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혈성 심질환
본 내용은
"
허혈성 심질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3
문서 내 토픽
-
1. 허혈성 심질환허혈(虛血, ischemia, ischaemia, ischæmia), 핍혈(乏血), 저혈, 단혈, 국소빈혈은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제한을 받아 물질대사에 필요한 (조직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산소와 글루코스가 부족해진 상태를 말한다. 허혈(ischemia, 虛血)은 몸의 국소 부위에 공급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한 상태를 말한다. 다양한 이유로 동맥이 막히면, 동맥이 혈액을 공급하는 부위에 혈액이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허혈이 발생한다. 특정 부위에서의 혈액량이 부족해진단 특성으로 인해 '국소빈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직 여럿에서 동시에 혈액량이 부족해지는 것은 쇼크라고 한다.
-
2. 관상동맥대동맥의 기시부에서 좌우 두갈래로 나뉘어져 심장 전체를 둘러싸는데 심장의 구석구석까지 퍼져있고, 둘러싸는 모양이 관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관상동맥이라 불림. 관상동맥은 대동맥 오른쪽에서 나오는 우관상동맥과 대동맥 왼쪽에 연결된 좌관상동맥에서 갈라지는 좌전하행지, 좌회선지라는 3개의 가지로 구분.
-
3. 허혈성 심질환의 분류허혈성 심질환(IHD)은 심근에 산소결핍을 초래하는 심장질환이다. 주요 발생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이며, 발생위험 요인으로는 연령과 성별,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비만, 운동부족, 당뇨병, 통풍, 경구피임약 사용, 스트레스, 관상동맥 경련, 선천성 결함, 혈전, 색전 등이 있다.
-
4. 협심증협심증(angina pectoris)은 심근에 산소요구와 공급 간 불균형의 결과 심근의 국소적 및 일시적 허혈 상태로 인한 제반 증상 및 징후이다. 협심증은 관상동맥 질환 중 가장 흔한 증상이며, 원인으로는 심근에의 산소공급 감소, 심박출량 증가에 따른 심근의 산소요구 증가, 심근자체의 산소요구 증가, 관상혈류량 감소 등이 있다.
-
5. 협심증의 유형협심증에는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이형성 협심증이 있다. 안정형 협신증은 안정을 취하면 흉통이 완화되며,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불안정형 협신증은 안정을 취해도 흉통이 지속되며,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이형성 협신증은 전형적인 형태가 아니며, 흉통이 있고 지속시간이 길며 신체활동과 무관하게 안정 시에도 흉통이 발현되며, 원인은 관상동맥의 경련이다.
-
6. 협신증의 진단협신증의 진단은 병력과 특징적 증상 및 징후, 관상동맥 조영술, 답차 운동검사, Nitroglycerin test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
7. 협신증의 치료협신증의 치료는 약물요법, 외과적 요법, 생활양식 변화 등이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혈관확장제, 교감신경 차단제, 칼슘이온 차단제 등이 사용된다. 외과적 요법으로는 심근 재혈관화 수술과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있다. 생활양식 변화로는 금연, 체중조절,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하다.
-
8. 심근경색증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은 심근조직의 부분적으로 괴사되는 과정으로,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 폐쇄이다. 주요 발생 부위는 좌심방 전방이며, 40세 이상 남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기전은 심장에 혈류 감소로 인한 산소 요구와 공급 간 불균형으로 심근세포 손상 및 괴사가 발생하는 것이다.
-
9. 심근경색증의 진단심근경색증의 진단은 증상 및 징후, 심전도 검사, 혈액검사(CK, CK-MB, Troponin-I 등), 방사선 동위원소 검사, 양전자 방사 단층촬영술, 심초음파, 경식도 초음파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
10. 심근경색증의 치료심근경색증의 치료는 급성기에 안정과 집중치료, 식이, 약물, 처치, 수술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약물로는 항혈소판제, 베타차단제, 칼슘 차단제, 질산염제재, 콜레스테롤 조절제 등이 사용된다. 처치로는 산소공급,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등이 있으며, 수술로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이 있다.
-
11. 허혈성 심질환의 예방허혈성 심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혈압, 혈당, 지질, 체중 등의 관리와 금연, 운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총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남자 35mg/dL, 여자 45mg/dL 이상,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00mg/dL 이하, 중성지방 200mg/dL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1. 허혈성 심질환허혈성 심질환은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중재 시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며, 환자 개인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정기적인 건강 검진 등이 중요합니다.
