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기만의 진화생물학적 이해와 사회적 영향
본 내용은
"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 독후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0
문서 내 토픽
-
1. 자기기만과 기만의 개념기만은 남을 속이는 것이고 자기기만은 스스로를 속이는 것으로, 자신의 신조나 양심에 벗어나는 일을 무의식중에 하는 경우를 말한다. 저자는 기만과 자기기만이 동전의 양면이며 서로 상부상조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남을 더 잘 속이기 위해 자기 자신을 속이며, 이는 대체로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기만을 통해 단기적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모-자식 갈등, 가스라이팅, 거짓 역사, 전쟁 등의 사회문제를 야기한다.
-
2. 자기기만의 9가지 범주자기부풀리기, 남폄하, 내집단/외집단 편견, 권력 편향, 도덕적 우월성, 통제 착각, 편향된 사회이론, 거짓 개인 서사, 무의식 모듈이다. 이 모든 것이 무의식중에 일어나며, 권력이 생기면 자기중심적 편향이 강해지고 사회현상에 대한 편향된 시선을 갖게 된다. 사람들은 자신은 부풀리고 남은 깎아내리며, MBTI 같은 분류를 통해 집단 간 편견을 만들어낸다.
-
3. 자기기만의 실제 사례암컷 의태 수컷 블루길은 암컷인 척하며 힘 센 수컷을 속여 번식 성공률을 높인다. NASA 챌린저호는 작지만 치명적인 결함을 무시한 자기기만으로 이륙 73초만에 폭발했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와 난징 대학살을 부정하는 국가 차원의 자기기만을 보여준다. 미국의 이라크 전쟁은 석유 확보라는 경제적 이익을 위한 의도적 선택이었으나 자기기만으로 정당화되었다.
-
4. 진화생물학적 관점의 인간 이해저자는 인간을 도덕적 잣대로 보지 않고 '기만하는 인간', '기만 당하는 인간', '기만을 인지하지 못하는 인간'으로 정의한다. 인간의 심리를 진화생물학의 눈으로 보면 '자연선택'이라는 틀에서 이해할 수 있다. 속이는 사람과 속는 사람 사이의 공존 또는 경쟁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선택이 일어나며, 이는 인간의 이기적 본성과 생존 유리성에 기반한다.
-
1. 자기기만과 기만의 개념자기기만과 기만은 심리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입니다. 기만은 타인을 속이려는 의도적 행위인 반면, 자기기만은 자신의 불편한 진실을 무의식적으로 회피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자기기만은 단순한 거짓말이 아니라 자신이 진정으로 믿게 되는 왜곡된 인식입니다. 이는 자존감 보호, 불안 감소, 심리적 안정성 유지 등의 기능을 합니다. 그러나 과도한 자기기만은 현실 적응을 방해하고 의사결정을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기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심리 건강과 대인관계 개선에 필수적입니다.
-
2. 자기기만의 9가지 범주자기기만의 다양한 범주 분류는 인간 심리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능력 과대평가, 도덕성 왜곡, 통제감 착각, 긍정적 편향, 정당화, 선택적 주의, 기억 왜곡, 귀인 오류, 미래 낙관주의 등의 범주들은 서로 겹치면서 인간의 자기기만 체계를 형성합니다. 각 범주는 특정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분류는 자기기만이 단순한 현상이 아니라 다층적이고 체계적인 심리 메커니즘임을 시사합니다. 개인차와 문화적 차이에 따라 어떤 범주가 더 활성화되는지 이해하면 개인 맞춤형 심리 개입이 가능해집니다.
-
3. 자기기만의 실제 사례실제 사례들은 자기기만이 일상에서 얼마나 광범위하게 작동하는지 보여줍니다. 흡연자가 건강 위험을 과소평가하거나, 실패한 사람이 외부 탓을 하거나, 과체중인 사람이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하는 것들이 전형적입니다. 또한 직장에서 자신의 업무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관계에서 파트너의 단점을 무시하는 것도 자기기만의 예입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자기기만이 개인의 심리 건강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의사결정에 실질적 영향을 미침을 보여줍니다. 사례 분석을 통해 자신의 자기기만 패턴을 인식하는 것이 성장의 첫 단계가 됩니다.
