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터널 증후군 및 고혈압 환자의 간호사례 보고
본 내용은
"
자세한 손목터널 증후군 케이스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1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5
문서 내 토픽
-
1. 손목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손목 앞쪽의 수근관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정중신경이 압박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이상 증상, 허약감, 타는 듯한 통증, 무감각 등이며 특히 야간과 반복적 손 사용 시 악화된다. 진단은 Phalen 검사, Tinel's sign, 근전도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비수술적 방법(휴식, 부목, 약물)과 수술적 방법(수근관 유리술)으로 나뉜다. 평생 발병률이 50% 이상으로 팔에서 발생하는 신경질환 중 가장 흔하다.
-
2. 고혈압(Hypertension)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혈압 90mmHg 이상인 상태로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이다. 본태성 고혈압(90~95%)과 이차성 고혈압(5~10%)으로 분류되며, 유전, 호르몬 변화, 교감신경 긴장과 관련이 있다. 치료는 비약물적 방법(체중감소, 운동, 저염식이, 금연, 금주, 스트레스 관리)과 약물치료(ACE 억제제, ARB, 베타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이뇨제)로 이루어진다.
-
3.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개방성 수근관 유리술 후 발생하는 급성 통증은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간호진단으로 다루어진다. 통증 사정은 NRS 척도를 사용하며, 간호중재는 활력징후 측정, 진통제 투여, 냉요법, 안위 제공, 체위 변경, 이완요법 교육 등을 포함한다. 환자 교육을 통해 PCA 사용법을 설명하고 통증 표현을 격려하여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한다.
-
4. 임상 진단검사 및 해석혈액검사에서 WBC 감소, 헤모글로빈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다. 근전도 검사는 우측 APB 근육의 침착 가능성과 혈전 증가를 보였고, 신경전도검사는 우측 정중신경의 현저하게 낮은 CMAP 진폭과 SNAP 진폭을 나타냈다. 흉부 X선에서 노쇠한 심혈관계 변화가 관찰되었고, 심장 초음파에서 좌심실비대와 이완기 기능 장애가 확인되었으며, 복부 초음파에서 중등도 지방간이 진단되었다.
-
1. 손목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손목터널 증후군은 현대 사회에서 반복적인 손목 사용으로 인해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보존적 치료가 중요하며, 야간 부목 착용, 항염증제, 물리치료 등이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증상이 진행되면 신경 손상이 불가역적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에 수술적 개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직업 특성상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예방 교육과 인체공학적 개선이 필수적이며, 조기 발견을 위한 임상 검사와 전기생리학적 검사의 활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고혈압(Hypertension)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며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입니다. 생활습관 개선이 1차 치료의 핵심이며, 염분 섭취 감소, 규칙적 운동, 체중 관리, 스트레스 감소가 필수적입니다. 약물 치료는 개인의 혈압 수준과 동반 질환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정기적인 혈압 모니터링과 환자 교육을 통한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이 장기적 예후 개선에 중요하며, 특히 고위험군에서는 적극적인 혈압 조절이 뇌졸중과 심근경색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3.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는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각적 접근법이 필수적이며, 약물 치료(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신경차단, 물리치료 등을 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통증 평가 도구를 이용한 객관적 평가와 개별화된 치료 계획 수립이 중요하며, 과도한 진통제 사용을 피하면서도 적절한 통증 조절을 달성해야 합니다. 환자 교육과 심리적 지지도 통증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며, 조기 재활과 활동 증진이 회복을 촉진합니다.
