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염 사례 연구: 로타바이러스 감염 진단 및 간호
본 내용은
"
급성장염 Acute gastroenteritis case study(진단 5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3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급성 위장염은 위와 소장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으로 설사, 구토, 복통을 주증상으로 한다. 로타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영아기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다. 바이러스가 장의 상피세포에 직접 침입하여 손상시키고, 장액 흡수 불능으로 인해 탈수와 전해질 손실이 발생한다. 치료의 일차 목표는 탈수 예방이며, 경구 또는 비경구적 수액 공급이 기본 치료다.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주된 합병증이다.
-
2. 급성 대장염(Acute Colitis)급성 대장염은 주로 급성 감염성 장염을 의미하며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원충에 의해 발생한다.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가 전체의 20%를 차지하며 겨울철에 유행한다. 세균성 원인균으로는 쉬겔라, 살모넬라, 비브리오, 대장균 등이 있다. 주증상은 복통과 설사이며, 고열과 혈액이 섞인 설사는 세균성 장염을 시사한다. 대부분 일주일 이내에 호전되나 유아는 고열과 탈수가 심해 교정이 필요하다.
-
3. 로타바이러스 감염 진단Stool 검사(Multiplex Real-time RT-PCR)를 통해 로타바이러스 A가 검출되었다. 급성 설사의 원인은 세균 감염(10-20%)과 바이러스 감염(70-80%)으로 분류되며, 로타바이러스는 영아기 설사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정확한 원인체 진단은 적절한 치료 방법 결정과 감염성 설사 전파 방지에 필수적이다. 임상 양상만으로는 세균과 바이러스 감별이 어려워 검사실 진단이 중요하다.
-
4. 탈수 및 저혈당 관리환아의 혈당 검사에서 56mg/dL로 정상 이하로 측정되어 저혈당 위험이 있었다. 탈수로 인한 저혈당이 발생 가능하며 즉시 중재가 필요하다. 나트륨 132.6mmol/L로 저나트륨혈증, 케톤 3+로 산증 상태를 보였다. 5% 포도당 가칼륨나트륨주를 40cc/hr로 정맥 주입하여 수분과 전해질을 보급했으며, 다음날 공복 혈당이 92mg/dL로 호전되었다.
-
5. 소아 장염의 간호 중재급성 위장염 아동의 주요 간호 문제는 급성 통증, 설사, 체액 부족, 피부 손상, 감염 전파 위험이다. I/O를 정확히 기록하고 피부 탄력도와 점막 건조상태를 사정한다. 차가운 액체는 장 운동성을 증가시키므로 실온 음료를 제공한다. 다량의 음식 섭취는 위장을 자극하므로 피해야 한다. 손 씻기 교육으로 세균 전파를 차단하고, 감염 전파 가능성이 있으면 적절히 격리시킨다.
-
1.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급성 위장염은 소아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임상적으로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탈수 위험이 높아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가 제한적이지만, 적절한 수액 치료와 전해질 보충이 필수적입니다. 항생제는 세균성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하며, 과도한 약물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위생 관리와 손 씻기 등의 예방 조치가 질병 전파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2. 급성 대장염(Acute Colitis)급성 대장염은 대장의 염증으로 인한 질환으로, 혈성 설사와 복통이 주요 증상입니다. 감염성 대장염과 염증성 장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내시경 검사와 조직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고, 원인에 따라 항생제, 항염증제 등의 치료가 달라집니다. 심한 경우 전신 증상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3. 로타바이러스 감염 진단로타바이러스는 소아 급성 위장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특히 겨울철에 유행합니다. 진단은 대변 검체에서 로타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는 효소면역검사(ELISA)나 신속 진단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임상 증상만으로는 다른 바이러스성 위장염과 구별하기 어려우므로 실험실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도입으로 질병 발생률이 감소했으나, 여전히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영유아에서 심각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 탈수 및 저혈당 관리급성 위장염에서 탈수는 가장 중요한 합병증으로, 정도에 따라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분류됩니다. 경구 수액 치료가 1차 치료이며, 경구 재수화 용액(ORS)의 사용이 권장됩니다. 중증 탈수나 경구 섭취 불가능한 경우 정맥 수액 치료가 필요합니다. 저혈당은 특히 영유아에서 위험하므로, 혈당 모니터링과 포도당 공급이 중요합니다.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고 기저 질환을 고려한 개별화된 치료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
5. 소아 장염의 간호 중재소아 장염의 간호는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가족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정확한 수액 섭취량 기록, 배설물 모니터링, 피부 상태 사정이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항문 주변 피부 손상 예방을 위해 매 배변 후 깨끗이 씻고 보습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감염 전파 방지를 위해 표준 주의와 접촉 주의를 준수하고, 손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부모에게 가정에서의 수액 공급, 영양 관리, 위생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회복과 재발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
A+ 자료 아동간호학 급성 위장염 (AGE) (Acute GastroEnteritis) CASE STUDY(간호진단5개)(간호과정2개)1. 급성 위장염의 정의 급성 위염, 장염이 동시에 일어나는 증세로,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대개의 경우 위염, 장염이 동시에 발병되면서 하나의 병상을 나타내므로 일괄해서 이르는 말이다. 설사가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확진되면 감염성 위장관염 또는 세균성 위장관염이라고 한다. 2. 급성 위장염의 병태생리 급성위장...2025.05.07 · 의학/약학
-
노로바이러스 장염 사례 보고서1. 노로바이러스 장염의 정의 및 원인 노로바이러스 장염은 사람의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크기가 매우 작은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norovirus)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식중독을 의미한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식품이나 음료를 섭취하여 감염되며, 사람에서 사람으로 쉽게 퍼진다. 겨울철 감염률이 높다. 2. 노로바이러스 장염의 병태생리 및 기전 노로바이...2025.01.23 · 의학/약학