-
4. 진화생물학적 관점의 인간 이해진화생물학적 관점은 인간의 자기기만을 생존과 번식이라는 근본적 목표와 연결시킵니다. 자기기만은 단순한 심리적 결함이 아니라 진화 과정에서 적응적 가치를 지닌 메커니즘일 수 있습니다. 자신감 유지는 도전적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게 하고, 긍정적 편향은 우울증을 방지하며, 도덕성 왜곡은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진화적 적응이 때로 역기능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화생물학적 이해는 자기기만을 단순히 비판하기보다는 그 기원과 기능을 이해하고, 현대적 맥락에서 건강한 자기 인식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 PPT 21페이지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 로버트 트리버스기만 vs 자기기만 이 책에서는 기만과 자기기만을 단일한 주제로 다룬다 . 우리는 남을 더 잘 속이기 위해 자기 자신을 속이며 남을 속이기 위해 우리는 있을 법하지 않은 온갖 방식으로 내부에서 정보를 재편하려는 유혹에 빠지고 대체로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한다 . 따라서 기만과 자기기만은 동전의 양면이며 둘은 서로 상부상조한다 . 자신이 속이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감을 떨칠 수단이 된다 .자기기만의 진화논리 우리는 철저한 거짓말쟁이다 . 자기 자신까지도 속이니까 . 자기기...2023.12.20· 21페이지 -
((강추자료A+))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selfish)를 읽고 - 진화론의 재해석, 진화 원리 - 밈meme - 생물학적 진화론 11페이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고저자 리처드 도킨스 Richard Dawkins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이자 저술가인 리처드 도킨스는 1941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태어나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동물행동학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한 니코 틴버겐N.Tinbergen에게 배운 뒤 촉망받는 젊은 학자로 학문적 여정을 시작했다.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과학의 대중적 이해를 전담하는 석좌 교수직을 맡았으며, 1987년에 왕립문학학회상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문학상을 수상했다.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와 영국의 정치평론지 프로스...2022.12.05· 11페이지 -
리딩_작성_수정_교정_최종_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3페이지
룰루밀러. 곰출판. 2021어느 해변에서 작가는 한 여인과 불꽃 같은 키스를 나누었고, 그녀의 남편이 그 사실을 알게 되면서 그녀의 인생은 한순간에 무너져 버렸다. 사랑과 배신의 이중주 속에서 그녀는 무력감을 느끼며 삶의 의미를 완전히 잃어버렸다. 이러한 혼돈 속에서 작가는 어떻게든 새로운 삶의 동기를 찾아야만 했다. 이 절박한 상황에서 그녀가 선택한 길은, 저명한 어류학자인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생애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조던은 수많은 물고기들을 분류하고 연구하면서 인간이 '어류'라는 분류를 통해 자연을 이해하도록 도운 인물이다...2024.10.21· 3페이지 -
안암 은유로사회읽기 중간서평 13페이지
『은유로 사회읽기』 중간 서평1장 : 은유적 상상력사회를 은유하기에 앞서,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진리(眞理)에 대한 은유를 먼저 생각해보자. 모든 학문의 뿌리는 진리에 대한 은유라고 직유할 수 있다. 사회과학, 경영학, 문학, 자연과학, 공학, 의학은 광의적으로 보면 진리에 대한 은유이다. 각각의 학문은 진리의 일부 측면을 밝혀주고 다른 측면들은 감춘다. 각각의 학문은 한 부분에선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것은 진리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모든 학문은 진리를 바라보는 고찰 방식인 동...2021.05.27· 13페이지 -
종의 기원 독서감상문 4페이지
종의 기원저자 :로버트 다윈? 감상문찰스 다윈의 진화론 이후, 다윈주의 또는 자연선택은 패러다임이 되었다. 다윈의 패러다임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그것이 계속될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그럴 것이다. 도킨스의 이기적인 유전자는 다윈의 진화와 자연선택에 기초한 독특한 생각과 놀라운 주장을 전개한다. 진화 = 이기적인 유전자 덕분이라는 의견. 먼저 도킨스의 이야기를 살펴보면 자기 자신을 복제하는 힘을 가진 분자는 37억년 전 원시 바다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 고대의 자기 복제자의 운명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들은 멸종된 것이 아니라 생...2022.06.21· 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