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현황 및 특징
본 내용은
"
일본의 자원봉사활동과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6
문서 내 토픽
  • 1.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일본의 자원봉사활동은 패전 직후 혼란 수습을 위해 국가적 공권력에 의존하면서 자발적 지역활동을 통해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자원봉사기관 설립 움직임이 있었으며, 1960-70년대 고도성장과 석유파동 등의 문제로 지역사회 복지 문제가 대두되면서 자원봉사활동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현재 일본의 자원봉사 추진체계로는 사회복지협의회 운영 자원봉사센터, 민간단체 자원봉사협회, 기업 등이 있으며, 1994년 기준 약 60,738개 단체와 4,997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활동하고 있다.
  • 2.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참여자와 활동 영역이 확대되었다. 2016년 기준 전 국민의 20.5%가 자원봉사에 참여하였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가장 많고, 직업별로는 전업주부, 사무직 및 기술직, 자영업 등이 참여가 높다. 자원봉사 참여 동기는 '의미 있는 여가활용'과 '친구 또는 동료의 요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 경로는 '참가 조직이나 단체, 직장을 통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일본의 자원봉사활동
    일본의 자원봉사활동은 매우 활발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시민사회 또한 자원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자연재해 발생 시 신속한 구호 활동과 복구 지원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 사회 전반에 걸쳐 자원봉사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도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민사회의 참여를 높일 필요가 있다.
  • 2.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은 점차 활성화되고 있지만, 아직 일본에 비해 체계적이지 않은 편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제 참여율과 지속성은 아직 미흡한 편이다. 또한 자원봉사 활동이 주로 특정 계층이나 분야에 편중되어 있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자원봉사 기관과 단체의 역량 강화, 자원봉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난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자원봉사 체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