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와 비장소 사이: 리미널리티 이론의 공간주의적 해석
본 내용은
"
장소와 비非장소 사이-리미널리티 이론을 공간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7
문서 내 토픽
-
1. 리미널리티(Liminality) 이론판 헤네프가 개발하고 빅터 터너가 확장한 리미널리티 이론은 통과의례의 분리, 전이, 통합 단계 중 전이 단계를 설명한다. 이는 어떤 속성이나 위치를 갖추지 않은 중간 상태로, 모호함, 애매함, 무질서,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한다. 터너의 이론 확장으로 리미널리티는 종교, 계층, 의식, 시간 등 다양한 영역에 응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공간적 차원과 접목되어 리미널 스페이스 이론으로 발전했다.
-
2. 리미널 스페이스(Liminal Space)의 개념과 특성리미널 스페이스는 레스토랑, 놀이터, 쇼핑몰, 호텔, 공항 등 도시친화적이고 친숙하지만 텅 빈 공간으로, 인간 활동이 부재한 장소다. 이러한 공간은 익숙함과 낯섦(언캐니)을 동시에 제공하며, 머무르는 공간이 아닌 환승을 위한 공간이다. 리미널 스페이스는 과거의 기억을 활성화시켜 향수와 불안감을 촉발하는 제3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
3. 미디어와 영화에서의 리미널 스페이스 표현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샤이닝>(1980)은 텅 빈 오버룩 호텔을 배경으로 리미널 스페이스의 불길함을 표현한다. 로칸 피네건의 <비바리움>(2020)은 탈출 불가능한 마을을 통해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두 작품 모두 복도와 통로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리미널리티의 속성을 시각화한다.
-
4. 드림코어(Dreamcore)와 백룸(The Backrooms) 문화드림코어는 유튜브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전한 장르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에 초현실적 요소를 편집하여 우울하고 불안한 정서를 생성한다. 백룸은 4chan에서 시작된 괴담으로, 무한한 베이지색 카펫과 형광등이 있는 공간에 갇혀 탈출을 시도하는 서사를 담는다. 두 문화 모두 리미널 스페이스에서 발생하는 불안감과 향수를 활용하여 현 세대의 심리를 재현한다.
-
1. 리미널리티(Liminality) 이론리미널리티 이론은 인류학자 빅터 터너가 제시한 개념으로, 사회적 전환의 중간 단계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이론은 단순한 학문적 개념을 넘어 현대 사회의 불확실성과 변화의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합니다. 리미널리티는 기존의 정체성과 새로운 정체성 사이의 모호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과도기적 상태에서 개인과 사회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급속한 사회 변화, 디지털 전환,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리미널리티 개념은 우리가 경험하는 불안감과 혼란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2. 리미널 스페이스(Liminal Space)의 개념과 특성리미널 스페이스는 물리적 또는 심리적으로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그 특성상 불안감과 낯섦을 동시에 유발합니다. 공항, 복도, 대기실 같은 일상적 공간들이 특정 시간대에 리미널 스페이스로 변모할 때, 우리는 독특한 심리 상태를 경험합니다. 이러한 공간의 특징은 명확한 목적성의 부재, 일시적 성격, 그리고 개인적 정체성의 일시적 중단입니다. 리미널 스페이스는 현대인의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거울이 되며, 우리의 불안정한 존재 상태를 시각화합니다. 이 개념은 건축, 심리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 표현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
3. 미디어와 영화에서의 리미널 스페이스 표현영화와 미디어는 리미널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강력한 매체입니다. 영화 감독들은 공항, 호텔 복도, 지하철역 같은 공간을 통해 인물의 심리 상태와 불안감을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관객에게 낯선 불안감을 유발하면서도 동시에 깊은 공감을 이끌어냅니다. 미디어에서의 리미널 스페이스 표현은 단순한 배경을 넘어 서사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인물의 심리 변화와 사회적 전환을 상징합니다. 특히 현대 영화와 드라마에서 리미널 스페이스는 포스트모던 미학의 표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관객들의 감정적 공명을 창출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4. 드림코어(Dreamcore)와 백룸(The Backrooms) 문화드림코어와 백룸 문화는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미학 현상으로, 리미널 스페이스의 개념을 극단화하고 초현실화한 표현입니다. 이들은 불안감, 낯섦, 그리고 현실과 꿈의 경계를 탐구하는 창의적 시도입니다. 백룸의 무한 복도와 드림코어의 초현실적 이미지들은 현대인의 심리적 불안과 소외감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식입니다. 이 문화는 단순한 공포 콘텐츠를 넘어 철학적, 미학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의 심리 상태를 반영합니다. 다만 이러한 문화가 과도한 불안감이나 심리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며, 창의적 표현과 심리 건강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