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T변화에 따른 활성슬러지 공정 분석
본 내용은
"
SRT변화에 따른 활성슬러지 공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3
문서 내 토픽
-
1. 활성슬러지 공정의 SRT(Solids Retention Time) 관리활성슬러지 공정에서 SRT는 슬러지 일령을 나타내는 중요한 운전 인자입니다. SRT가 증가하면서 MLSS 농도는 증가하지만 MLVSS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활성슬러지 내부의 미생물이 사멸되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fav와 fat 값은 슬러지 일령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를 통해 SRT 조절을 통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에서는 SRT 5일 조건에서 M(Xa) 7,266 kg VSS, M(Xv) 11,114 kg VSS의 값을 나타냈습니다.
-
2. 온도와 수질에 따른 C-BOD 제거 효율동일 수온에서는 SRT가 길수록 처리수의 C-BOD 값이 감소합니다. 동일 SRT에서는 수온이 높을 때 C-BOD 농도가 낮아집니다. 실제 처리장에서의 SRT와 이차 침전지 유출수의 C-BOD 관계를 통해 온도 조건의 변화에 따라 Yh, μm, bh, Ks 등의 지표가 변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온이 활성슬러지를 통한 C-BOD 제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3. 질산화 과정과 F/M비 관리질산화 과정에서 SRT가 길어지고 Xi, Oc 값이 증가하며 F/M비가 감소합니다. 연구 조건에서 F/Mv는 0.302 kg BOD/kg VSS/d로 계산되었습니다. 유입수질에 맞는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며, 질산화 미생물의 성장을 위해서는 충분한 SRT 확보가 중요합니다. 산소 소모량(Oc)은 SRT 5일 조건에서 3,564 kg O/d로 나타났습니다.
-
4. 생물반응조 설계 및 운전 인자생물반응조의 용적은 M(Xt)/Xt 계산식으로 5,557 m³로 결정되었습니다. 수리학적 체류시간(Rhn)은 5.557시간, 슬러지 배출량(Qw)은 1,111 m³/d입니다. 처리수의 최대 농도(Ste)는 38.167 mg tCOD/L, 용존성 COD(Sse)는 21.127 mg sCOD/L로 계산되었습니다. OLR은 0.605 kg BOD/m³/d이며, 세포증식계수(Yobs,VSS)는 0.384 g VSS/g bCOD입니다.
-
1. 활성슬러지 공정의 SRT(Solids Retention Time) 관리SRT 관리는 활성슬러지 공정의 핵심 운전 인자로서 미생물 군집 구성과 처리 효율을 직접 좌우합니다. 적절한 SRT 유지는 원생동물과 메타조아의 번식을 억제하여 미생물 플록 형성을 촉진하고, 슬러지 침강성을 개선합니다. 질산화를 목표로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8-15일의 SRT가 필요하며, 이는 질산화균의 성장률이 낮기 때문입니다. SRT가 과도하게 길면 에너지 소비 증가와 슬러지 처리 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너무 짧으면 미생물 유출로 인한 처리 효율 저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계절 변화와 유입 수질 변동을 고려한 동적 SRT 관리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공정 운영이 가능합니다.
-
2. 온도와 수질에 따른 C-BOD 제거 효율온도는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환경 인자로, C-BOD 제거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5°C 상승할 때마다 생화학적 반응 속도는 약 2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겨울철 저온 조건에서는 미생물 활성 저하로 제거 효율이 감소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SRT 연장이나 MLSS 농도 증가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유입 수질의 BOD 농도와 C/N/P 비율도 중요한데, 영양염 부족 시 제거 효율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계절별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적응적 운전 전략과 수질 특성에 맞춘 공정 설계가 안정적인 처리 성능 확보의 핵심입니다.