-
급성위장염(AGE)케이스스터디(문헌고찰ㅇ, 진단 2개)1.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AGE)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은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 가운데 하나이다. 5세 미만의 아동은 매년 평균 2회의 위장염 증상을 보이고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해 급성 위장염의 이론적인 지식과 예방법 및 치료방법을 공부하여...2025.05.16 · 의학/약학
-
A급 자료 아동간호학 급성 위장염 (AGE) (Acute GastroEnteritis) CASE STUDY(간호진단 2개)(간호과정 2개)1. 급성 위장염의 정의 급성 위염, 장염이 동시에 일어나는 증세로,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대개의 경우 위염, 장염이 동시에 발병되면서 하나의 병상을 나타내므로 일괄해서 이르는 말이다. 설사가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확진되면 감염성 위장관염 또는 세균성 위장관염이라고 한다. 2. 급성위장염의 병태생리 급성위장염...2025.05.09 · 의학/약학
-
[A+ 보장]아동간호학실습 급성 위장관염(acute gastroenteritis, AGE)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자료입니다.1. 급성 위장관염(acute gastroenteritis, AGE) 급성 위장염은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으로서, 급성 설사병이라 불리기도한다. 설사를 일으키는 장관플루(intestinal flu), 여행으로 인한 설사, 바이러스성 장염, 식중독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저개발국에서는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기도 ...2025.01.20 · 의학/약학
-
[A+ 아동간호학 case study] 급성 위장염(AGE) 간호과정 (문헌고찰 +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3개 - 체액 부족, 고체온,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1.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AGE)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발열, 전신 권태감 등을 가져온다. 노로바이러스 장염은 사람의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크기가 매우 작...2025.05.02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실습 급성 장염 사례연구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고체온 체액 부족 15페이지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급성 장염-목차-급성 장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급성 장염의 원인 및 영향 요인-급성 장염의 임상증상-급성 장염의 진단적 검사-급성 장염의 치료적 중재술-급성 장염의 예방 방법-사례 연구 아동 간호사정-간호 과정 우선순위 선정-간호과정급성 장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급성 장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는 모든 질병을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으로서, 급성 설사병이라 불리기도 한다.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고 어린 아동에게 가장 ...2025.03.04· 15페이지 -
[간호학과] 아동간호학실습 / 간호과정보고서 /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 로타바이러스 15페이지
1) 사례아동의 질병과 간호 문헌고찰■ 사례아동 의학적 진단명(영어, 국문 모두 기재):Neonatal Rotavirus Infection,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진단명(1) 원인 및 유발요인로타바이러스에 의한 현성 감염으로 대변-입으로 감염되는 것이 주요 전파 경로이며 약 24~72시간의 잠복기를 가진다. 구토와 발열, 피가 섞이지 않은 물설사를 초래하여 탈수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이다. 로타바이러스는 감염 후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증상이 없어진 후 10일까지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존재한다. 감염된 사람이 증상을 보...2022.09.10· 15페이지 -
아동간호학 장염 케이스 14페이지
목 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연구기간 및 방법3. 문헌고찰Ⅱ. 간호과정1. 간호사정1) 일반적 사항2) 간호력3) 진단검사4) 약물2. 간호진단 ? 계획 ? 중재 ? 평가Ⅲ. 결론Ⅳ. 참고문헌1. 사례간호대상자 사정과 간호문제 도출[성별/나이/이름]- F/6/OOO[주호소]1. vomiting[통증]통증:유(O)Pain Scale: NRS통증점수: 2부위: abdomen양상: 쑤심[현병력]병원 도착시 환자상태(도착 후 1시간 이내): othersPI: 내원당일 새벽 4시부터 시작된 vomiting 주소로 본원 응급...2025.04.16· 14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 급성 장염(Acute enteritis) A+자료 13페이지
사례발표급성 장염(Acute enteritis)담당 과목아동간호학 실습지도교수학번이름실습병원발표일1. 서 론영유아의 급성 장염은 수인성 전염병의 감소에 힘입어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수액요법과 경구수액제의 개발로 인해 사망률과 입원이 크게 감소한 질환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의 많은 아기들과 선진국이라 하더라도 미혼모, 고아원, 미숙아 등 특수한 환경에 놓여 있는 영유아들에게는 여전히 위험한 질환이 아닐 수 없다.급성 장염의 가장 주된 합병증은 체액 손실로 인한 탈수이므로 급성 장염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탈수 방지이다. 탈수는 입...2022.05.14· 13페이지 -
(A+)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진단 5개, 중재 2개(급성통증, 영양불균형)] 32페이지
로타바이러스감염증(Rotaviral infection)목 차Ⅰ. 서론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Ⅱ. 문헌고찰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23. 임상증상 24. 진단검사 35. 치료 46. 간호 4-57. 합병증 58. 예방방법5Ⅲ. 환자사례1. 환자정보 6-112. 진단검사 12-161) Hematology 2) Biochemistry3) Urinalysis (요검사) 4) Endoscopy (내시경검사)5) USG (Ultrasonography, 초음파검사)6) 급성 설사 원인 세균 선별 검사 (Stool)3. 투약 1...2025.10.29· 3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