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CASE STUDY 급성인두염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CASE STUDY 급성인두염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1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인두염
    급성 인두염은 인두와 주위 림프 조직의 감염성 질환이며, 상기도 감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의 30% 정도는 인후통을 주된 증상으로 호소한다. 인두염이랑 편도염(tonsillitis)과 인두편도염(pharyngotonsillitis)을 포함한 인두의 감염질환을 말한다. 급성 인두염은 4~7세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바이러스성 인두염은 영유아에서 잘 발생하고 가을과 겨울, 봄에 흔하다. 연쇄상구균과 같은 세균성 인두염은 2~3세 이후에 성인과의 점촉이 많아지면서 빈도가 증가한다. 겨울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주거가 밀집된 상황에서 더 쉽게 전파된다. 원인은 바이러스가 가장 흔하며, adenovirus, parain-fluenza virus, coxsackie virus, influenza가 원인이다. 세균은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주된 원인이다. 인두염은 인두의 부종(염증)에 의해 발생하며, 종종 감기를 동반하고 편도염과 함께 나타난다. 바이러스성 인두염은 결막염, 콧물, 쉰목소리와 기침이 나타나고 세균성에 비해서 서서히 진행된다. 연쇄상구균 인두염은 증상이 빠르게 시작하고, 인두통과 발열이 있으며, 기침은 없다. 진단은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을 감별하기 위해 인두배양검사를 한다. 치료는 바이러스성인지 세균성인지에 따라서 다르다. 바이러스성은 질병 기간이 짧고 자연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정도가 경하면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과 같은 진통제 외에는 거의 투여하지 않는다. 세균성 인두염이면 급성 류머티스열 증상을 발생시키는 균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경구용 페니실린을 최소 10일 동안 투여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 인두염
    급성 인두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후두 점막의 급성 염증 상태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인후통, 연하곤란, 발열, 두통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심한 경우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가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등의 개인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면역력 증진을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