-
2. 관상동맥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으로,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관상동맥의 협착이나 폐쇄는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 공급을 방해하여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비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 요인을 관리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를 위해 약물 치료, 중재 시술,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3. 허혈성 심질환의 분류허혈성 심질환은 크게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으로 분류됩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부분적 폐쇄로 인해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반면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쇄되어 심장 근육에 지속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두 질환은 증상, 진단, 치료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어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각 질환의 아형들도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4. 협심증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부분적 폐쇄로 인해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흉통, 호흡 곤란,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 심장 부하가 증가할 때 증상이 악화됩니다. 협심증은 안정형과 불안정형으로 구분되며, 불안정형은 더 위험한 상태입니다. 협신증의 진단을 위해 운동 부하 검사, 관상동맥 조영술 등이 사용되며, 치료로는 약물 치료, 중재 시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습니다. 협신증 환자의 예후는 질환의 중증도와 치료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5. 협신증의 진단협신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다양한 검사 방법이 사용됩니다. 운동 부하 검사는 운동 중 발생하는 증상과 심전도 변화를 관찰하여 협신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조영술은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또한 심초음파, 핵의학 검사, CT 혈관 조영술 등도 협신증 진단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검사 결과와 함께 환자의 증상, 위험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협신증의 유형과 중증도를 판단해야 합니다.
-
6. 협신증의 치료협신증의 치료 목표는 증상 완화, 심장 기능 보존, 심혈관 사건 예방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중재 시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는 질산염제, 베타차단제, 칼슘 길항제 등이 사용되며, 증상 완화와 심장 부하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중재 시술로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이 있으며, 관상동맥 협착을 해소하여 혈류를 개선합니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심각한 협착이 있는 경우 시행되는 수술적 치료입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증상, 관상동맥 병변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중재 시술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7. 심근경색증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쇄되어 심장 근육에 지속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한 흉통, 호흡 곤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장 기능 저하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심전도 검사, 심근 효소 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이 활용됩니다. 치료로는 혈전용해제 투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으며, 신속한 재관류 치료가 예후 개선에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재활 등의 보조 치료도 필요합니다.
-
8. 심근경색증의 진단심근경색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진 결과와 함께 다양한 검사 방법이 활용됩니다. 심전도 검사는 심근경색증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로, 특징적인 ST 분절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근 효소 검사는 심근 손상으로 인해 증가하는 효소 수치를 측정하여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심초음파 검사는 심장 기능과 구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상동맥 조영술, CT 혈관 조영술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관상동맥 폐쇄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근경색증을 진단하고 그 중증도를 평가해야 합니다.
-
9. 심근경색증의 치료심근경색증의 치료 목표는 신속한 재관류 치료를 통해 심근 손상을 최소화하고, 심장 기능을 보존하며,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혈전용해제 투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습니다. 혈전용해제는 신속한 재관류를 위해 투여되며,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은 관상동맥 협착을 해소하는 시술입니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심각한 다혈관 질환 환자에게 시행되는 수술적 치료입니다. 이와 함께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심장 재활 등의 보조 치료도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 증상, 관상동맥 병변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
10. 허혈성 심질환의 예방허혈성 심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 위험 요인 관리, 정기적인 건강 검진 등이 중요합니다. 금연,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은 허혈성 심질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위험 요인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질환의 조기 발견과 관리가 가능합니다. 이와 함께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수면, 적절한 체중 유지 등의 노력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허혈성 심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과 함께 의료진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허혈성 심질환 정의, 원인, 증상, 검사, 종류1. 허혈성 심질환 허혈성 심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근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부족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이며, 흡연, 스트레스, 비만 등이 위험요인이다. 허혈성 심질환에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있다. 협심증은 만성적인 관상동맥 협착으로 인한 심근허혈이며, 불안정형 협심증은 죽상경화반 파열로 인한 급성...2025.01.11 · 의학/약학
