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탄산혈증 환자의 중환자실 간호 시나리오
본 내용은
"
고탄산혈증-시나리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4
문서 내 토픽
-
1. 고탄산혈증혈중에 이산화탄소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로 혈액이 산성에 기울어져 호흡성 산증을 일으킨다. 호흡정지, 질식, 마취제에 의한 호흡억제, 폐기종, 호흡근 마비 등으로 발생하며,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 상승과 pH 저하가 호흡중추에 작용하여 호흡촉진을 유발한다. 증상으로는 호흡촉박, 호흡곤란이 있고 고도한 경우 의식상실과 전신 경련이 발생한다.
-
2. 동맥혈가스분석(ABGA)산소분압(PaO2)은 혈액에 용해된 산소의 압력으로 산소화 상태를 나타내고, 산소포화도(SaO2)는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 정도를 나타낸다. 이산화탄소 분압(PaCO2)은 환기 상태를 나타내며, pH는 산과 염기의 균형을 나타낸다. 본 사례에서 pH 7.1(산증), PaCO2 101mmHg(저환기), PaO2 84mmHg, HCO3 18.2mEq/L로 호흡성 산증을 확인했다.
-
3. 기관내 삽관 간호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 확보를 위해 진정약물 없이 기관내 삽관을 시행한다. 준비물로는 기관내관, 탐침, 후두경, 주사기, 입인두 기도기, 고정테이프, 생리식염수, bag valve mask 등이 필요하다. 삽관 후 sniffing 자세로 구강, 인두, 후두를 일직선으로 정렬하고, 위치 확인 후 고정테이프로 고정하며 X-ray 검사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다.
-
4. 의료진 간 의사소통(SBAR)급박한 상황에서 의사에게 환자 정보를 보고할 때 상황, 배경, 평가, 권고 순서로 체계적으로 전달한다. 본 사례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나이, 진단명, 현재 활력징후, 호흡 상태, 의식 수준, ABGA 결과 등을 정확하고 침착하게 보고하여 의사의 신속한 판단과 처치를 돕는다.
-
1. 고탄산혈증고탄산혈증은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이 45mmHg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로, 호흡기계 질환이나 중추신경계 억제로 인한 환기 부족이 주요 원인입니다.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염기 불균형으로, 만성 폐질환, 천식, 신경근육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고탄산혈증은 의식 저하, 두통, 혼수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기저 질환을 파악하고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기계환기 등의 적절한 중재를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증진시켜야 합니다. 예방 관점에서도 호흡기 질환 관리와 적절한 진정제 사용이 중요합니다.
-
2. 동맥혈가스분석(ABGA)동맥혈가스분석은 산염기 불균형, 저산소혈증, 고탄산혈증 등을 진단하는 필수적인 검사로,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 환자의 호흡 및 순환 상태를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pH, PaCO2, PaO2, HCO3- 등의 지표를 통해 환자의 산염기 상태와 산소 포화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 해석 시 급성 또는 만성 변화, 대사성 또는 호흡성 원인을 구분하여 임상적 의미를 파악해야 합니다. 정맥혈 가스분석과 달리 동맥혈 채취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지만, 더 정확한 산소 분압 정보를 제공합니다. 환자의 임상 증상과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기관내 삽관 간호기관내 삽관은 호흡 부전이나 기도 보호가 필요한 환자에게 시행되는 중요한 중재로, 삽관 전후 및 유지 기간 동안의 체계적인 간호가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삽관 후 튜브 위치 확인, 커프 압력 관리, 구강 위생, 흡인 관리 등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감염, 튜브 폐색, 성대 손상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진정 상태, 동기화, 동통 관리를 적절히 유지하고, 기계환기 설정을 모니터링하며 의사와 협력하여 조정해야 합니다. 발관 준비 과정에서도 환자의 호흡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발관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가 중요합니다. 전문적이고 세심한 간호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
