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실_조리장(급식서비스) 관련 서식/급성기 인증 서류_병원
본 내용은
"
감염관리실_조리장(급식서비스) 관련 서식/급성기 인증 서류_병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2
문서 내 토픽
  • 1. 조리장 냉장고·냉동고 온도 점검
    조리장 냉장고·냉동고 온도 점검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냉장 온도는 5℃ 이하, 냉동 온도는 -18℃ 이하로 관리해야 하며,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청소 방법도 제시되어 있습니다.
  • 2. 식품창고 실내온도·습도 관리
    식품창고 실내온도·습도 관리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온도는 15-25℃, 습도는 50-60% 이하로 관리해야 하며,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조치사항을 기재해야 합니다. 또한 정리정돈 및 구분보관 여부도 점검해야 합니다.
  • 3. 검식·보존식 관리
    검식·보존식 관리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검식 시 맛, 형태, 색, 질감, 냄새, 이물질 여부 등을 점검하고, 보존식은 -18℃ 이하로 보관해야 합니다. 범례에 따라 상태를 표기하고 폐기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4. 식기소독 및 환자 식사상 처리
    식기소독 및 환자 식사상 처리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원내 감염병 환자의 잔반 및 식기소독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5. 배식카 관리
    배식카 관리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하루 세 번 배식 후 행주에 소독제를 묻혀 청소 및 소독하고, 온냉 전동 배식카의 충전 및 보온·보냉 시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 6. 식기세척기 관리
    식기세척기 관리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식기 세척기의 최종 헹굼 온도는 82℃ 이상, 식기 소독기는 80℃ 20분 이상 소독해야 하며, 청소 방법도 제시되어 있습니다.
  • 7. 식재료 검수
    식재료 검수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식재료의 신선도, 납품 온도, 포장 및 위생 상태, 유효기간, 수량, 납품 요구사항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 8. 조리원 개인위생 점검
    조리원 개인위생 점검 일지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조리원의 개인위생 상태, 감염성 질환 여부 등을 점검하고, 유증상 시 영양사에게 보고하고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9. 급식 위생 점검(식중독 예방)
    급식 위생 점검 일지(식중독 예방)에 대한 기준과 관리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생 환경 관리, 식재료 보관 관리, 기구 소독, 직원 식당 등 다양한 항목을 점검하여 식중독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10. 조리 복장 및 도구 구분 사용
    조리 복장 및 도구 구분 사용에 대한 기준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생복, 위생모, 위생화 등의 착용과 조리기구, 앞치마, 고무장갑 등의 구분 사용이 필요합니다.
  • 11. 조리장 감염 관련 법률
    조리장 감염 관리와 관련된 법률 내용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감염환자 제공 기준, 작업 구역 구분, 건강진단, 근무 부적격 기준, 위생복 기준, 냉장·냉동 온도, 해동 온도, 작업대 높이, 조리된 음식 보관 기준, 조리도구 세척·소독 기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식품창고 실내온도·습도 관리
    식품창고의 온도와 습도 관리는 식품의 신선도와 품질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온도와 습도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부패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계절별 온도와 습도 변화에 따른 관리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기록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창고 내부의 청결 상태와 보관 방식 등도 함께 점검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 공급이 가능할 것입니다.
  • 2. 주제4: 식기소독 및 환자 식사상 처리
    식기 소독과 환자 식사상 처리는 급식 위생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식기 소독을 통해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환자 식사상 처리 과정에서의 위생 관리는 환자의 건강과 직결됩니다. 식기 소독 시 적절한 온도와 시간, 소독제 농도 등을 준수해야 하며, 환자 식사상 처리 시에는 개인위생 관리와 교차오염 방지 등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지침과 절차를 마련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급식 위생 수준을 높이고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주제6: 식기세척기 관리
    식기세척기 관리는 급식 위생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식기세척기를 통해 식기류의 세척과 소독이 이루어지므로, 세척기의 적절한 작동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세척기의 온도, 세척제 농도, 세척 시간 등의 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또한 세척기 내부의 청결 상태와 필터 교체 등 정기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식기류의 위생적인 세척과 소독이 가능해지며, 식중독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주제8: 조리원 개인위생 점검
    조리원의 개인위생 관리는 급식 위생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조리원의 청결한 복장, 손 씻기, 건강 관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조리원의 개인위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동기 부여와 인센티브 제도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조리원의 개인위생 관리를 통해 식품 오염을 방지하고 식중독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주제10: 조리 복장 및 도구 구분 사용
    조리 복장과 도구의 구분 사용은 급식 위생 관리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조리원의 청결한 복장과 전용 도구 사용은 식품 오염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조리복, 위생모, 마스크 등의 복장은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칼, 도마, 행주 등의 도구는 용도에 따라 구분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조리 복장과 도구의 관리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급식의 위생 수준을 높이고 식중독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