-
4. 임상 진단검사 및 해석임상 진단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 방향 결정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검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등을 이해하고 임상 상황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단일 검사 결과만으로 진단하기보다는 임상 증상, 신체 검진, 다양한 검사 결과를 통합하여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검사 결과의 변동성과 개인차를 고려하여 반복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해야 하며, 환자에게 검사 결과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의료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
인공신장실(AKU) 케이스스터디 급성신부전 혈액투석 18페이지
성인건강간호학실습CASE STUDY- AKU -수강과목 : 성인간호학실습학 과 : 간호학과1. 사례80세 여성 편OO씨는 2022.09.29. EMS GS에서 손목터널증후군 관련 치료를 받은 후 9월 30일부터 시작된 정신이 혼미해지는 증상과 전신위약감을 주호소로 자가에서 휴식하던 중 10월 4일 의식 회복 후 EMC ER 통해 S-car 이용하여 5층 병동으로 입원하였고, 진단명은 Acute renal failure, unspecified이었다. 진단 및 치료계획은 lab에 따라 결정할 예정이며, 치료 목표는 증상호전이다.입원 시...2022.11.30· 18페이지 -
A+ 과제 성인간호학 case study(OS TA환자) 33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Case Study Report실습기관제출일담당 교수님학번/이름< 목 차 >Ⅰ. 일반적 사항Ⅱ. 간호력Ⅲ. 질병에 대한 설명IV. 경구, 비경구 투약Ⅴ. 진단검사Ⅵ. 각종처치Ⅶ. 간호과정Ⅷ. 약물◆ 대상자 간호사정 도구 ◆Ⅰ. 일반적 사항환자이름 정○○ 병실 OS(정형외과) 나이 26 성별 M입원당시 주호소 Lt, 2nd finger injury, Lt. arm pain, Rt. arm pain발병일시진단명 Multiple fracture of fingers open 입원날짜수술명 other repair of hand...2024.04.19· 33페이지 -
[성인간호학] A+ 유방암 (Breast Cancer),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16페이지
2023-1 성인간호학1 간호과정사례복서 과제이름: 학번:2023-2 성인간호학 실습2 사례보고서진단명: 유방암 (Breast Cancer)간호진단명: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2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Section1. 일반사항인적 사항이름OOO성별 / 나이F / OO세사정일00/00/00정보제공자본인입원일00/00/00일반사항직업주부교육 정도유종교무교결혼 여부유가족구성원며느리, 아들경제 상태중건강정보기본 신체정보체온: 36.4℃ 혈압: 141/76mmHg 맥박: 98회/min 호흡수: 18회/min신장:...2025.01.29· 16페이지 -
[아동간호학 실습] 차석졸업 A+ 강직성 사지마비성 뇌성마비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32페이지
과목명아동간호학 실습I교수님 성함이름학번병동실습기간- 사례보고서 -1. 환아의 일반적 사항나이 : 10세성별 : 남성명 : 000진단명 : 강직성 사지마비성 뇌성마비, 23주 미만 초미숙, 공장루상태, 기관절개상태,난치성 뇌전증을 동반하지 않은 기타 전신뇌전증 및 뇌전증증후군입원일 : 2023.05.09과거력:2008.10.19. Extreme LBW, preterm baby. (22wks 560g at)2008.11월 Lt. hemicolectomy and colostomy (왼쪽 대장 반절제술, 대장창냄술)2009. 3월 ile...2025.08.27· 32페이지 -
[A+받은자료] Schizophrenia 조현병 정신간호학 실습 8페이지
oo년도 o학기정신간호학실습Ⅰ사례보고서의학적 진단명: Schizophrenia[총괄적소견]대상자 박**님(F/3?)은 2009년 갑작스러운 행동(소리 지르기)과 함께 증상 발병하여 Schizophrenia 진단받은 분으로 DM(+) HTN(+), 입원력 없음. 아주 어렸을 때부터(약 5살) 소극적인 성격으로 청소년기 내내 따돌림을 당한 경험이 있음. (발병의 가장 주된 원인이며 큰 상처로 남았다고 함) 따라서 현재 환우모임에서 만나 친해진 회원이 유일한 친구임.00병원에서 약 10년간 치료받아왔으나 효과나 진전이 보이지 않아 자조모...2023.06.06·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