4. 의료진 간 의사소통(SBAR)SBAR(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는 의료진 간 효과적이고 구조화된 의사소통을 위한 표준화된 도구로,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상황, 배경, 평가, 권고사항을 순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정보 전달의 명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하고, 의료 오류를 감소시킵니다. 특히 응급 상황이나 인수인계 시 SBAR를 활용하면 중요한 정보가 누락되지 않고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의 직급이나 경험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 도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팀 기반 의료 문화를 강화합니다. 의료기관에서 SBAR 교육과 훈련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면 의사소통 오류로 인한 환자 안전 사건을 예방하고 의료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sbar 고탄산혈증 1페이지
SBAR, 간호기록 시나리오 7 다음은 중환자실에서 고탄산혈증으로 인해 주치의에게 Notify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상황 Scenario: 김oo (50세 남성)이 간암으로 간절제술 시행 후 마취에서 깨어나지 않아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을 가지고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다. 중환자실 입실 후 환자는 obey command 가능해지고 자발 호흡 10회/분 이상, 자발 호흡의 일회 호흡량 350ml 이상으로 측정되어 기관내관 발관(extubation)을 시행하고 비강캐뉼러(nasal cannula)...2023.08.29· 1페이지 -
vSIM Medical Scenario 3 - Vincent Brody COPD (간호진단4개,간호과정2개) 20페이지
COPD vSIM based learning성인간호학 실습 Ⅲ CASE STUDY목 차1. 문헌고찰 : 만성폐쇄성폐질환 / 기흉 ━━━━━━━━━━━━━━━━━━━━━━━ (2P)1) 정의2) 증상3) 원인4) 진단5) 치료6) 경과 및 합병증7) 간호2. Concept map ━━━━━━━━━━━━━━━━━━━━━━━━━━━━━━━ (4P)3. 시나리오 ━━━━━━━━━━━━━━━━━━━━━━━━━━━━━━━━━━━━ (5P)1) 간호력2) 간호사정3) 진단적 검사4) 진단을 위한 수술 및 검사5) 주요 약물요법4. 간호과정 ━━...2021.04.30· 20페이지 -
폐색전증 15페이지
폐색전 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시뮬레이션 상황중심 학습목차 시나리오 입원간호 증상과 징후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중재 항응고 요법 혈전 용해 요법 중환자실 간호사 인계시나리오 69 세 , 남성 , 조 oo 님 당뇨 , 신부전 진단 당뇨 합병증으로 발가락 괴사 전일 OS 에서 발가락 절단술 시행함 . 베게 이용해 수술부위 elevation 중 ( 수술부위 붕대 감고 있음 )입원간호 V/S check EKG Monitoring SpO2 monitoring 연결하여 SpO2 check 혈류역학적 증상 (dysp...2024.06.08· 15페이지 -
[브이심] Vsim 시나리오 Vincent Brody 1~4단계까지, 100점 인증 가능 6페이지
시나리오 3. Vincent Brody-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1단계: 시나리오 Vincent Brody is a 67-year-old male who was diagnosed with emphysema three years ago (home oxygen not required). He was admitted directly from the GP's office for exacerbation of hi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20.11.21· 6페이지 -
간호학과 case study-고칼륨혈증 (hyperkalemia) 14페이지
과목:1. 문헌고찰1)정의2)병태생리3)원인4)증상/징후5)진단검사6)치료7)간호2.사례 보고서1)간호 정보조사지2)혈액 검사3)EKG검사4)투약5)사례대상자 간호과정-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위장관계 상태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욕창의 위험성3.참고문헌I. 문헌고찰1. 정의*칼륨의 정의칼륨은 세포내액의 주요 양이온이며 정상 농도는 3.5~5.0mEq/L이다. 세포내액의 정상적인 농도는 140mEq/L로 세포 내 삼투압농도와 양을 조절한다. 세포내 칼륨의 양은 세포벽의 통합성, 세포손상 시 칼륨을 보...2023.10.05· 14페이지
