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시보건소 지역사회간호 건강사정 보고서 A+
본 내용은
"
아산시보건소 지역사회간호 건강사정 보고서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5
문서 내 토픽
-
1. 흡연2022년 기준 현재흡연율은 23.0%로 전년도대비 3.0% 증가하였다. 충청남도 추이를 보면 19.4%로, 아산시 현재흡연율이 4.4% 더 높다. 성별로는 남자 37.6%, 여자 7.1%로 남자에서 더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금연클리닉을 진행하여 금연상담 및 니코틴의존도검사, CO측정, 금연보조제제공, 행동요법 지도를 통하여 12개월간 맞춤형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남성이 더 여성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이고, 40대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기 때문에 연령과 성별에 따른 관리가 필요하고 그 대상으로 금연클리닉을 홍보할 필요가 있다.
-
2. 음주아산시의 월간음주율은 2022년 전체 57.6%로 전년 53.5% 대비 4.1% 증가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52.1%에 비하여 5.5%가 더 높다. 성별로는 남자 69.8%, 여자 44.3%로 남자에서 높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월간음주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그에 따른 확실한 절주교육과 격려가 필요해 보인다. 음주의 폐해 및 유해성을 교육하고 절주교육을 하며, 고글안경을 이용하여 음주를 체험해 보는 교육을 진행한다.
-
3. 신체활동2022년 아산시 격력한 신체활동 실천율은 전체 17.7%로 전년도 대비 7.1% 증가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14.6%에 비해 3.1%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23.0%, 여자 11.9%로 남자에서 높았으며 , 연령대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과 신체활동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우며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며 지역 내 건강관련 시설들을 홍보하도록 한다.
-
4. 건강생활실천2022년 아산시 건강생활실천율은 전체 34.7%로 전년도 27.3% 대비 7.4% 증가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32.7%에 비해 2%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27.3%, 여자 42.8%로 여자에서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60대에서 가장 높았고, 40대에서 가장 낮았다. 남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생활실천에 관한 교육과 격려가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건강생활 실천에 관한 광고 및 캠페인을 진행하여 홍보하도록 한다.
-
5. 비만 및 체중조절아산시의 비만율(자가보고)은 2022년 전체 32.9%로, 전년도 대비 1.6% 감소하였고, 충청남도 추이인 31.9%에 비해 높다. 성별로는 남자 39.0%, 여자 26.2%로 남자에서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이뤄질 수 있도록 건강교육을 실시하며 결과에 따른 개별 맞춤형 관리가 필요하다.
-
6. 식생활2022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양표시 활용률은 전체 86.0%로 전년도 대비 0.4% 증가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는 83.6%로 아산시가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85.4%, 여자는 86.4%이며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고, 50대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생애주기별 영양교육을 시행하고 건강 홍보 및 캠페인을 운영한다.
-
7. 정신건강2022년 아산시 스트레스 인지율은 전체 26.9%로 전년도 대비 1.6% 감소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22.9%에 비해 4%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23.8%, 여자 30.2%로 여자에서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스트레스에 대한 교육, 상담, 홍보를 통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인 숙면, 취미생활 등을 제안한다.
-
8. 구강건강2022년 조사결과 어제 점심식사 후 칫소질 실천율은 아산시 전체 69.7%로 전년도 대비 4.4% 감소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67.0%에 비해 2.7%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62.4%, 여자 77.8%로 여자에서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구강보건교육을 진행하여 구강보건교육, 치간칫솔 및 틀니세정제 등 구강위생용품 사용방법 교육,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홍보를 진행한다.
-
9. 활동제한 및 삶의 질2022년 조사결과에 따르면 주관적 건강인지율은 전체 49.9%로 전년도 대비 11.2% 증가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43.1%에 비해 6.8% 더 높다. 성별로는 남자 55.1%, 여자 44.1%로 남자에서 더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본인의 건강수준을 확인하며 그에 따른 건강상담과 교육을 실시한다.
-
10. 안전의식2021년 조사결과에 따르면 아산시 운전자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전체 92.3%로 전년도 88.7% 대비 3.6% 증가하였으며 충청남도 추이인 86.7%에 비해 5,6%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90.5%, 여자 95.0%로 여자에서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30대에서 가장 낮았다. 안전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며 안전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1. 흡연흡연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입니다. 흡연은 폐암,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이 되며, 간접흡연으로 인한 타인의 건강 피해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흡연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금연 정책이 필요하며, 개인적으로도 금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금연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
2. 음주적절한 음주는 사회생활과 여가 활동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과도한 음주는 개인과 가족, 사회에 많은 문제를 야기합니다. 알코올 중독, 음주운전, 가정폭력, 건강 악화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주에 대한 교육과 예방 정책이 필요하며, 개인적으로도 절제와 책임감 있는 음주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적절한 음주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3. 신체활동규칙적인 신체활동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신체활동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 등 만성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며, 정신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운동 부족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과 정부 차원에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걷기, 계단 이용 등 작은 습관 변화부터 시작하여 정기적인 운동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4. 건강생활실천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생활 실천이 매우 중요합니다. 금연, 절주,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생활 등 다양한 건강행동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만성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건강생활 실천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의 노력과 함께 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과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생활 실천이 일상화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5. 비만 및 체중조절비만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만성 질병의 위험을 높이며, 삶의 질 저하와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비만 예방과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균형 잡힌 식생활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비만 예방 교육, 건강한 식품 선택 환경 조성, 운동 기회 제공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비만 관리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6. 식생활건강한 식생활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균형 잡힌 영양 섭취, 신선한 식재료 선택, 적절한 식사량 등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편의식, 패스트푸드 등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이 만연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비만, 만성 질병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건강한 식생활 습관을 기르고, 정부와 사회 차원에서는 건강한 식품 선택 환경을 조성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식생활은 개인과 사회 전체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7. 정신건강정신건강은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는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경우 자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신건강 관리와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긍정적인 마음가짐 등을 통해 정신건강을 관리해야 합니다. 사회적으로는 정신건강 교육과 상담 서비스 확대, 정신건강 관련 인식 개선 등 다양한 지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정신건강 관리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8. 구강건강구강건강은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치아 건강 관리, 구강 위생 관리 등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구강 건강 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치아 우식증, 치주 질환 등 다양한 구강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부와 사회 차원에서도 구강 건강 교육과 예방 서비스 확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구강 건강 관리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9. 활동제한 및 삶의 질활동 제한은 개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만성 질병, 장애, 노화 등으로 인한 활동 제한은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이는 우울, 고립감 등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동 제한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 재활 서비스 활용 등을 통해 활동 제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사회적으로는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 접근성 개선, 사회참여 기회 제공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활동 제한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10. 안전의식안전의식은 개인과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교통사고, 산업재해, 자연재해 등 다양한 안전 위험 요인으로부터 자신과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 차원의 안전의식 제고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안전수칙 준수, 위험 상황 대처 능력 향상 등이 중요하며, 사회적으로는 안전 교육 및 훈련 강화, 안전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 안전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가 함께 안전의식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