볼을 캐치 후 즉시 패스할 때, 패스할 상대와의 사이에 방어자가 위치할 때 활용된다.
  • 8. 공격 전략
    3:3 공격대형에서 고정 위치에서 전후 좌우로 움직이며 신속한 패스, 여러 가지 상황에 맞는 각종 패스, 위치를 교대하며 패스, 페인트 후 슛 동작 및 패스 등 다양한 공격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4:2 공격에서는 슛 동작으로 2명의 수비자를 모아놓은 후 신속하게 측면으로 패스하여 슛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 9. 수비 전략
    맨투맨 수비는 상대방의 특정 선수에게만 수비의 책임을 지는 것으로, 좋은 풋워크, 좋은 컨디션, 생동감 있는 움직임, 뚜렷한 소질이 필요하다. 6:0 지역 수비에서는 각 수비자가 정해진 수비 공간에 대하여 수비 책임을 갖고, 접경 지역에 대하여는 중첩하여 방어한다.
  • 10. 각종 패스의 요령 및 활용
    체스트 패스와 오버헤드 패스는 가슴 위치에서 캐치한 볼을 가장 신속하게 패스할 수 있는 방법이다. 런닝 패스는 자신보다 앞에 나가있는 동료에게 볼을 패스하여 집단으로 상대 지역에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핸드볼의 특성 및 효과
    핸드볼은 빠른 움직임과 높은 강도의 신체 활동이 특징입니다.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가며 수행해야 하므로 전신 근육을 고르게 사용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체력 향상과 함께 민첩성, 순발력, 균형감 등이 향상됩니다. 또한 팀플레이가 중요한 스포츠이므로 협동심과 리더십 등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핸드볼은 심폐 기능 향상, 스트레스 해소, 체중 관리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청소년기에 핸드볼을 접하면 전인적인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주제4: 핸드볼 경기의 문제점 및 보완점
    핸드볼 경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경기 중 부상 위험이 높아 선수 안전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둘째, 경기 규칙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워 관람객의 흥미를 끌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셋째, 일부 국가에서는 핸드볼이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낮아 저변 확대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첫째, 선수 보호 장비 개선과 경기 규칙 개선을 통해 안전성을 높여야 합니다. 둘째, 경기 규칙을 단순화하고 관람객 친화적인 방향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셋째, 미디어 노출 확대와 대중 스포츠 행사 개최 등을 통해 핸드볼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여야 합니다.
  • 3. 주제6: 스텝 슛의 요령
    스텝 슛은 핸드볼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슈팅 기술입니다. 정확하고 강력한 스텝 슛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령이 필요합니다. 첫째, 공을 몸 앞으로 끌어당기며 점프할 때 상체를 앞으로 기울여 힘을 실어줍니다. 둘째, 점프 시 다리를 어깨 너비로 벌리고 무릎을 구부려 안정적인 자세를 취합니다. 셋째, 공을 릴리즈할 때 팔을 완전히 펴서 최대의 힘을 전달합니다. 넷째, 착지 시 무게 중심을 낮추어 균형을 잡고 빠른 수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요령을 익히면 상황에 맞는 다양한 스텝 슛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공격 전략
    핸드볼에서 효과적인 공격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빠른 역습을 통해 상대 팀이 수비 조직을 갖추기 전에 득점 기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둘째, 측면 공격과 중앙 공격을 적절히 활용하여 수비 조직을 흐트러뜨려야 합니다. 셋째, 다양한 슈팅 기술을 구사하여 상대 팀 골키퍼를 혼란스럽게 만들어야 합니다. 넷째, 정확한 패스와 효과적인 스크린 플레이로 공간을 창출하고 슈팅 기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섯째, 상대 팀의 약점을 파악하여 집중 공격함으로써 득점 기회를 극대화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면 효과적인 공격 플레이가 가능할 것입니다.
  • 5. 주제10: 각종 패스의 요령 및 활용
    핸드볼에서 다양한 패스 기술은 공격과 수비 전개에 필수적입니다. 각 패스 기술의 요령과 활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오버헤드 패스는 높은 공을 전달할 때 사용하며, 릴리즈 시 팔을 완전히 펴서 강력한 힘을 실어줍니다. 둘째, 사이드 패스는 측면 공격 시 활용하며, 공을 몸에 가깝게 유지하고 상대 선수를 속이는 페이크 동작이 중요합니다. 셋째, 크로스 패스는 상대 수비를 교란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정확한 타이밍과 방향 전환이 필요합니다. 넷째, 롱 패스는 역습 상황에서 활용하며, 공을 높게 보내 수신 선수의 움직임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패스 기술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면 효과적인 공격과 수비가 가능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