-
만성심부전 케이스1. 심부전 심장이 펌프기능 장애를 일으켜 조직 대사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부전은 질병에 대한 진단명이 아니라 심장기능에 영향을 주는 선천성, 후천성 심혈관계의 거의 모든 질환의 결과로 오는 병태생리학적인 임상 상태를 말합니다. 심장질환의 원인이 어떤 것이든지 심장질환의 최종 단계에서는 심부전을 일으키게 됩니다. 심부...2025.04.27 · 의학/약학
-
허혈성 심근병증에 대한 문헌고찰1. 허혈성 심근병증 허혈성 심근병증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심장으로 혈액과 산소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차단은 혈관내에 콜레스테롤 등의 플라그가 형성되어 심장근육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폐쇄시킴으로 발생한다. 허혈성 심근병증은 울혈성 심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며 심근경색, 협심증, 불안정 협심증을 야기한다. 병리기전, 증상, 진단, 치...2025.01.12 · 의학/약학
-
심근 허혈과 관련된 흉통-심근경색1. 심근 허혈과 관련된 흉통 심근 허혈은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근육에 산소나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심근 허혈로 인한 흉통은 힘든 일을 오래 계속했을 때 나타나며, 전형적으로 흉골의 상, 중부 2/3의 뒤쪽에 나타나고 목, 턱, 양쪽 팔로 방사통이 있습니다. 이러한 흉통은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 복용으로 완화되며, 지속시간이 1~5...2025.01.16 · 의학/약학
-
[병리학] 12 심혈관계통1. 허혈성 심장질환 허혈성 심장질환의 원인은 심장동맥(관상동맥)의 동맥경화로 인한 협착이다. 이로 인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대표적인 허혈성 심장질환이다. 협심증은 심장동맥이 좁아져 심장근육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부족한 상태이며, 심근경색증은 심장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장근육 세포가...2025.01.23 · 의학/약학
-
한양대학교 성인 A+ 울혈성 심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2개 적용!!! 심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 위험1. 심부전 심부전(Heart failure)을 포함한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가 2012년 26,442명에서 2018년 32,004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에 의하면, 202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31,569명으로서...2025.01.28 · 의학/약학
-
허혈성 심질환과 빈혈 19페이지
혈관과 심장『허혈성심질환과 빈혈』교 과 명학 기조 장제 출 일지도교수명【 목 차 】♣ 혈관과 심장Ⅰ 서론1. 허혈성심질환 ------------- 1P1) 정의 2) 종류 3) 원인Ⅱ 본론2. 허혈성심질환의 종류1) 협심증(angina pectoris) -------------- 2P(1) 협심증의 구분 (2)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3) 원인 (4) 증상 (5) 치료(6) 협심증 위험요인의 조절 (7) 협심증진단 및 검사2) 심근경색 --------------- 6P(1) 정의 (2) 병태 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2021.04.10· 19페이지 -
허혈성 심질환 정의, 원인, 증상, 검사, 종류 9페이지
허혈성 심질환신체 각 부분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려면 혈관을 통해 적절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한다. 심장도 마찬가지로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다. 필요한 양을 공급받지 못하면 심장근육에 대사산물이 쌓이고 저산소증에 빠지게 되어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를 심근허혈이라고 한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질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이유는 주로 관상동맥의 동맥경화 때문이며 흡연, 스트레스, 비만 등이 위험요인이다.▶정의부적절한 관류상태로 인해 심근에 산...2024.03.05· 9페이지 -
허혈성심질환 병태 생리 및 간호 3페이지
허혈성심질환(CAD,coronary arterydisease)병태생리증상 및 징후진단검사치료간호문제 / 간호중재교재[원인]연령(↑), 성별(남성), 가족력과 유전적 요인조절 가능 위험요인: 고콜레스테롤혈증(총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LDL), 중성지방), 고혈압, 흡연, 비만, 당뇨, 운동부족, 기타요인(스트레스, Homocysteine 혈청 수치 증가)죽상경화증 : 동맥 내벽에 지질과 콜레스테롤 축적,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종류]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근의 요구에 대한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여 허혈상태 초래...2022.02.12· 3페이지 -
심혈관계 질환 정리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고혈압) 7페이지
심혈관계 질환Ⅰ. 심장의 구조와 기능학습내용1. 허혈성 심질환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고 전문적 간호를 수행한다.2. 부정맥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고 전문적 간호를 수해한다.3. 고혈압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고 전문적 간호를 수행한다.1. 심장의 구조1) Base(심저)- 제 3늑간 부위 위치- 상대 및 하대 정맥이 유입되는 곳2) Apex(심첨)- 좌측 제 5늑간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 대동맥, 폐동맥의 시작부위3) 크기- 12 X 9 X 6 cm- 무게 300g 정도PMI(Point of Maximum Impulse) : 심음...2020.10.29· 7페이지 -
[의학, 간호학 과제] 허혈성 심질환 (CVD, cardiovascular disease) 7페이지
1. 허혈성 심질환의 개요(1) coronary artery --> supply 위치- LAD: 심실중격 전측2/3, LV ant. ant-lat. wall/ apex- LCX: LV post. lat wall, LA- RCA: RA, RV, 심실중격 후측 1/3, inf.portion, SAN AVN* SAN regional wall motion 확인- stress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stress: exercise, adenosine/ dipyridamole) --> resting/ exerci...2025.06.01·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