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역의대생> 라포_탐구보고서_생명과학(세특)
본 내용은
"
<현역의대생> 라포_탐구보고서_생명과학(세특)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7
문서 내 토픽
-
1. 라포의 개념라포란 원래 프랑스어로 '다리를 놓다'라는 의미로 인간관계에서 서로가 접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느낌이 들게 하는 능력을 말한다. 국어사전에는 '두 사람 사이의 공감적인 인간관계 또는 그 친밀도 특히 치료자와 환자사이의 관계를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영어사전에는 '우호적인 합의와 이해(friendly agreement and understanding between)'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사전적 의미에서 라포는 인간관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두사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감적, 친한 감정이나 상호간에 대한 이해로 지칭되었다.
-
2. 라포의 구성요소상담 심리학에서는 미소, 개방적 질문, 반영과 같은 기술이 라포 형성에 필요하며, 공감적 이해가 치료적 라포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Mack, Giarelli과 Bernhardt (2009)은 청소년 상담에 있어 존중하는 태도와 비 판단적이고 수용적인 태도가 라포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마케팅 분야에서는 Gremler와 Gwinner (2000)가 라포의 구성요소를 즐거운 관계와 개인적 유감이라고 하였고, 2008년에는 고객에 대한 관심, 진정한 관심에서 우러나오는 예의 바른 행동, 친한 상호작용이 라포 형성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고 하였다.
-
3. 라포 관리 이론Spencer-Oatey (2002)는 라포 관리(rapport management) 이론을 제시하여 라포 관리 행동(rapport management behavior)을 표정관리(face Management), 집단권리 관리(sociality rights management)로 구분하였고, 개인 혹은 독립적 관점(personal/independent perspective)과 집단 혹은 상호의존적 관점(social/interdependent perspective)으로 나누어 개인의 지향점인 동의와 관심(quality: agree, show interest), 집단의 정체성(social identity), 평등할 권리(equity rights), 관계 맺을 권리(association rights)를 제시하였다.
-
4. 의료현장에서의 라포폭력에 노출된 응급실 간호사,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환자, 감염성 질환으로 격리되어 있는 환자, 비만 환자등 의료서비스 환경에서 취약 계층으로 간주되는 대상자와의 관계형성에서의 라포가 연구 되었다. 생명이 위독한 중환자의 가족에게 간호사와의 라포는 희망과 신뢰, 확신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과 라포 형성은 폭력경험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고 하였다.
-
5. 의사-환자 간 라포 형성Yan 등(2011)은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라서 의사 - 환자 간 라포 형성이 다르며 특히, 협력형과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라포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통제형 커뮤니케이션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Ji, Yang과 Kim (2010)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상자의 라포가 좋을수록 감정노동을 낮게 인식한다고 하였다.
-
6. 간호조직에서의 라포Han과 Kim (2016)의 연구에서 라포 관리는 자존감, 자율성, 유대관계의 세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의사소통 기술이나 제공자 위주의 라포 관리에 치중되어있어 의료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 특히 간호사와의 라포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
7. 라포의 모델 사례P씨는 알콜성 간경화로 뇌사자의 간 기증을 기다리고 있는 중환자실 환자이다. 간호사 C는 P씨가 밖을 보며, 바람을 느끼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P씨의 답답함이 느껴져 P씨가 침에서 내려와 중환자실 창문을 통해 밖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P씨는 간호사 C에게 중환자실의 규정과 바쁜 업무 중에도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 주고, 요구를 들어주어 감사하다고 하였다.
-
8. 라포의 부가 사례경계 사례: B씨는 말기 위암 환자이지만 가족들이 진단명을 숨기기를 원하여 간호사 A가 B씨의 희망찬 계획을 함께 기뻐해 주었다. 연관 사례: 간호사 H는 외래 환자들에게 친절하게 대하지만 이는 일상적인 인사일 뿐 라포 형성과는 거리가 멀다. 반대 사례: 간호사 S는 바쁜 와중에 환자 P씨의 질문에 퉁명스럽게 대답하며 라포 형성에 실패하였다.
-
9. 라포의 결과라포의 결과로 서로 간에 신뢰가 형성되고, 환자와의 협력으로 정보수집 및 환자사정이 용이하여 치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 또한 입원기간 단축 및 의료비용 감소, 건강관리행동 및 임상결과 향상, 환자안전사고예방 등과 같은 의료의 질 향상의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고객과 의료진 만족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
1. 주제2: 라포의 구성요소라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는 공감, 신뢰, 존중, 개방성, 경청 등이 있습니다. 공감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말하며, 신뢰는 상대방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의미합니다. 존중은 상대방의 가치와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며, 개방성은 솔직하고 진솔한 태도로 소통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청은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하려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균형 있게 갖추어질 때 진정한 라포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의료현장에서의 라포의료 현장에서 라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와 의료진 간의 신뢰와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효과적인 치료와 간호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로 소통해야 하며, 환자 또한 의료진을 신뢰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라포가 형성되면 환자의 치료 순응도와 만족도가 높아지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도 향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 현장에서 라포 형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간호조직에서의 라포간호조직에서 라포는 간호사와 환자, 간호사와 동료 간의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와 환자 간의 라포는 환자의 치료 순응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간호사 간의 라포는 팀워크와 협력을 증진시켜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간호조직에서 라포 형성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공감, 경청, 존중의 태도가 중요하며, 간호사 간의 상호 신뢰와 협력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환자 중심의 양질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라포의 부가 사례라포의 부가 사례로는 교육 현장, 상담 현장, 판매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생 간의 라포 형성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의 학습 동기와 성취도가 향상될 수 있습니다. 상담 현장에서는 상담사와 내담자 간의 라포 형성이 치료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판매 현장에서는 판매원과 고객 간의 라포 형성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라포는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호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