-
3. 질산화 과정과 F/M비 관리질산화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염으로 산화하는 과정으로, 질산화균의 성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충분한 SRT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F/M비(Food to Microorganism ratio)는 미생물 단위량당 공급되는 기질의 양을 나타내며, 질산화 효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낮은 F/M비(0.05-0.15 kg BOD/kg MLSS·day)는 질산화에 유리하지만 처리 용량이 제한되고, 높은 F/M비는 처리 용량은 증가하나 질산화 효율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목표 처리 수질과 처리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F/M비를 설정해야 합니다. 특히 저온 조건에서는 질산화균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더욱 낮은 F/M비 유지가 필요하며, 이는 공정 설계 단계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
4. 생물반응조 설계 및 운전 인자생물반응조 설계는 처리 목표, 유입 수질, 기후 조건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조 용적은 필요한 SRT와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HRT는 6-8시간이 표준입니다. 폭기 방식 선택은 산소 전달 효율과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반응조 내 혼합 상태, 미생물 군집 구성, 슬러지 침강성 등은 운전 인자 조절을 통해 관리됩니다. MLSS 농도, 폭기량, 반송 슬러지량 등의 최적화는 처리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중요합니다. 또한 계절 변화와 부하 변동에 대응하는 유연한 운전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폐수 처리가 가능합니다.
-
SBR 결과레포트 13페이지
환경미생물학 및 실험결과레포트1. 실험 목적- 활성슬러지 공정의 주된 과정인 폭기조에서의 처리 조작(유입, 반응, 침전, 슬러지처리 등)이 이루어지고, 이런 반복 작업을 통해 미생물들이 효과적으로 질소, 인과 같은 유기물 제거하는지를 알아본다.2. 실험 이론A. SBR- 활성슬러지법이란 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폐수와 활성슬러지와 혼합물을 혼합시켜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생물적으로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활성슬러지는 침강에 따라 처리폐수로부터 분리하여 폐기되나 일부는 필요에 따라 처리장치로 반송된다. 유기물을 포함한 폐...2021.06.19· 13페이지 -
침출수 배제법 및 처리방법 55페이지
침 출수 배제법 및 처리방법I NDEX 01 침출수의 조성 및 발생 02 침출수 집배수 시스템 03 침출수 처리방법 04 침출수 처리현황 05 참고문헌 및 질의응답침 출수의 조성 및 발생 1. 침출수란 ? 2. 침출수의 형성1. 침출수란 ? 침출수는 폐기물층 에 침투하 여 지나면서 폐기물 내 용존 물질 또는 부유물질이 추출된 액 체. 대부분의 매립지 침출수는 표면 유출수 , 유수 , 지하수 등의 외부발생원과 지하의 샘물 , 폐기물의 분해시 생성된 액체 등의 매립지 내로 유입된 액체로 구성 - 침출수의 화학적 조성은 매립지의 경과년도...2014.09.10· 55페이지 -
7.T-P 분석 8페이지
실험 7. T-P 분석Introduction(1) 실험목적수질오염과 관련된 총인에 대해 알고, 미지시료 속에 들어있는 총인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왜 그만큼 들어있는지 분석한다.(2) 실험원리T-P란 total phosphate의 약자로, 총인을 말한다. 무기인 orthophosphates(H2PO4-, HPO42-, PO42-)와 유기인 condensed phosphates(Na3(PO3)6, Na5P3O10, Na4P2O7)의 형태로 존재한다.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물속에 포함된 인의 총량을 말한다....2014.01.21· 8페이지 -
어육가공폐수의 처리 27페이지
어육가공폐수의 처리과목:담당교수:소속:학번:이름:제출일:목차 ( Contents )서론어육가공폐수란 ?국내외 수산물 산업현황본론어육가공 공정과 발생 폐수- 명태가공업체의 처리공정- 폐수의 조성 및 특징어육가공폐수처리 공정- B업체의 공정 소개- 공정의 문제점어육가공폐수의 효율적인 처리방법- 공정제안- 여러 가지 수산물폐수처리 방법결론참고문헌서론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바다와 인접한 지리적 특성으로 예로부터 수산물을 주원료로 하는 수산물 가공 산업이 발전되어져 왔다. 이러한 수산물 가공업체는 대부분 영세업체가 대부분이며 현재...2011.11.23· 27페이지 -
액상폐기물처리기술 7페이지
1. 생물학적 탈질소법에 대해 설명하여라.(질산화, 탈질)(1) 질화반응질화반응은 생뭀나화에 의해 암모니아가 아질산을 거쳐서 질산이 되는 반응이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독립영양 생물인 Nitrosomonas와 Nitrobacter로서, 다음 두 단계의 반응이 진행된다.2NH+ 3O→2NO+ 4H+ 2HO (Nitrosomonas)2NO+ O→ 2NO(Nitrobacter)세포 수량은 Nitrosomonas가 0.05~0.29mg VSS/mg NH-N이고, Nitrobacter가 0.02~0.08mg VSS/mg NH-N이다...2007.12.12· 7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